1 차용구, ""Femina est mas occasionatus"토마스 아퀴나스의 여성관에 미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한국서양중세사학회 (14) : 67-98, 2004
2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문예출판사 2004
3 뤼스 이리가라이, "하나이지 않은 성" 동문선 2000
4 서병훈, "플라톤과 여성 철인왕" 아시아여성연구소 41 : 2002
5 이명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철학의 배경과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종합적 수용" 대한철학회 87 : 275-304, 2003
6 플라톤, "티마이오스" 서광사 2000
7 토마스 아퀴나스, "존재자와 본질에 대하여" 바오로딸 2005
8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의 몸-시각, 쟁점, 역사" 창비 2005
9 문계석,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hȳle)의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동서철학연구회 6 (6): 1-19, 1989
10 줄리아 크리스테바,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1 차용구, ""Femina est mas occasionatus"토마스 아퀴나스의 여성관에 미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한국서양중세사학회 (14) : 67-98, 2004
2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문예출판사 2004
3 뤼스 이리가라이, "하나이지 않은 성" 동문선 2000
4 서병훈, "플라톤과 여성 철인왕" 아시아여성연구소 41 : 2002
5 이명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철학의 배경과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종합적 수용" 대한철학회 87 : 275-304, 2003
6 플라톤, "티마이오스" 서광사 2000
7 토마스 아퀴나스, "존재자와 본질에 대하여" 바오로딸 2005
8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의 몸-시각, 쟁점, 역사" 창비 2005
9 문계석,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hȳle)의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동서철학연구회 6 (6): 1-19, 1989
10 줄리아 크리스테바,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11 르네 데카르트, "방법서설·성찰·데카르트 연구" 서광사 1991
12 엘리자베스 그로츠, "뫼비우스 띠로서 몸" 도서출판 여이연 2001
13 크리스티나 폰 브라운, "논리 거짓말 리비도, 히스테리" 도서출판 여이연 2003
14 뤼스 이리가라이, "나, 너, 우리" 동문선 1996
15 플라톤, "국가" 삼성출판사 1990
16 노엘 맥아피, "경계에 선 줄리아 크리스테바" 도서출판 앨피 2007
17 Luce Irigaray, "This Sex Which Is Not One. in: This Sex Which Is Not On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5
18 Luce Irigaray, "Speculum of the Other Woman" Cornell University Press 1985
19 Luce Irigaray, "Cosi Fan Tutti. in: This Sex Which Is Not On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