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지워진 여성의 몸 -코라(chora)와 물질 개념을 중심으로- = Erased Woman's Body -Focused on the Concepts of Chora and So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92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fist clarify the differences of the concep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discussion of the Western philosophy on the body. For this I'll focus on the concepts of 'chora' and 'soma' that are derived from Plato. According to Plato, woman's body as chora has its own power, while woman's body as soma is weak and dependent. But the concept of chora has been erased in the main history of philosophy after Plato. Aristotle introduced the concept of 'hyle' and explained that woman's body is like a passive material or the lack of form. And Descartes regarded body only as a passive object(res extensa) of cognitive subject.
      Furthermore, I'll also show that the discussion of modern feminism on woman's body accordingly may be divided into two parts. On the one hand, some feminists like Irigaray or Kristeva try to reconstruct the erased power of woman's body by recalling the concept of chora. On the other hand some egalitarian feminists like de Beauvoir or Firestone understand the woman's body as the deficient of freedom or the limited object and show the tendency to delete it.
      Finally I insist that we need to recall the concept of chora in order to understand the body beyond dichotomy and not to erase its own power.
      번역하기

      In this article, I fist clarify the differences of the concep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discussion of the Western philosophy on the body. For this I'll focus on the concepts of 'chora' and 'soma' that are derived from Plato. According to Plato, wom...

      In this article, I fist clarify the differences of the concep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discussion of the Western philosophy on the body. For this I'll focus on the concepts of 'chora' and 'soma' that are derived from Plato. According to Plato, woman's body as chora has its own power, while woman's body as soma is weak and dependent. But the concept of chora has been erased in the main history of philosophy after Plato. Aristotle introduced the concept of 'hyle' and explained that woman's body is like a passive material or the lack of form. And Descartes regarded body only as a passive object(res extensa) of cognitive subject.
      Furthermore, I'll also show that the discussion of modern feminism on woman's body accordingly may be divided into two parts. On the one hand, some feminists like Irigaray or Kristeva try to reconstruct the erased power of woman's body by recalling the concept of chora. On the other hand some egalitarian feminists like de Beauvoir or Firestone understand the woman's body as the deficient of freedom or the limited object and show the tendency to delete it.
      Finally I insist that we need to recall the concept of chora in order to understand the body beyond dichotomy and not to erase its own pow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 필자는 서양 철학의 역사에서 몸에 관한 논의에 사용되었던 개념들의 차이와 유사성을 밝히고 여성의 몸에 대한 현대의 페미니즘 논의들이 각각 어떠한 개념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몸에 대한 논의들의 주요 갈래와 전략들을 구분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무엇보다도 몸 특히 여성의 몸을 비유하는 데 사용되었던 플라톤의 코라(Chora) 개념이 물질 개념과는 상이한 이해방식을 제공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즉 플라톤에 따라 몸을 독자적 힘을 갖는 코라 공간과 같은 것으로 이해하는 방식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hyle)나 데카르트식의 연장적 실체(res extensa) 개념에 따라 몸을 수동적 물질이나 객관적 대상으로 이해할 때와는 다른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는 것이다.
      나아가 필자는 여성의 몸에 대한 현대 페미니즘의 논의들 역시 이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한편으로 여성의 몸에 대한 현대적 논의들은 코라의 개념을 소환함으로써 지워진 여성의 몸과 힘을 재구성하고자 하지만 현대의 페미니즘의 다른 갈래들은 여전히 질료 혹은 연장체의 개념에 의지하여 몸을 수동적인 대상으로 파악한 후 이를 비판하거나 삭제하려는 경향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로부터 필자는 마지막에서 몸/마음의 이분법적 사고방식을 넘어서는 방식으로 여성의 몸을 담론화하고 여성의 몸이 갖는 독자적인 힘을 삭제하지 않기 위해서는 질료나 연장체로서의 물질 개념에 의지할 것이 아니라 코라 개념의 소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으로 이 글을 맺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 필자는 서양 철학의 역사에서 몸에 관한 논의에 사용되었던 개념들의 차이와 유사성을 밝히고 여성의 몸에 대한 현대의 페미니즘 논의들이 각각 어떠한 개념과 연관되어 있는지...

      이 글에서 필자는 서양 철학의 역사에서 몸에 관한 논의에 사용되었던 개념들의 차이와 유사성을 밝히고 여성의 몸에 대한 현대의 페미니즘 논의들이 각각 어떠한 개념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몸에 대한 논의들의 주요 갈래와 전략들을 구분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무엇보다도 몸 특히 여성의 몸을 비유하는 데 사용되었던 플라톤의 코라(Chora) 개념이 물질 개념과는 상이한 이해방식을 제공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즉 플라톤에 따라 몸을 독자적 힘을 갖는 코라 공간과 같은 것으로 이해하는 방식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hyle)나 데카르트식의 연장적 실체(res extensa) 개념에 따라 몸을 수동적 물질이나 객관적 대상으로 이해할 때와는 다른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는 것이다.
      나아가 필자는 여성의 몸에 대한 현대 페미니즘의 논의들 역시 이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한편으로 여성의 몸에 대한 현대적 논의들은 코라의 개념을 소환함으로써 지워진 여성의 몸과 힘을 재구성하고자 하지만 현대의 페미니즘의 다른 갈래들은 여전히 질료 혹은 연장체의 개념에 의지하여 몸을 수동적인 대상으로 파악한 후 이를 비판하거나 삭제하려는 경향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로부터 필자는 마지막에서 몸/마음의 이분법적 사고방식을 넘어서는 방식으로 여성의 몸을 담론화하고 여성의 몸이 갖는 독자적인 힘을 삭제하지 않기 위해서는 질료나 연장체로서의 물질 개념에 의지할 것이 아니라 코라 개념의 소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으로 이 글을 맺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용구, ""Femina est mas occasionatus"토마스 아퀴나스의 여성관에 미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한국서양중세사학회 (14) : 67-98, 2004

      2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문예출판사 2004

      3 뤼스 이리가라이, "하나이지 않은 성" 동문선 2000

      4 서병훈, "플라톤과 여성 철인왕" 아시아여성연구소 41 : 2002

      5 이명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철학의 배경과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종합적 수용" 대한철학회 87 : 275-304, 2003

      6 플라톤, "티마이오스" 서광사 2000

      7 토마스 아퀴나스, "존재자와 본질에 대하여" 바오로딸 2005

      8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의 몸-시각, 쟁점, 역사" 창비 2005

      9 문계석,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hȳle)의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동서철학연구회 6 (6): 1-19, 1989

      10 줄리아 크리스테바,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1 차용구, ""Femina est mas occasionatus"토마스 아퀴나스의 여성관에 미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 한국서양중세사학회 (14) : 67-98, 2004

      2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문예출판사 2004

      3 뤼스 이리가라이, "하나이지 않은 성" 동문선 2000

      4 서병훈, "플라톤과 여성 철인왕" 아시아여성연구소 41 : 2002

      5 이명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철학의 배경과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종합적 수용" 대한철학회 87 : 275-304, 2003

      6 플라톤, "티마이오스" 서광사 2000

      7 토마스 아퀴나스, "존재자와 본질에 대하여" 바오로딸 2005

      8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의 몸-시각, 쟁점, 역사" 창비 2005

      9 문계석,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hȳle)의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동서철학연구회 6 (6): 1-19, 1989

      10 줄리아 크리스테바,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11 르네 데카르트, "방법서설·성찰·데카르트 연구" 서광사 1991

      12 엘리자베스 그로츠, "뫼비우스 띠로서 몸" 도서출판 여이연 2001

      13 크리스티나 폰 브라운, "논리 거짓말 리비도, 히스테리" 도서출판 여이연 2003

      14 뤼스 이리가라이, "나, 너, 우리" 동문선 1996

      15 플라톤, "국가" 삼성출판사 1990

      16 노엘 맥아피, "경계에 선 줄리아 크리스테바" 도서출판 앨피 2007

      17 Luce Irigaray, "This Sex Which Is Not One. in: This Sex Which Is Not On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5

      18 Luce Irigaray, "Speculum of the Other Woman" Cornell University Press 1985

      19 Luce Irigaray, "Cosi Fan Tutti. in: This Sex Which Is Not On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0.99 2.52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