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三韓 ‘蘇塗’ 인식의 전개와 계승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1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三國志』 東夷傳에서 蘇塗를 세운 것이 浮屠와 비슷하다고 하였는데, 이는 당시 중국의 불교 전래 상황과 연관된다. 곧 西域의 佛敎로 이해했던 중국의 蘇塗 인식은 『晉書』 東夷列傳이 편찬되었던 7세기에도 지속되었다. 崔致遠의 소도 인식은 당시 중국에 유포된 ‘金人佛像說’ 및 三韓 認識과 무관하지 않다. 신라의 佛敎史를 정리했던 「智證大師碑」에서 蘇塗의 儀式은 불교의 제사에 견주어 표현했을 가능성이 크며, ‘百濟蘇塗之儀’에서의 ‘백제’는 馬韓과의 역사적 연계사실보다는 당시 통일신라에 편입된 옛 백제지역 정도로 인식했을 법하다.
      최치원의 소도 인식은 조선 후기까지 이어졌는데, 蘇塗를 東方 佛敎의 기원으로 삼고 이미 西晉시대에 불교가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물론 삼한의 소도는 鬼神에 제사하던 중국 주변 종족의 고유 신앙의식 가운데 하나로 보았거나, 소도에서 大木을 세워 제사하는 의식이 滿洲의 立杆祭祀와 연관되는 것으로 이해하기도 하였다. 이는 최치원 이래 전승되던 전통적인 소도인식에서 일견 벗어난 모습을 보여준다.
      근대 이후 民俗學 방면에서 소도는 立木 또는 祭壇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東夷傳에 전하는 소도는 別邑과 결부되어 天君이 제사를 주관하는 신성공간으로 이해되었으며, 점차 神竿을 세운 聖域에서의 신앙의례 내지 종교의식으로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이와 함께 삼한 蘇塗信仰의 성격과 그 의의를 삼국의 祭儀 및 종교문화 속에서 접근하여, 소도 이후 그것을 계승한 흔적을 찾았다. 삼한시대의 신성지역으로서 소도는 불교 전래이후 寺刹이 대신하였으며, 소도의 불교적 변용은 불교와 기존 토착신앙과의 타협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종래 소도와 천군을 연결시켜 別邑의 신앙의례를 天君이 주관했던 것으로 보았다. 점차 천군과 별읍을 구별하여 천군은 國邑에서 상위의 天神제사를 주관하였고, 別邑에서는 巫적인 존재가 하위의 鬼神에 제사했던 것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蘇塗信仰은 본래 삼한 邑落 단위의 部落祭에서 발전하여, 小國의 성장으로 대두한 大國 단계에서 기존 읍락 별로 행해지던 信仰儀禮를 天神을 중심으로 하나로 묶은 것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소도인식의 계승작업은 소도의 역사적 의미를 그것이 포함되는 정치체계 속에서 이해하거나 사회발전 단계에 따른 제의의 변화과정 속에서 추구되어, 소도의 정치·사회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번역하기

      『三國志』 東夷傳에서 蘇塗를 세운 것이 浮屠와 비슷하다고 하였는데, 이는 당시 중국의 불교 전래 상황과 연관된다. 곧 西域의 佛敎로 이해했던 중국의 蘇塗 인식은 『晉書』 東夷列傳이 ...

      『三國志』 東夷傳에서 蘇塗를 세운 것이 浮屠와 비슷하다고 하였는데, 이는 당시 중국의 불교 전래 상황과 연관된다. 곧 西域의 佛敎로 이해했던 중국의 蘇塗 인식은 『晉書』 東夷列傳이 편찬되었던 7세기에도 지속되었다. 崔致遠의 소도 인식은 당시 중국에 유포된 ‘金人佛像說’ 및 三韓 認識과 무관하지 않다. 신라의 佛敎史를 정리했던 「智證大師碑」에서 蘇塗의 儀式은 불교의 제사에 견주어 표현했을 가능성이 크며, ‘百濟蘇塗之儀’에서의 ‘백제’는 馬韓과의 역사적 연계사실보다는 당시 통일신라에 편입된 옛 백제지역 정도로 인식했을 법하다.
      최치원의 소도 인식은 조선 후기까지 이어졌는데, 蘇塗를 東方 佛敎의 기원으로 삼고 이미 西晉시대에 불교가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물론 삼한의 소도는 鬼神에 제사하던 중국 주변 종족의 고유 신앙의식 가운데 하나로 보았거나, 소도에서 大木을 세워 제사하는 의식이 滿洲의 立杆祭祀와 연관되는 것으로 이해하기도 하였다. 이는 최치원 이래 전승되던 전통적인 소도인식에서 일견 벗어난 모습을 보여준다.
      근대 이후 民俗學 방면에서 소도는 立木 또는 祭壇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東夷傳에 전하는 소도는 別邑과 결부되어 天君이 제사를 주관하는 신성공간으로 이해되었으며, 점차 神竿을 세운 聖域에서의 신앙의례 내지 종교의식으로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이와 함께 삼한 蘇塗信仰의 성격과 그 의의를 삼국의 祭儀 및 종교문화 속에서 접근하여, 소도 이후 그것을 계승한 흔적을 찾았다. 삼한시대의 신성지역으로서 소도는 불교 전래이후 寺刹이 대신하였으며, 소도의 불교적 변용은 불교와 기존 토착신앙과의 타협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다.
      종래 소도와 천군을 연결시켜 別邑의 신앙의례를 天君이 주관했던 것으로 보았다. 점차 천군과 별읍을 구별하여 천군은 國邑에서 상위의 天神제사를 주관하였고, 別邑에서는 巫적인 존재가 하위의 鬼神에 제사했던 것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蘇塗信仰은 본래 삼한 邑落 단위의 部落祭에서 발전하여, 小國의 성장으로 대두한 大國 단계에서 기존 읍락 별로 행해지던 信仰儀禮를 天神을 중심으로 하나로 묶은 것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소도인식의 계승작업은 소도의 역사적 의미를 그것이 포함되는 정치체계 속에서 이해하거나 사회발전 단계에 따른 제의의 변화과정 속에서 추구되어, 소도의 정치·사회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광식, "한국고대의 토착신앙과 불교"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2 서영대, "한국 고대의 샤머니즘적 세계관, In 강좌한국고대사 8"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2002

      3 李鍾哲, "장승과 솟대에 대한 考古民俗學的 接近試考-장승과 솟대의 成立 및 巫佛習合을 중심으로, In 尹武炳博士回甲紀念論叢" 1984

      4 朴昊遠, "장승 솟대신앙 小考-역사적 변천과정 및 그 기능" (여름) : 1988

      5 趙芝薰, "서낭竿攷" 1 : 1966

      6 김재선, "만주족 살만과 소도" 신라문화연구소 (28) : 323-342, 2006

      7 이필영, "마을공동체와 솟대신앙, In 孫寶基停年紀念考古人類學論叢" 1988

      8 이필영, "마을 信仰의 社會史" 웅진 1994

      9 역사민속학회, "남창 손진태의 역사민속학연구" 민속원 2003

      10 최광식, "고대한국의 국가와 제사" 한길사 1994

      1 최광식, "한국고대의 토착신앙과 불교"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2 서영대, "한국 고대의 샤머니즘적 세계관, In 강좌한국고대사 8"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2002

      3 李鍾哲, "장승과 솟대에 대한 考古民俗學的 接近試考-장승과 솟대의 成立 및 巫佛習合을 중심으로, In 尹武炳博士回甲紀念論叢" 1984

      4 朴昊遠, "장승 솟대신앙 小考-역사적 변천과정 및 그 기능" (여름) : 1988

      5 趙芝薰, "서낭竿攷" 1 : 1966

      6 김재선, "만주족 살만과 소도" 신라문화연구소 (28) : 323-342, 2006

      7 이필영, "마을공동체와 솟대신앙, In 孫寶基停年紀念考古人類學論叢" 1988

      8 이필영, "마을 信仰의 社會史" 웅진 1994

      9 역사민속학회, "남창 손진태의 역사민속학연구" 민속원 2003

      10 최광식, "고대한국의 국가와 제사" 한길사 1994

      11 조법종, "고구려 사회의 檀君認識과 종교문화적 특징-蘇塗文化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21 : 2001

      12 田村專之助, "魏書韓傳に見える蘇塗ついて" 29 : 1936

      13 末松保和, "魏志韓傳の別邑に就いて" 64 (64): 1955

      14 村上正雄, "魏志韓傳に見える蘇塗の一解釋" 9 : 1956

      15 金杜珍, "高句麗 初期 東盟 祭儀의 蘇塗 信仰的 要素" 18 : 1996

      16 宋華燮, "馬韓蘇塗의 構造와 機能" 17 : 1992

      17 宋華燮, "馬韓蘇塗의 成立과 歷史的 意義" 7 : 1994

      18 洪潤植, "馬韓蘇塗信仰領域에서의 百濟佛敎의 受容" 11 : 1988

      19 金杜珍, "馬韓社會의 構造와 性格" 12 : 1989

      20 洪潤植, "馬韓社會에서의 天君의 位置, In 馬韓文化硏究의 諸問題" 1989

      21 徐永大, "韓國宗敎史 資料로서의 『三國志』 東夷傳" 3 : 1991

      22 金杜珍, "韓國古代의 建國神話와 祭儀" 一潮閣 1999

      23 李萬烈, "韓國古代에 있어서의 토테미즘的 要素에 對하여, In 李海南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1970

      24 鄭璟喜, "韓國古代社會文化硏究" 一志社 1990

      25 金哲埈, "韓國古代 政治의 性格과 中世政治思想의 成立過程" 10 : 1969

      26 金泰坤, "韓國 巫系의 分化變遷" (창간) : 1969

      27 崔光植, "韓國 古代의 祭天儀禮" 13 : 1990

      28 崔吉城, "韓國 原始宗敎의 一考" 11 : 1968

      29 金貞培, "蘇塗의 政治史的 意味" 79 : 1978

      30 徐永大, "蘇塗의 宗敎的 性格" 19 : 1973

      31 金泰坤, "蘇塗의 宗敎民俗學的 照明" 13 : 1990

      32 許回淑, "蘇塗에 關한 硏究" 3 : 1972

      33 宋華燮, "蘇塗關係文獻記錄의 再檢討, In 韓國宗敎의 再照明" 1993

      34 金洸, "蘇塗遺蹟의 調査硏究" 19 : 1990

      35 孫晉泰, "蘇塗考訂補" 朝鮮民俗學會 3 : 1940

      36 孫晉泰, "蘇塗考" 4 (4): 1932

      37 金宅圭, "蘇塗と卒土, In 三上次男喜壽記念論文集(歷史編)" 平凡社 1985

      38 徐永大, "葛蟠地小考-蘇塗의 佛敎的 變容" 2 : 1979

      39 永留久惠, "海神と天神" 白水社 1988

      40 徐永大, "東濊의 虎神崇拜에 대하여" 2 : 1992

      41 村山智順, "朝鮮의 鬼神"

      42 孫晉泰, "朝鮮民族文化의 硏究" 乙酉文化社 1948

      43 葛城末治, "朝鮮の幢及幢竿に就いて" 9 : 1935

      44 川本達, "日韓同源と對馬の蘇塗" 朝鮮總督府 143 : 1927

      45 金宅圭, "新羅上代의 土着信仰과 宗敎習合" 5 : 1984

      46 辛鍾遠, "幢竿造營의 文化史的 背景" 3 : 1987

      47 末松保和, "大馬の‘神地’について" 81 : 1976

      48 韓炳三, "先史時代 農耕文靑銅器에 대하여" 112 : 1971

      49 鄭璟喜, "先三國時代 社會와 經濟" 41 : 1984

      50 文昌魯, "三韓時代의 邑落과 社會" 신서원 2000

      51 金杜珍, "三韓 別邑社會의 蘇塗信仰, In 韓國古代의 國家와 社會" 1985

      52 金哲埈, "三國時代의 禮俗과 儒敎思想" 6·7 : 1971

      53 宋華燮, "『三國志』 魏志 東夷傳의 蘇塗와 浮屠" 4 :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55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