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세기 科擧 관리의 정비 - 응시자 증가와 관련하여 - = The Improvement of Civil Examinaton(科擧) in 17th centur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ber of people applying for the civil examination increased rapidly in 17th century. It exposed many problems in the supervision of the examination.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faced severe problems in three sides. It had difficulties in controlling the entrance to the examination place, preparing sufficient space for the examination, and grading the examination papers. This article examines what kind of problems there were, and how the government figured out the problems, and what kind of problems remained unsolved.
      The government that tried to deal with an fast-growing number of applicants, abolished the existing routines that were rationalised to avoid the loss of talented people and reinfoced the formal control.
      In detail, it persued efficiency by incorporating more stringent supervision into the second stage exam rather than the first stage exam that required more manpower and resources. And also, it placed a higher value on reality than on justificaion. On the while, the improvement of Civil Examinaton(科擧) in 17th century moved on toward the reinforcement of control and efficiency.
      번역하기

      The number of people applying for the civil examination increased rapidly in 17th century. It exposed many problems in the supervision of the examination.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faced severe problems in three sides. It had difficulties in contro...

      The number of people applying for the civil examination increased rapidly in 17th century. It exposed many problems in the supervision of the examination.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faced severe problems in three sides. It had difficulties in controlling the entrance to the examination place, preparing sufficient space for the examination, and grading the examination papers. This article examines what kind of problems there were, and how the government figured out the problems, and what kind of problems remained unsolved.
      The government that tried to deal with an fast-growing number of applicants, abolished the existing routines that were rationalised to avoid the loss of talented people and reinfoced the formal control.
      In detail, it persued efficiency by incorporating more stringent supervision into the second stage exam rather than the first stage exam that required more manpower and resources. And also, it placed a higher value on reality than on justificaion. On the while, the improvement of Civil Examinaton(科擧) in 17th century moved on toward the reinforcement of control and efficien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7세기에는 과거 응시자의 빠른 증가로 인하여 국가의 과거 관리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가장 직접적인 문제로는 入門 통제의 부실, 科場의 공간 부족, 과다한 답안으로 인한 채점의 부실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응시자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와 국가의 대응에 대해 살펴보았다.
      입문 관리의 가장 큰 변화는 會試·殿試에 신원 확인 과정을 도입하고 監試 初試에는 응시자들이 照訖帖과 號牌를 패용하도록 한 것이다. 시험에 따라 관리 방법을 달리 한 것이 그 특징이다.
      과장은 인명 사고의 우려 속에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 初試 과장은 당초 한성부, 동학에 설치되었으나 확장과 신축을 거쳐 숙종 25년 예조와 성균관으로 고정되었고, 庭試, 謁聖試 과장은 창덕궁 인정전과 성균관 명륜당에서 춘당대와 성균관 반수당으로 귀결되었다. 과장은 이후에도 계속 확장되는 경향을 보였다.
      과차는 답안의 증가에 따라 과차 속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다가 숙종 10년 정시는 卽日出榜을 폐지하고 親臨試를 제외한 다른 시험은 人定으로 收券 시간을 제한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과차의 편의를 위해 형식적인 통제를 강화하였다는 점이 주요 특징이다.
      17세기 응시자의 증가에 대응한 국가의 과거 관리는 인재의 누락을 막는다는 명분하에 용인되던 구래의 관행을 폐지하고, 형식적인 통제를 강화하였다는 점이 주요한 특징이다. 그 가운데 많은 인력과 재원이 요구되는 초시보다는 회시의 관리를 강화하여 효율성을 추구하였고, 구래의 명분보다는 현실성을 수용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17세기 국가의 과거 관리는 통제와 그 효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번역하기

      17세기에는 과거 응시자의 빠른 증가로 인하여 국가의 과거 관리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가장 직접적인 문제로는 入門 통제의 부실, 科場의 공간 부족, 과다한 답안으로 인한 채...

      17세기에는 과거 응시자의 빠른 증가로 인하여 국가의 과거 관리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가장 직접적인 문제로는 入門 통제의 부실, 科場의 공간 부족, 과다한 답안으로 인한 채점의 부실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응시자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와 국가의 대응에 대해 살펴보았다.
      입문 관리의 가장 큰 변화는 會試·殿試에 신원 확인 과정을 도입하고 監試 初試에는 응시자들이 照訖帖과 號牌를 패용하도록 한 것이다. 시험에 따라 관리 방법을 달리 한 것이 그 특징이다.
      과장은 인명 사고의 우려 속에 지속적으로 확장되었다. 初試 과장은 당초 한성부, 동학에 설치되었으나 확장과 신축을 거쳐 숙종 25년 예조와 성균관으로 고정되었고, 庭試, 謁聖試 과장은 창덕궁 인정전과 성균관 명륜당에서 춘당대와 성균관 반수당으로 귀결되었다. 과장은 이후에도 계속 확장되는 경향을 보였다.
      과차는 답안의 증가에 따라 과차 속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다가 숙종 10년 정시는 卽日出榜을 폐지하고 親臨試를 제외한 다른 시험은 人定으로 收券 시간을 제한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과차의 편의를 위해 형식적인 통제를 강화하였다는 점이 주요 특징이다.
      17세기 응시자의 증가에 대응한 국가의 과거 관리는 인재의 누락을 막는다는 명분하에 용인되던 구래의 관행을 폐지하고, 형식적인 통제를 강화하였다는 점이 주요한 특징이다. 그 가운데 많은 인력과 재원이 요구되는 초시보다는 회시의 관리를 강화하여 효율성을 추구하였고, 구래의 명분보다는 현실성을 수용하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17세기 국가의 과거 관리는 통제와 그 효율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좌호, "한국과거제도사연구" 범우사 1997

      2 차미희, "조선후기 과거제도 연구의 성과와 과제, in: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2000

      3 "조선왕조실록"

      4 김경용, "조선시대의 학교 및 선발제도에 대한 연구 현황, in: 한국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2005

      5 박연호, "조선시대의 교육․과거에 대한 연구의 현황과 과제, in: 조선시대연구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6 최진옥, "조선시대 생원ㆍ진사연구" 집문당 1998

      7 차미희, "조선 후기 문과제도 - 응시자격을 중심으로 -" 고대사학회 45 : 1996

      8 "승정원일기"

      9 송준호, "사마방목, in: 조선문과방목" 동방미디어주식회사

      10 이성무, "개정증보 한국의 과거제도" 집문당 2000

      1 조좌호, "한국과거제도사연구" 범우사 1997

      2 차미희, "조선후기 과거제도 연구의 성과와 과제, in: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작과 비평사 2000

      3 "조선왕조실록"

      4 김경용, "조선시대의 학교 및 선발제도에 대한 연구 현황, in: 한국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2005

      5 박연호, "조선시대의 교육․과거에 대한 연구의 현황과 과제, in: 조선시대연구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6 최진옥, "조선시대 생원ㆍ진사연구" 집문당 1998

      7 차미희, "조선 후기 문과제도 - 응시자격을 중심으로 -" 고대사학회 45 : 1996

      8 "승정원일기"

      9 송준호, "사마방목, in: 조선문과방목" 동방미디어주식회사

      10 이성무, "개정증보 한국의 과거제도" 집문당 2000

      11 차미희, "續大典의 문과시험 停擧 규정 검토" 한국사학회 64 : 2001

      12 柳希春, "眉巖日記"

      13 金坽, "溪巖日錄"

      14 원창애, "朝鮮時代 文科及第者 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15 차미희, "朝鮮時代 文科制度 硏究" 국학자료원 1999

      16 "國朝文科榜目" 太學社 1984

      17 "單科榜目"

      18 "『經國大典』, 『受敎輯錄』, 『續大典』, 『新補受敎輯錄』"

      19 "『科擧謄錄』(국사편찬위원회 영인, 1995, 各司謄錄 83~86)"

      20 "『科擧事目』, 『詳定科擧規式』『(이동환 해제, 1993, 『서지학보』 9, 영인 수록)"

      21 박현순, "17세기 과거 응시자 증가 현상에 대한 고찰" 한국사학회 (73) : 89-145,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