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군사법경찰관(헌병)의 직무집행 관련법규 정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arrangement Plan for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Military Law Pol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026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고 사회공공의 안녕과 질서의 유지를 위한 경찰행정 작용은 엄격한 법치행정 원칙이 요구됨으로 법령집행 등의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조치...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고 사회공공의 안녕과 질서의 유지를 위한 경찰행정 작용은 엄격한 법치행정 원칙이 요구됨으로 법령집행 등의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조치를 규정해야 한다. 이는 군조직에서 실질적으로 범죄예방 및 수사 그리고 군장병들의 권익을 보호하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헌병과인 군사법경찰관에게 적용되는 내용이다. 그러나 현재 군사법경찰관의 직무와 관련된 법규는 군사법업무와 관련된 규정을 명시하고 있는 「군사법원법」이 유일하며, 일반 경찰조직에서 가지고 있는「경찰관직무집행법」과 같은 직무규정이 제정되어 있지 못하고, 다른 법령의 인용이라는 막연한 상태 하에서 군사법경찰관의 직무수행에 대상이 되는 일반 군인들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법률도 없이 명령과 하위규정 등에 의해 신체의 자유를 침해받고 있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헌병이 범죄수사를 함에 있어 장병과 국민 모두가 수긍할 수 있도록 헌병의 직무에 대한 법적근거를 입법화하여 명확히 규정하는 것이 장병의 인권 보장과 군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조직의 경찰관직무집행법과 유사한 헌병의 직무집행을 위한 작용법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필요성과 가칭 군사법경찰관직무집행법(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ilitary law police, which is representative law enforcement agency under existing Military Court Law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more command and enforcement rights than other arms of service to maintain order, regulation and combat power force...

      The military law police, which is representative law enforcement agency under existing Military Court Law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more command and enforcement rights than other arms of service to maintain order, regulation and combat power force of the Army. The mission of the military police, however, has been conducted under presidential decrees which has insufficient grounds or statues framed by the delegation of authority. The objective of the paper would explore pressing concerns about rearrangement plan for「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Military Law Police」and suggest the draft of the legislation within the cognizance of these vulnerability. Specific proposals of the draft would be amended underlying on current「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Both agencies of the military law police and the civilian police has same ultimate object: Crime Prevention. Direct application of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however, could be risen certain issues because each organization exists for different targets: the people belong to the army and the citizen. Nevertheless, the author claims that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should be formed the basis of rearrangement plan when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Military Law Police」is amended in the Assembly. Legal and institutional rearrangement would be urgent issue for proper performance of military police`s duties because they actively contribute to national security even though the military police fulfill their duties for different target to the poli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춘, "헌병의 직무집행에 대한 법적 고찰 : 군사에 관한 행정경찰권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법무행정대학원 2005

      2 육군본부 헌병감실, "헌병 50년사" 1999

      3 한견우, "행정법Ⅱ" 홍문사 1996

      4 박윤흔, "최신행정법강의(하)" 전영사 1995

      5 김도창, "일반행정법론(下)" 청운사 1993

      6 석종현, "일반행정법(下)" 삼영사 1993

      7 홍정선, "신행정법입문제4판" 박영사 2011

      8 이상규, "신행정법론(下)" 법문사 1994

      9 김원중, "권력적 경찰작용의 불확정개념에 의한 수권여부" 한국경찰학회 10 (10): 23-46, 2008

      10 김호, "군사법의 이해" ESSAY 2011

      1 김태춘, "헌병의 직무집행에 대한 법적 고찰 : 군사에 관한 행정경찰권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법무행정대학원 2005

      2 육군본부 헌병감실, "헌병 50년사" 1999

      3 한견우, "행정법Ⅱ" 홍문사 1996

      4 박윤흔, "최신행정법강의(하)" 전영사 1995

      5 김도창, "일반행정법론(下)" 청운사 1993

      6 석종현, "일반행정법(下)" 삼영사 1993

      7 홍정선, "신행정법입문제4판" 박영사 2011

      8 이상규, "신행정법론(下)" 법문사 1994

      9 김원중, "권력적 경찰작용의 불확정개념에 의한 수권여부" 한국경찰학회 10 (10): 23-46, 2008

      10 김호, "군사법의 이해" ESSAY 2011

      11 김광일, "군사법경찰관의 전문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헌병 수사관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12 오재경, "군사법경찰관(헌병)의 직무집행에 관한 연구 : 불심검문과 장구·무기사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8

      13 오윤성, "군 사법제도 개선 방향에 대한 고찰 - 사법개혁위원회 안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학회 7 (7): 79-103, 2005

      14 김형중, "경찰학개론" 청목출판사 2010

      15 임종수, "경찰작용법제에 관한 고찰" 한국경찰학회 2 (2): 206-222,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4 1.24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0.97 1.211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