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주환, "활성탄을 이용한 암모니아의 흡착" 158-164, 1997
2 박흥재, "폐 재첩과 굴 패각의 재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18 (18): 319-325, 2001
3 이상민, "축산폐수의 질소 제거효율 향상을 위한 복합형 공정" 23 (23): 681-687, 2001
4 홍지형, "축산폐기물 자원화, 초판" 동화기술 15-30, 1999
5 김은호, "정석탈인공정의 정석재로써 폐굴껍질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23 (23): 133-138, 1997
6 김영수, "전해 활성탄을 이용한 피혁폐수의 암모니움 제거에 관한 연구" 13 (13): 435-440, 1997
7 박흥재, "재첩과 굴 패각의 소성특성" 23 (23): 1835-1842, 2001
8 이한섭, "재첩과 굴 패각 등 폐패각류의 소성 특성" 한국환경보건학회 30 (30): 427-431, 2004
9 김형순, "백색 부후균의 변이주인 Phanerochaete chrysosporium PSBL-1을 이용한 축산폐수와 하수의 연계처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3
10 박성식, "굴패각으로부터 침강성 탄산칼슘의 제조와 형태 및 입도제어에 관한 연구" 14 (14): 871-882, 1997
1 성주환, "활성탄을 이용한 암모니아의 흡착" 158-164, 1997
2 박흥재, "폐 재첩과 굴 패각의 재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18 (18): 319-325, 2001
3 이상민, "축산폐수의 질소 제거효율 향상을 위한 복합형 공정" 23 (23): 681-687, 2001
4 홍지형, "축산폐기물 자원화, 초판" 동화기술 15-30, 1999
5 김은호, "정석탈인공정의 정석재로써 폐굴껍질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23 (23): 133-138, 1997
6 김영수, "전해 활성탄을 이용한 피혁폐수의 암모니움 제거에 관한 연구" 13 (13): 435-440, 1997
7 박흥재, "재첩과 굴 패각의 소성특성" 23 (23): 1835-1842, 2001
8 이한섭, "재첩과 굴 패각 등 폐패각류의 소성 특성" 한국환경보건학회 30 (30): 427-431, 2004
9 김형순, "백색 부후균의 변이주인 Phanerochaete chrysosporium PSBL-1을 이용한 축산폐수와 하수의 연계처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3
10 박성식, "굴패각으로부터 침강성 탄산칼슘의 제조와 형태 및 입도제어에 관한 연구" 14 (14): 871-882, 1997
11 이방희, "굴 폐각과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P 및 NH4+-N 제거" 한국환경분석학회 9 (9): 55-62, 2006
12 이주영, "굴 패화석시용에 따른 토양 내 중금속 동태 변화" 한국환경농학회 24 (24): 358-363, 2005
13 김필주, "굴 패화석 비료가 배추 수량 및 토양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 38 (38): 274-280, 2005
14 김순호, "굴 패각을 이용한 지반 개량형 고화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학회 19 (19): 855-863, 2002
15 농림부,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2000년 12월 가축통계"
16 환경부, "Zeolite를 이용한 질소․인 동시제거 공정개발, pp 41~51"
17 W.H Park, "Roles of oyster shells in an integrated constructed wetland system designed for P removal" 34 : 50-56, 2008
18 Chang Hoon, Lee, "Effects of oyster shell on soil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and cabbage productivity as a liming materials" Waste Management 1-7, 2008
19 Michael J. Semmens, "Ammonium removal from water using microporous hollow fibers" 12 (12): 7-140, 1990
20 Mercer, B. W., "Ammonia removal from secondary effluents by ion exchange" 95-107,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