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본 갑주의 유형과 변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apanese Gap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421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arious weapons were developed to effectively carry out war and suits of armours to defend these also developed. A gapju refers to a helmet and an armour. Japanese gapju developed with the times in the order of Dangap, Guegap, Daegae, Donghwan, Bokwon...

      Various weapons were developed to effectively carry out war and suits of armours to defend these also developed. A gapju refers to a helmet and an armour. Japanese gapju developed with the times in the order of Dangap, Guegap, Daegae, Donghwan, Bokwon, Dangseigujok but suits of armour referred to all of this.<br/>
      Ancient gapju was introduced from Korea along with farming techniques, iron, and bronze, during the middle ages, Daegae and Sungdu which were most appropriate for cavalry battle where the bow and arrow and large knives were the major weapons. Daegae has brilliant colours but its biggest flaw was that it was too heavy being made our of iron. Afterwards, along with the change from cavalry battles to group battles with close fights with the sword and spear, Donghwan, Bokwon, along with Keundu and Agota type Du which were lighter and more effecient to fight in thant the Daegae were used. Upon entering into the modern times, with the influence of western goods, a new weapon iron guns were used and a major change came over the gapju, and gave birth to Dangseigujok which was a reformation of the Donghwan. It was strong and easy to make with more shapes and types. However, due to the peaceful times of the Edo Period, suits of armour made for actual war was replaced with gapju elaborately decorated with ornaments. As such, gapju developed and changed along with weapons development and changes in strategy and art of war.<br/>
      Although a gapju main purpose is to protect the body in combat but it also has the effect of intimidating the opponent by showing a dignified appearance. Therefore, it reflects awareness of beauty such as color, design and moulding. Therefore, it carries the value of art as it encompasses artistic crafts such as metal molding, painting, dying, and lea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갑주의 종류
      • Ⅲ. 갑주의 변천요인
      • Ⅳ. 결론

      • Ⅰ. 서론
      • Ⅱ. 갑주의 종류
      • Ⅲ. 갑주의 변천요인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에 박종경 이 편찬하여 간행된 군사교범 이다. 각종 무기를 도해 하고 그 규격과 용법등의 설명을 붙인 책이다." 1813년

      2 "腹卷の名稱と構造" 65-, 1962

      3 "胴丸の 肩上と 押付 押付板-南北朝時代" 風俗 31 (風俗 31): 27-, 1991

      4 "聖武천황의 죽음 후 황녀였던 孝謙천황이 聖武천황의 유품을 東大寺 외 18곳의 절에 헌납하고 명복을 빌었다. 동대사에 분납된 유품 목록이 東大寺物帳이다." 756

      5 "武裝の構成と變遷-大鎧への道" 四天王國際敎大學短期大學 25 6-, 1983

      6 "武裝の構成と變遷 第4報-世具足形成期-" 四天王國際敎大學短期大學 31 40-, 1990

      7 "日本甲の 基礎知識" 63-, 1990

      8 "日本の甲について、武野女子大學紀要 27" 154-, 1992

      9 "日本の 甲 武具" 東京美術 20-, 2004

      10 "文獻과 考古學資料에 보이는 한국의 古代甲" 27 : 41-, 2000

      1 "에 박종경 이 편찬하여 간행된 군사교범 이다. 각종 무기를 도해 하고 그 규격과 용법등의 설명을 붙인 책이다." 1813년

      2 "腹卷の名稱と構造" 65-, 1962

      3 "胴丸の 肩上と 押付 押付板-南北朝時代" 風俗 31 (風俗 31): 27-, 1991

      4 "聖武천황의 죽음 후 황녀였던 孝謙천황이 聖武천황의 유품을 東大寺 외 18곳의 절에 헌납하고 명복을 빌었다. 동대사에 분납된 유품 목록이 東大寺物帳이다." 756

      5 "武裝の構成と變遷-大鎧への道" 四天王國際敎大學短期大學 25 6-, 1983

      6 "武裝の構成と變遷 第4報-世具足形成期-" 四天王國際敎大學短期大學 31 40-, 1990

      7 "日本甲の 基礎知識" 63-, 1990

      8 "日本の甲について、武野女子大學紀要 27" 154-, 1992

      9 "日本の 甲 武具" 東京美術 20-, 2004

      10 "文獻과 考古學資料에 보이는 한국의 古代甲" 27 : 41-, 2000

      11 "弟9回企展錄 武士行列-甲の 世界" 8-, 1990

      12 "延喜式이란 養老律令의 시행 세부 항목을 집대성한 고대법전 에 藤原時平 외 11명의 위원에 의해 편집을 시작하였기 때문에 延喜式이라고 하였다. 그 후 수정을 더하여 40년 후 康保4년 에 시행되었다."

      13 "原色 日本服飾史" 光琳社出版 27-, 1998

      14 "Op. cit." -69, 1990

      15 "Op. cit." 20-, 1989

      16 "Op. cit." 16-, 1983

      17 "Op. cit." 22-, 1989

      18 "Op. cit." 15-, 1989

      19 "Op. cit." 10-,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KCI등재후보
      2019-04-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ociety for culture of HAN-BOK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 0.67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