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의 특성과 소비자의 설득지식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튜브의 뷰티 인플루언서를 중심으로 = Effect of Influencer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Persuasion Knowledge on Consumer WOM Int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75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al media has emerged as a major channel of information and exploration for many consumers, and companies are paying close attention to marketing using social media influencers, who have the ability to affect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of consum...

      Social media has emerged as a major channel of information and exploration for many consumers, and companies are paying close attention to marketing using social media influencers, who have the ability to affect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of consumers through social media.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s, and consumer persuasion knowledge on consumer WOM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expertise and homogeneity of influencers in social media had a positive impact on consumer WOM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the expertise and homogeneity of the influencer, and the persuasion knowledge of the consume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tise of the influencer had a greater effect on consumer WOM intention when the influencer was perceived as showing a high degree of homogeneity and the consumer had a high level of persuasion knowledg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소셜미디어가 소비자의 주요 정보탐색 채널로 대두되며, 기업은 소셜미디어 내에서 소비자의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에 주목하고있다...

      소셜미디어가 소비자의 주요 정보탐색 채널로 대두되며, 기업은 소셜미디어 내에서 소비자의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에 주목하고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의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인플루언서의 정보원특성과 소비자의 설득지식에 주목하였다. 연구 결과, 소셜미디어 내 인플루언서의 정보원 특성인 전문성과 동질성은 각각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동질성보다 전문성이 구전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동질성과전문성, 소비자의 설득지식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삼원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설득지식이 높게 활성화되는 구간에서 동질성과 전문성은 구전의도에 유의한영향을 보였다. 특히 설득지식이 높게 활성화되고 동질성이 높은 경우에 전문성은 구전의도에더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플루언서의 상업적 콘텐츠에대한 고지를 의무화하는 규제가 심화하는 현시점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대한 소비자의 설득지식이 활성화될 때 정보원의 특성인 전문성과 동질성이 소비자 반응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설득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 간의 복합적인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이론적 또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하림,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에 따른 기업 페이스북 페이지에서의 광고 효과: 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 규범적 대인민감성, 정보적 대인민감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5 (25): 7-42, 2014

      2 오지연, "인플루언서의 신뢰성과 매력성이 관계유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Z/Y세대를 중심으로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57) : 261-270, 2019

      3 김은재, "인플루언서 마케팅에서 정보원 유형과 경제적 대가 표시에 따른 광고 효과 연구 : 유튜브(YouTube)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297-306, 2019

      4 조수영, "인터넷 건강 정보의 정보원 유형과 상업 링크 유무, 질병의 심각성에 따른 설득 효과 차이: 설득지식모델의 적용" 한국언론학회 55 (55): 123-152, 2011

      5 이맹탁, "유튜브(YouTube) 뷰티 인플루언 서 속성이 콘텐츠 태도, 제품 태도, 구전의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광고학회 31 (31): 117-142, 2020

      6 정용국, "여대생의 뷰티 유튜브 이용동기 및 시청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25 (25): 7-28, 2018

      7 김선화, "신입생 유치를 위한 대학홍보의 설득효과 연구 - 메시지형태와 정보원유형의 영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94) : 148-176, 2012

      8 최지윤,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 전략: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8 (28): 47-72, 2017

      9 하미연, "보상된 추천 인지가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인스타그램 화장품 홍보성 포스트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75-88, 2019

      10 김나영, "미샤, 유튜버 홀리와 함께한 신제품 3천 개 사전판매 2분 30초만에 완판"

      1 김하림, "정보원의 사회적 거리감에 따른 기업 페이스북 페이지에서의 광고 효과: 메시지의 노골적 설득 의도, 규범적 대인민감성, 정보적 대인민감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5 (25): 7-42, 2014

      2 오지연, "인플루언서의 신뢰성과 매력성이 관계유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Z/Y세대를 중심으로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57) : 261-270, 2019

      3 김은재, "인플루언서 마케팅에서 정보원 유형과 경제적 대가 표시에 따른 광고 효과 연구 : 유튜브(YouTube)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297-306, 2019

      4 조수영, "인터넷 건강 정보의 정보원 유형과 상업 링크 유무, 질병의 심각성에 따른 설득 효과 차이: 설득지식모델의 적용" 한국언론학회 55 (55): 123-152, 2011

      5 이맹탁, "유튜브(YouTube) 뷰티 인플루언 서 속성이 콘텐츠 태도, 제품 태도, 구전의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광고학회 31 (31): 117-142, 2020

      6 정용국, "여대생의 뷰티 유튜브 이용동기 및 시청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25 (25): 7-28, 2018

      7 김선화, "신입생 유치를 위한 대학홍보의 설득효과 연구 - 메시지형태와 정보원유형의 영향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94) : 148-176, 2012

      8 최지윤,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 전략: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8 (28): 47-72, 2017

      9 하미연, "보상된 추천 인지가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인스타그램 화장품 홍보성 포스트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 (20): 75-88, 2019

      10 김나영, "미샤, 유튜버 홀리와 함께한 신제품 3천 개 사전판매 2분 30초만에 완판"

      11 유은아, "네이티브 광고 효과 연구 : 광고인지 여부, 설득의도, 제품관여도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30 (30): 93-116, 2019

      12 김선아, "광고인 듯 광고 아닌 광고 같은 너, 인플루언서 마케팅" 한국마케팅연구원 51 (51): 56-66, 2017

      13 Mediakix, "Why the influencer marketing industry will be a $5–$10 billion dollar market in the next 5 years"

      14 Taillon, B. J.,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media influencers and their followers : The moderating role of closeness" 29 (29): 1-16, 2020

      15 Balabanis, G., "Under the influence of a blogger : The role of information‐seeking goals and issue involvement" 36 (36): 342-353, 2019

      16 Hair, N., "Toward a classification system of relational activity in consumer electronic communities : The moderators' tale" 9 (9): 54-65, 2010

      17 Monge, P. R., "Theories of communication networks"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8 Friestad, M., "The persuasion knowledge model : How people cope with persuasion attempts" 21 (21): 1-31, 1994

      19 Ki, C. W. C., "The mechanism by which social media influencers persuade consumers : The role of consumers' desire to mimic" 36 (36): 905-922, 2019

      20 McCroskey, J. C.,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of perceived homophily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1 (1): 323-332, 1975

      21 Spiller, S. A., "Spotlights, floodlights, and the magic number zero : Simple effects tests in moderated regression" 50 (50): 277-288, 2013

      22 Wood, M. L., "Social utility theory : Guiding labeling of VNRs as ethical and effective public relations" 20 (20): 231-249, 2008

      23 Uribe, R., "Sidedness, commercial intent and expertise in blog advertising" 69 (69): 4403-4410, 2016

      24 이주희, "SNS의 인지된 상업성이 사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이용자 분석을 토대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07) : 259-289, 2015

      25 홍석재, "SNS 인플루언서, 광고성 글 첫 줄에 “돈 받았다” 밝혀야"

      26 이경렬, "SNS 동영상형 네이티브광고에 대한 광고 혹은 정보 구분의 모호성이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설득지식 활성화 수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6 (26): 117-138, 2018

      27 Dhanesh, G. S., "Relationship management through social media influencers : Effects of followers' awareness of paid endorsement" 45 (45): 1017-1065, 2019

      28 Bower, A. B., "Is beauty best? Highly versus normally attractive models in advertising" 30 (30): 1-12, 2001

      29 Hayes,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2017

      30 Sokolova, K., "Instagram and YouTube bloggers promote it, why should I buy? How credibility and parasocial interaction influence purchase intentions" 53 : 2019

      31 Watts, D. J., "Influentials, networks, and public opinion formation" 34 (34): 441-458, 2007

      32 Casaló, L. V., "Influencers on Instagram :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opinion leadership" 117 : 510-519, 2018

      33 Lou, C., "Influencer marketing : How message value and credibility affect consumer trust of branded content on social media" 19 (19): 58-73, 2019

      34 Praxmarer, S., "How a presenter's perceived attractiveness affects persuasion for attractiveness-unrelated products" 30 (30): 839-865, 2011

      35 Bower, A. B., "Highly attractive models in advertising and the women who loathe them : The implications of negative affect for spokesperson effectiveness" 30 (30): 51-63, 2001

      36 Edwards, S. M., "Forced exposure and psychological reactance :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perceived intrusiveness of pop-up ads" 31 (31): 83-95, 2002

      37 Xiao, M., "Factors affecting YouTube influencer marketing credibility : A heuristic-systematic model" 15 (15): 188-213, 2018

      38 Van Reijmersdal, E. A., "Effects of disclosing sponsored content in blogs : How the use of resistance strategies mediates effects on persuasion" 60 (60): 1458-1474, 2016

      39 Hughes, C., "Driving brand engagement through online social influencers :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sponsored blogging campaigns" 83 (83): 78-96, 2019

      40 Balasubramanian, S. K., "Beyond advertising and publicity : Hybrid messages and public policy issues" 23 (23): 29-46, 1994

      41 Knoll, J., "Advertising in social media : A review of empirical evidence" 35 (35): 266-300, 2016

      42 Wu, M., "A tale of two sources in native advertising : Examining the effects of source credibility and priming on content, organizations and media evaluations" 60 (60): 1492-1509, 2016

      43 Lee, J., "A double-edged sword? Predicting consumers'attitudes toward and sharing intention of native advertising on social media" 60 (60): 1425-1441, 2016

      44 Rival IQ, "2018 social media industry benchmark report" 2018

      45 Boerman, S. C., ""This post is sponsored" : Effects of sponsorship disclosure on persuasion knowledge and electronic word of mouth in the context of Facebook" 38 : 82-92,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광고학보 -> 한국광고홍보학보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72 2.31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