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행정연수원은 2016년 직무전문교육과정 중 ‘지방행정 중견관리자 과정’으로 소통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설계해 줄 것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연구팀에 의뢰하였다. 교육과정은 지방 5,...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93384
2016
-
300
학술저널
188-201(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방행정연수원은 2016년 직무전문교육과정 중 ‘지방행정 중견관리자 과정’으로 소통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설계해 줄 것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연구팀에 의뢰하였다. 교육과정은 지방 5,...
지방행정연수원은 2016년 직무전문교육과정 중 ‘지방행정 중견관리자 과정’으로 소통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설계해 줄 것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연구팀에 의뢰하였다. 교육과정은 지방 5, 6급 공무원 40명을 대상으로 5일(35시간) 동안 이루어지게 될 예정이다. 이중 본 사례의 주제인 명목집단법을 활용한 역할연기는 교육과정 3일차에 7시간 편성되어 있다.
역할연기는 소통의 원리와 절차를 학습한 이후 이를 적용하고 종합적으로 실습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그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 때, 사용성 평가를 통해 지방 5,6급 공무원들이 업무를 하며 전형적으로 부딪히게 되는 사례를 수집하여 반영할 것이 요구되었으며 학습자 특성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소극적인 교육 활동 참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 또한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반영한 독자적인 역할연기 교육기법의 개발 및 구체화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적절한 방법론이 부재하였고 탐색을 통해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하게 되었다.
본 교육과정에서는 역할연기를 수행하게 될 소그룹이 문제 상황을 해결해나가는 시나리오를 작성하는데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한다. 먼저 상황을 제시하고 개별 조원에게 포스트잇에 자신의 문제해결방식을 작성할 수 있는 시간을 부여한 후, 개별 사례 중 최선의 방법을 선정한다. 이러한 방법을 주어진 상황별로 반복하여 시나리오를 완성하고 조별 리허설 및 발표를 실시한다. 명목집단기법을 활용한 역할연기를 통해 설계자가 개발하여 제시한 다양한 상황을 기반으로 학습자들이 개별적이면서도 적극적으로 시나리오 작성 및 역할연기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교교육을 위한 웹기반 동영상 서비스 특징 비교 및 수업 활용 실태 분석
대안적 ISD(약한 탈(脫)-ISD) 모델의 중학교 현장적용 시도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K 중학교의 대규모 진로교육 멘토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메이커 페다고지(Maker Pedagogy)로서 TMSI 모형의 가능성 탐색: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모바일 학습 전달매체로서의 스팻(SPAT)포맷의 잠재력과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