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7mm(1978~2007)로 세계 평균의 1.6배 많지만 1인당 연강수총 량은 연간 2,629m3으로 세계 평균의 1/6배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시설재배지에서 관개시 물절약 기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83053
2014
-
500
학술저널
169-169(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7mm(1978~2007)로 세계 평균의 1.6배 많지만 1인당 연강수총 량은 연간 2,629m3으로 세계 평균의 1/6배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시설재배지에서 관개시 물절약 기술...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7mm(1978~2007)로 세계 평균의 1.6배 많지만 1인당 연강수총 량은 연간 2,629m3으로 세계 평균의 1/6배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시설재배지에서 관개시 물절약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토양수분 함량별로 온실가스인 아산화질소(N2O) 배출량을 평가하여 관개기술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사양토인 시설재배지 건토양을 와그너 폿트(1/5000a)에 8kg 담고 경기도농업기술원 유리온실내(평균온도 25±2℃)에서 2012년 1월부터 2월까지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질소원은 요소(N 함량 46%)로 각각의 폿트에 10g씩 시용하였다. 토양수분은 15,18, 21, 24% 4수준으로 각각 조절하였으며 3일 간격으로 지하수를 보충하였다. N2O 발생량은 처리 후 1일부터 39일간 GC-ECD(Varian 450)로 24회 조사하였다. N2O 일일 배출량은 토양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처리 후 초기에 많이 나오는 경향이었으며, 토양수분 함량 24%에서는 처리 후 21일경, 21%에서는 24일경, 18%에서는 29일경, 15%에서는 37일경에 N2O 일일 배출량이 가장 많았다(Fig. 1). N2O 누적 배출량과 토양수분 함량과의 관계를 시기별로 회귀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Fig. 2). 처리 후 초기(처리 후 1∼14일)와 처리 후 중기(처리 후 16∼25일)에서는 토양수분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N2O 배출량이 많아졌다. 처리 후 후기(처리 후 28∼39일)에서는 토양수분 함량20.9%까지는 N2O 발생이 증가하다 그 후 다시 감소하였다. 처리 후 초기부터 후기까지 전 기간(처리 후 1∼39일)에서의 N2O는 토양수분 함량 23.2%까지는 증가하다 다시 감소하였다. 따라서 N2O 배출량을 고려할 때, 시설하우스에서는 물을 절약하는 관개기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수질 환경 분야PW-17 : 반응시간에 따른 SOB 바이오센서의 아질산성질소(NO2 --N) 농도별 독성탐지능력 평가
05 포스터 발표 : 수질 환경 분야PW-18 ; 황산화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감시장치의 실제하천 이용 시 독성 탐지연구
토양환경 분야PS-11 : 친환경농업 실천농가 온실가스 탄소배출량 산정
05 포스터 발표 : 토양환경 분야PS-12 ; 쌀 주산단지 재배 현미의 중금속 흡수이행 및 생물농축계수 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