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오염물질 중 중금속은 토양내 유입되면 이동성이 적고 장기간 축적되어 작물의 생육저해 및 먹이연쇄계를 통하여 인축에 피해를 준다. 중금속 오염지의 환경위해성평가는 오염물질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83055
2014
-
500
학술저널
171-17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토양오염물질 중 중금속은 토양내 유입되면 이동성이 적고 장기간 축적되어 작물의 생육저해 및 먹이연쇄계를 통하여 인축에 피해를 준다. 중금속 오염지의 환경위해성평가는 오염물질의 ...
토양오염물질 중 중금속은 토양내 유입되면 이동성이 적고 장기간 축적되어 작물의 생육저해 및 먹이연쇄계를 통하여 인축에 피해를 준다. 중금속 오염지의 환경위해성평가는 오염물질의 인체 노출 경로로 농작물섭취, 음용수 섭취, 토양 섭취, 토양 및 음용수 피부접촉, 비산먼지 흡입을 산정하고 있는데 이 중 농작물섭취에 의한 인체 노출량은 농산물의 일일 섭취량과 농산물 중 오염물질농도 산정하여 추정하는데 현재 이에 대한 국내 자료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쌀주산단지 거주 주민의 위해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 생산되는 쌀의 중금속 흡수이행 정도를 파악하여 생물농축계수를 산정하였다. 쌀의 중금속 생물농축계수 산정은 국내 쌀 생산량이 상위권인 전국 16개 시군 쌀 주산단지를 대상으로 시군별로 2~6점의 시료 채취가 가능한 지점을 선정하여 토양시료와 동일 지점에서 재배한 쌀을 총 82개 지점에서 채취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생물농축계수(BCF)의 산정은 BCF = Cp(농작물내 중금속농도, DW mg/kg) / Cs(토양농도, mg/kg)로 계산되었다. 조사 쌀의 평균 BCF값은 As는 0.101, Cd는 0.121, Cu는 0.399, Hg는 0.061, Ni는 0.033, Pb는 0.010, Zn은 0.473 등으로 조사되었다. 원소별로 구분해 볼 때 Hg, Ni,Pb 등은 가식부위로의 전이율이 낮은 반면 작물의 필수 영양성분의 일종인 Cu, Zn이 전이율은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국내 중금속 오염지역의 환경위해성 평가체계를 구축하는데 국내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한다.
수질 환경 분야PW-17 : 반응시간에 따른 SOB 바이오센서의 아질산성질소(NO2 --N) 농도별 독성탐지능력 평가
05 포스터 발표 : 수질 환경 분야PW-18 ; 황산화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감시장치의 실제하천 이용 시 독성 탐지연구
05 포스터 발표 : 토양환경 분야PS-10 ; 토양수분이 아산화질소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
토양환경 분야PS-11 : 친환경농업 실천농가 온실가스 탄소배출량 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