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투자율, 고포화자화 FeZrBAg 연자성 박막의 자기적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088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투자율 및 고포화자화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새로운 연자성 박막을 개발하기 위해 Fe-Zr-B계 조성에 Fe원소와 비고용 원소인 Ag를 첨가시킨 Fe_(86.7)Zr_(3.3)B₄Ag_6 비정질 박막을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제조한 후 일축 자장중에서 1시간 동안 진공 열처리를 한 후 fan을 이용하여 냉각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Fe_(86.7)Zr_(3.3)B₄Ag_6 박막을 400 ℃에서 열처리한 경우 1.7 T의 높은 포화자화와 1 Oe의 낮은 보자력으로 인해 50 ㎒에서 투자율이 7,800(0.2 mOe)으로 우수한 연자기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1 ㎒에서 손실이 1.4 W/cc(Bm=0.1 T)로 매우 낮았다. 이러한 우수한 고주파 연자기 특성은 Ag 첨가에 의해 비정질 기지에 미세한 bcc α-Fe cluster가 균일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번역하기

      고투자율 및 고포화자화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새로운 연자성 박막을 개발하기 위해 Fe-Zr-B계 조성에 Fe원소와 비고용 원소인 Ag를 첨가시킨 Fe_(86.7)Zr_(3.3)B₄Ag_6 비정질 박막을 DC 마그네트...

      고투자율 및 고포화자화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새로운 연자성 박막을 개발하기 위해 Fe-Zr-B계 조성에 Fe원소와 비고용 원소인 Ag를 첨가시킨 Fe_(86.7)Zr_(3.3)B₄Ag_6 비정질 박막을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제조한 후 일축 자장중에서 1시간 동안 진공 열처리를 한 후 fan을 이용하여 냉각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Fe_(86.7)Zr_(3.3)B₄Ag_6 박막을 400 ℃에서 열처리한 경우 1.7 T의 높은 포화자화와 1 Oe의 낮은 보자력으로 인해 50 ㎒에서 투자율이 7,800(0.2 mOe)으로 우수한 연자기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1 ㎒에서 손실이 1.4 W/cc(Bm=0.1 T)로 매우 낮았다. 이러한 우수한 고주파 연자기 특성은 Ag 첨가에 의해 비정질 기지에 미세한 bcc α-Fe cluster가 균일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gnetic properties of sputtered amorphous Fe_(86.7)Zr_(3.3)B₄Ag_6 thin films, which contains an additional insoluble element Ag, have been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uniaxal field annealing temperature. The amorphous Fe_(86.7)Zr_(3.3)B₄Ag_6 thin films produced by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nealing at 400 ℃ for 1 hour was found to have very high permeability of 7800 at 50 ㎒, 0.2 mOe, high magnetization of 1.7 T, low coercivity of 1.0 Oe and very low core loss of 1.4 W/cc at 1 ㎒, 0.1 T, respectively. It is notable that the permeability and core loss values for various kinds of the soft magnetic thin films reported up to now. The reason for the appearance for the good soft magnetic properties is presumably due to the homogeneous formation of very fine bee α-Fe clusters with the size in the amorphous Fe_(86.7)Zr_(3.3)B₄Ag_6 thin films matrix, which can be deduced from the XRD results.
      번역하기

      The magnetic properties of sputtered amorphous Fe_(86.7)Zr_(3.3)B₄Ag_6 thin films, which contains an additional insoluble element Ag, have been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uniaxal field annealing temperature. The amorphous Fe_(86.7)Zr_(3.3)B₄Ag_...

      The magnetic properties of sputtered amorphous Fe_(86.7)Zr_(3.3)B₄Ag_6 thin films, which contains an additional insoluble element Ag, have been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uniaxal field annealing temperature. The amorphous Fe_(86.7)Zr_(3.3)B₄Ag_6 thin films produced by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nealing at 400 ℃ for 1 hour was found to have very high permeability of 7800 at 50 ㎒, 0.2 mOe, high magnetization of 1.7 T, low coercivity of 1.0 Oe and very low core loss of 1.4 W/cc at 1 ㎒, 0.1 T, respectively. It is notable that the permeability and core loss values for various kinds of the soft magnetic thin films reported up to now. The reason for the appearance for the good soft magnetic properties is presumably due to the homogeneous formation of very fine bee α-Fe clusters with the size in the amorphous Fe_(86.7)Zr_(3.3)B₄Ag_6 thin films matrix, which can be deduced from the XRD resul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