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article, I analyzed Shin Ik-sung(申翊聖)'s travel essays to Mt. Geumgang to identify its stylistic features,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stylistic diversification of travel essays. After visiting Mt. Geumgang, Shin Ik-sung created a c...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40896
김광년 (고려대학교)
2020
Korean
申翊聖 ; 樂全堂 ; 金剛山 ; 遊記 ; 記 ; 金剛山內外記 ; 遊金剛小記 ; 筆記 ; 文體 ; 多變化 ; 朝鮮後期 ; Shin Ik-sung(申翊聖) ; Nakjeon-dang(樂全堂) ; Travel essay(遊記) ; Biji(筆記) ; Mt. Geumgang(金剛山) ; Style ; Diversification ; The Late Joseon Dynasty
KCI등재
학술저널
85-112(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analyzed Shin Ik-sung(申翊聖)'s travel essays to Mt. Geumgang to identify its stylistic features,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stylistic diversification of travel essays. After visiting Mt. Geumgang, Shin Ik-sung created a c...
In this article, I analyzed Shin Ik-sung(申翊聖)'s travel essays to Mt. Geumgang to identify its stylistic features,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stylistic diversification of travel essays.
After visiting Mt. Geumgang, Shin Ik-sung created a collection of poems, Dongyurok(東遊錄), and travel essays, Geumgangsan naewoegi(金剛山內外記) and YuGeumgang sogi(遊金剛小記). Geumgangsan naewoegi summed up the geographical facts about Mt. Kumgang. YuGeumgang sogi expressed Shin Ik-sung's feelings and experience of traveling to Mt. Geumgang in the form of a Biji(筆記). The two works have distinct personalities. His creative attitude is based on a new of style, and it was the result of various acts such as the succession of the academic tradition of the family, the taste of reading, and the influence of literature in the Song(宋) and Ming(明) Dynasties.
As a result, I think the literary experiment of Shin Ik-sung was succeeded to later generations and served as the basis for the variations of the travel essays.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樂全堂 申翊聖(1588-1644)이 金剛山을 유람하고 남긴 산문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文體的 특징을 규명하고, 이를 遊記 문체의 多變化 양상과 연관지어 설명하였다. 신익성은 금...
이 논문은 樂全堂 申翊聖(1588-1644)이 金剛山을 유람하고 남긴 산문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文體的 특징을 규명하고, 이를 遊記 문체의 多變化 양상과 연관지어 설명하였다.
신익성은 금강산 유람을 통해 시집 東遊錄과 기문 「金剛山內外記」, 「遊金剛小記」를 창작하였다. 「금강산내외기」는 금강산에 대한 인문지리적 사실들을 종합하여 정리한 것이고, 「유금강소기」는 筆記體의 형식을 통해 금강산 유람 체험과 그에 따른 정감을 진솔하게 표현한 것으로서, 두 작품은 그 성격이 뚜렷하게 구분된다. 이러한 창작 태도는 신익성의 뚜렷한 문체 의식에 기반하는 것이며, 그것은 가학의 계승에 따른 문체 의식과 독서 취향, 宋代 및 明代 등 중국 문예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신익성이 감행하였던 문체 실험과 그 결과는 후대에까지 계승되어 17-18세기 산수유기의 다양한 변주의 근간으로 작용했다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申翊聖, "樂全堂集" 한국고전번역원
2 申翊聖, "樂全堂稿, 後孫家藏本"
3 양승이, "金剛山 관련 文學作品에 나타난 儒家的 思惟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4 정우봉, "조선후기 遊記의 글쓰기 및 향유방식의 변화" 한국한문학회 (49) : 101-136, 2012
5 안대회, "조선 후기 小品體 遊記의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79) : 211-243, 2012
6 이종묵, "유산의 풍속과 유기류의 전통" 한국고전문학회 12 : 385-407, 1997
7 김은정, "신익성의 金剛山 유람과 문학적 표현" 진단학회 (98) : 107-129, 2004
8 이남면, "신익성의 산수유기 소고"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00-409, 2007
9 김은정, "신익성(申翊聖)의 심양(瀋陽) 체험 기록 『북정록(北征錄)』" 동양학연구원 (56) : 197-217, 2014
10 장유승, "낙전당집" 학자원 2016
1 申翊聖, "樂全堂集" 한국고전번역원
2 申翊聖, "樂全堂稿, 後孫家藏本"
3 양승이, "金剛山 관련 文學作品에 나타난 儒家的 思惟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4 정우봉, "조선후기 遊記의 글쓰기 및 향유방식의 변화" 한국한문학회 (49) : 101-136, 2012
5 안대회, "조선 후기 小品體 遊記의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79) : 211-243, 2012
6 이종묵, "유산의 풍속과 유기류의 전통" 한국고전문학회 12 : 385-407, 1997
7 김은정, "신익성의 金剛山 유람과 문학적 표현" 진단학회 (98) : 107-129, 2004
8 이남면, "신익성의 산수유기 소고"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400-409, 2007
9 김은정, "신익성(申翊聖)의 심양(瀋陽) 체험 기록 『북정록(北征錄)』" 동양학연구원 (56) : 197-217, 2014
10 장유승, "낙전당집" 학자원 2016
11 김은정, "낙전당 신익성의 문학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2 김동준, "韓國漢文學史에 표상된 中國 西湖의 전개와 그 지평" 한국고전연구학회 (28) : 77-124, 2013
13 김광년, "象村 申欽 散文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14 張維, "谿谷集" 한국고전번역원
15 王立群, "论宋代游记多样化的原因" 河南大学 31 (31): 47-51, 1991
16 钟继刚, "论唐代游记写作的多样风格" 四川省社会科学院 (4) : 92-94, 2003
17 成海應, "硏經齋全集" 한국고전번역원
18 김우정, "申翊聖 壽序의 두 가지 讀法" 근역한문학회 39 : 149-178, 2014
19 王立群, "游记的文体要素与游记文体的形成" 中国社会科学院文学研究所 (3) : 155-160, 2005
20 梅新林, "游记文体之辨" 中国社会科学院 文学研究所 (6) : 35-41, 2005
21 董武, "浅谈宋代楼台游记散文的议论化" 荆州师范学院 (1) : 42-44, 2001
22 김은정, "平山申門 文學의 다양성과 의의 -申欽·申翊聖 散文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65) : 61-91, 2014
23 "四庫全書總目提要, 사고전서본"
24 何小庭, "古代游记论略" 北京联合大学旅游学院 2 (2): 45-49, 1987
25 정민,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휴머니스트 퍼블리싱 컴퍼니 157-180, 2007
26 정민, "16·7세기 조선 문인지식인층의 江南熱과 西湖圖" 한국고전문학회 22 : 10-306, 2002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공간인식 연구 -正陽寺 歇惺樓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10-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 ![]() |
2017-10-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7 | 0.77 | 0.7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 | 0.86 | 1.77 | 0.28 |
Chris Styles: Applications Engineer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 Writing Styles: Fire Poi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 Writing Styles: Fire Walking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 Writing Styles: Fires Out of Control
Teachers TV Teachers TVDifferent Writing Styles: Fireworks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