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과 예술교육 = Psychological Analysis on Aesthetic Experiences and Ar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933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술이 마음의 작용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예술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미학이론, 지각 현상학, 시각적 사고 그리고 체화된 마음이론을 중심으로 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적경험은 직접경험을 통해 지각적으로 사고하는 것으로, 사물의 본질을 탐구하고 사물의 이면에 가려져 있는 의미의 세계를 발견하고 구성하는 인지의 한 방식으로 이해된다. 마음의 이와 같은 인지적 측면들은 과학적 사고의 패러다임의 영향으로 학문의 영역에서는 물론 심리학의 영역에서도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각 현상학과 시각적 사고와 같은 지각이론에 의해 인지적 기능과 관련한 예술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고, 최근에는 인지과학 분야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체화된 마음이론과 같은 대안이론들에서 지각적으로 사고하는 인지의 한 방식이 새롭게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적경험과 예술의 인지적 기능에 대한 논의는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강화하고, 예술교육이 미적 형태를 구현하는 기술과 기능을 가르치는 교육으로부터 벗어나서, 삶을 이해하고 구성하는 능력으로서의 미적경험을 중시하는 교육으로 발전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술이 마음의 작용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예술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미학이론, 지각 현상학, 시각...

      본 연구는 예술이 마음의 작용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근거로 예술교육의 의미와 중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미학이론, 지각 현상학, 시각적 사고 그리고 체화된 마음이론을 중심으로 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미적경험은 직접경험을 통해 지각적으로 사고하는 것으로, 사물의 본질을 탐구하고 사물의 이면에 가려져 있는 의미의 세계를 발견하고 구성하는 인지의 한 방식으로 이해된다. 마음의 이와 같은 인지적 측면들은 과학적 사고의 패러다임의 영향으로 학문의 영역에서는 물론 심리학의 영역에서도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각 현상학과 시각적 사고와 같은 지각이론에 의해 인지적 기능과 관련한 예술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고, 최근에는 인지과학 분야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체화된 마음이론과 같은 대안이론들에서 지각적으로 사고하는 인지의 한 방식이 새롭게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적경험과 예술의 인지적 기능에 대한 논의는 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강화하고, 예술교육이 미적 형태를 구현하는 기술과 기능을 가르치는 교육으로부터 벗어나서, 삶을 이해하고 구성하는 능력으로서의 미적경험을 중시하는 교육으로 발전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what kind of meaning art has in relation with cognitive functions to draw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n the reality governed by scientific thinking.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a psychological analysis on aesthetic experiences centered on experimental aesthetics theory, Phenomenology of perception, visual thinking and embodied mind theory. Aesthetic experiences is understood as one way of cognition to inquire the nature of the things and discover and constitute the world of meaning covered in the back of the things, that is, as one method of cognition thinking perceptually through experiences. This cognitive aspect of the mind understood as aesthetical experiences under the influences of paradigm scientific thinking didn't draw any high attention in psychological area as well as in the area of learning.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art has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with cognitive functions by the perception theory like Phenomenology of perception, visual thinking, and recently some presents the possibility to bring about a new concern in the method of cognition thinking perceptually by direct experiences by approaching in the dynamic relation of mind-body-environment the matter of cognition in the embodied mind theory newly appearing in the field of cognitive science. The argument over cognitive functions of aesthetic experiences and art is expected to reinforce art education, and provide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so that art education may escape from the education teaching the technology and functions to embody aesthetic forms into the education to lay emphasis on aesthetic experiences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ompose life.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what kind of meaning art has in relation with cognitive functions to draw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n the reality governed by scientific thinking.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a psychological analysis...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what kind of meaning art has in relation with cognitive functions to draw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rt education in the reality governed by scientific thinking.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a psychological analysis on aesthetic experiences centered on experimental aesthetics theory, Phenomenology of perception, visual thinking and embodied mind theory. Aesthetic experiences is understood as one way of cognition to inquire the nature of the things and discover and constitute the world of meaning covered in the back of the things, that is, as one method of cognition thinking perceptually through experiences. This cognitive aspect of the mind understood as aesthetical experiences under the influences of paradigm scientific thinking didn't draw any high attention in psychological area as well as in the area of learning.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art has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with cognitive functions by the perception theory like Phenomenology of perception, visual thinking, and recently some presents the possibility to bring about a new concern in the method of cognition thinking perceptually by direct experiences by approaching in the dynamic relation of mind-body-environment the matter of cognition in the embodied mind theory newly appearing in the field of cognitive science. The argument over cognitive functions of aesthetic experiences and art is expected to reinforce art education, and provide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so that art education may escape from the education teaching the technology and functions to embody aesthetic forms into the education to lay emphasis on aesthetic experiences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ompose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
      • 1. 미적경험의 주요 특징
      • 2. 미적경험과 실험미학
      • 요약
      • I. 서론
      • II. 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
      • 1. 미적경험의 주요 특징
      • 2. 미적경험과 실험미학
      • 3. 미적경험과 지각에 대한 현상학적 논의
      • 4. 미적경험과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
      • 5. 미적경험과 체화된 마음(embodied mind)
      • III. 미적경험과 예술교육
      • IV.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모, "추천사, In 뇌과학의 함정" 갤리온 8-14, 2009

      2 Merleau-Ponty,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3 Goodman,N, "예술의 언어: 기호이론을 향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4 이모영, "예술심리학-비판적 고찰과 전망" 한국심리학회 23 (23): 65-86, 2004

      5 Winner,E, "예술심리학" 학지사 2004

      6 이모영, "예술가가 되려면......" 학지사 2008

      7 Arnheim,R, "시각적 사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8 Root-Bernstein, R, "생각의 탄생" 에코의 서재 2007

      9 김춘일, "미술교육의 현상학적 접근" 동국대학교 대학원 1986

      10 Noe,A, "뇌과학의 함정" 갤리온 2009

      1 이정모, "추천사, In 뇌과학의 함정" 갤리온 8-14, 2009

      2 Merleau-Ponty,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3 Goodman,N, "예술의 언어: 기호이론을 향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4 이모영, "예술심리학-비판적 고찰과 전망" 한국심리학회 23 (23): 65-86, 2004

      5 Winner,E, "예술심리학" 학지사 2004

      6 이모영, "예술가가 되려면......" 학지사 2008

      7 Arnheim,R, "시각적 사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8 Root-Bernstein, R, "생각의 탄생" 에코의 서재 2007

      9 김춘일, "미술교육의 현상학적 접근" 동국대학교 대학원 1986

      10 Noe,A, "뇌과학의 함정" 갤리온 2009

      11 이정모, "뇌-몸-환경의 상호작용으로서의 마음: 인지과학에서 마음의 전개, In 마음, 어떻게 움직이는가" 은주사 290-344, 2009

      12 Fischer,E.P, "Wissenschaft als künstlerische Sicht der Wirklichkeit, In Rudolf Arnheim oder die Kunst der Wahrnehmung" WUV Universitätverlag 197-213, 2004

      13 Arnheim,R, "Wir denken zu viel und sehen zu wenig. Im Gespräch: Rudolf Arnheim" 6 (6): 23-29, 1979

      14 Brugger,B, "Wahrnehmung, In Handbuch der Psychologie für die Seelsorge" Patmos-Verlag 45-79, 1992

      15 Arnheim,R, "Thoughts on art education" The J. Paul Getty Trust 1989

      16 Clark,A., "The Extended Mind" 58 : 10-23, 1998

      17 Berlyne,D.E, "Studies in the new experimental aesthetic:steps toward an objective psychology of aesthetic appreciation" Wiley 1974

      18 Arnheim,R, "Neue Beiträge" DuMont 1991

      19 Kobbert,M.J, "Kunstpsychologie,Kunstwerk,Künstler und Betrachter"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86

      20 Arnheim,R, "Kunst und Sehen. Eine Psychologie des schöpferischen Auges" de Gruyter 1978

      21 Allesch,C.G, "Geschichte der psychologischen Ästhetik" Verlag für Psychologie 1987

      22 Allesch,C.G, "Einführung in die psychologische Ästhetik" WUV Universitätverlag 2006

      23 Schönhammer,R, "Einführung in die Wahrnehmungspsychologie" WUV Universitätsverlag 2009

      24 Graumann, C. F, "Die phänomenologische Orientierung in der Psychologie. In Wissenschaftstheoretische Grundlagen der Psychologie" Ernst Reinhard 27-54, 1977

      25 Kahrmann,K, "Balance. Rudolf Arnheim und die Situation der Kunstpädagogik heute. In Rudolf Arnheim oder die Kunst der Wahrnehmung" WUV Universitätverlag 197-213, 2004

      26 Berlyne,D.E, "Aesthetics and Psychobiology" Appleton-Century-Crofts 197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