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90년대 신생 독립국 크로아티아에 있어서 ‘유고슬라비아’의 의미 = Meaning of ‘Yugoslavia’ in Croatia;a Newly Independent Country in the 1990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 전반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해체와 더불어;‘크로아티아 공화국’을 포함한 구(舊) 유고연방을 구성하던 각 공화국의 독립은 1990년대 이후 전 세계에서 벌어진 세계화(Globalization)의 시대적 흐름을 거스르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처럼 시대적 흐름을 따르지 못했던 구 유고연방으로부터 독립한 신생 독립국들이 세계를 향해 취했던 정책들의 분명한 차이를 통해서;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각 국가 상황이 결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1991년 독립을 선언한 크로아티아 공화국이 체제 전환 이후 처해 있었던 역사·정치적 상황과 경제적 상황;사회·문화적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찰한다. 불과 30여 년에 불과한 신생 독립국의 역사를 가진 ‘크로아티아 공화국’에 있어서 1990년대는 혼란의 시기이기도 했지만;또 다른 한편으로는;국가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를 전 세계에 알리기 시작하는 다양한 국가적 정책들을 펼치기 시작한 중요한 전환의 시기였다고도 정의할 수 있다. 1990년대 전·후반기를 거치며 크로아티아 공화국을 포함한 구 유고연방이 직면해야만 했던 사회·정치·경제적 변화의 내용을 본격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소련과 그 위성국이었던 여타 동유럽 국가들의 체제 전환 상황을 간단히 살펴보며;1990년대 미소 냉전의 한 축인 사회주의권 국가들이 ‘체제 전환’이라는 국가적 변혁을 맞이하던 시기에;미국을 선두로 또 다른 한 축을 구성했던 국가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갔는가 하는 점에 대해 함께 고찰한다. 소위 ‘세계화’라고 일컬어지는 1990년대의 변화에는 구 유고연방을 제외한 동유럽권 국가들이 체제 전환을 계기로 참여했지만;아쉽게도 크로아티아 공화국을 비롯한 구 유고연방 국가들은 저간의 역사·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적극적인 참여가 제한되었다. 동유럽권 국가들까지를 포함한 ‘세계화’의 흐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지 못했던 신생 독립국 크로아티아 공화국을 중심으로 그 근본적 원인과 더불어 ‘정치·경제적 상황’;‘언어정책과 문학의 동향’;‘민족 정체성의 구조화를 위한 국가 이미지 구축’;나아가 그와 같은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중음악의 활용’이라는 측면까지 개괄적으로 고찰한다.
      번역하기

      1990년대 전반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해체와 더불어;‘크로아티아 공화국’을 포함한 구(舊) 유고연방을 구성하던 각 공화국의 독립은 1990년대 이후 전 세계에서 벌어진 세...

      1990년대 전반기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해체와 더불어;‘크로아티아 공화국’을 포함한 구(舊) 유고연방을 구성하던 각 공화국의 독립은 1990년대 이후 전 세계에서 벌어진 세계화(Globalization)의 시대적 흐름을 거스르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처럼 시대적 흐름을 따르지 못했던 구 유고연방으로부터 독립한 신생 독립국들이 세계를 향해 취했던 정책들의 분명한 차이를 통해서;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각 국가 상황이 결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1991년 독립을 선언한 크로아티아 공화국이 체제 전환 이후 처해 있었던 역사·정치적 상황과 경제적 상황;사회·문화적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찰한다. 불과 30여 년에 불과한 신생 독립국의 역사를 가진 ‘크로아티아 공화국’에 있어서 1990년대는 혼란의 시기이기도 했지만;또 다른 한편으로는;국가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를 전 세계에 알리기 시작하는 다양한 국가적 정책들을 펼치기 시작한 중요한 전환의 시기였다고도 정의할 수 있다. 1990년대 전·후반기를 거치며 크로아티아 공화국을 포함한 구 유고연방이 직면해야만 했던 사회·정치·경제적 변화의 내용을 본격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소련과 그 위성국이었던 여타 동유럽 국가들의 체제 전환 상황을 간단히 살펴보며;1990년대 미소 냉전의 한 축인 사회주의권 국가들이 ‘체제 전환’이라는 국가적 변혁을 맞이하던 시기에;미국을 선두로 또 다른 한 축을 구성했던 국가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갔는가 하는 점에 대해 함께 고찰한다. 소위 ‘세계화’라고 일컬어지는 1990년대의 변화에는 구 유고연방을 제외한 동유럽권 국가들이 체제 전환을 계기로 참여했지만;아쉽게도 크로아티아 공화국을 비롯한 구 유고연방 국가들은 저간의 역사·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적극적인 참여가 제한되었다. 동유럽권 국가들까지를 포함한 ‘세계화’의 흐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지 못했던 신생 독립국 크로아티아 공화국을 중심으로 그 근본적 원인과 더불어 ‘정치·경제적 상황’;‘언어정책과 문학의 동향’;‘민족 정체성의 구조화를 위한 국가 이미지 구축’;나아가 그와 같은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중음악의 활용’이라는 측면까지 개괄적으로 고찰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ong with the dissolution of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in the first half of the 1990s;the independence of the republics that made up the former Yugoslavia;including the Republic of Croatia;went against the trend of Globalization that had occurred around the world since the 1990s. However;it can be said that the situation of each country from 2000 to the present was determined through the clear differences in the policies that the newly independent countries took toward the world;independent of the former Yugoslavia;which could not follow the trend of the times.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political;economic;and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of the Republic of Croatia;which declared independence in 1991;after the transition. The 1990s were also a time of turmoil in the ‘Republic of Croatia’ with a history of only 30 years as a newly independent country;but on the other hand;various national policies were implemented to establish a national identity and promote it to the world. It can also be defined as a period of important transition that began. Before examining the social;political;and economic changes that the former Yugoslavia;including the Republic of Croatia;had to face during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1990s in earnest;we briefly review the systemic transition of the Soviet Union and other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at were satellites of it. It discuss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ntries that constituted another axis;led by the United States;moved in a time when the socialist countries;one axis of th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1990s;were facing a national transformation called ‘systemic transformation’. In the 1990s;so-called ‘Globalization,’ Eastern European countries except the former Yugoslav Federation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but unfortunately;the former Yugoslav Federation;including the Republic of Croatia;was restricted from active participation due to historic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Focusing on the new independent Croatia Republic;which has no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trend of ‘Globalization,’ including Eastern European countries;it examines the fundamental causes;‘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trend of language policy and literature,’ and ‘use of popular music’ to achieve such ultimate goals.
      번역하기

      Along with the dissolution of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in the first half of the 1990s;the independence of the republics that made up the former Yugoslavia;including the Republic of Croatia;went against the trend of Globalization th...

      Along with the dissolution of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in the first half of the 1990s;the independence of the republics that made up the former Yugoslavia;including the Republic of Croatia;went against the trend of Globalization that had occurred around the world since the 1990s. However;it can be said that the situation of each country from 2000 to the present was determined through the clear differences in the policies that the newly independent countries took toward the world;independent of the former Yugoslavia;which could not follow the trend of the times.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political;economic;and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of the Republic of Croatia;which declared independence in 1991;after the transition. The 1990s were also a time of turmoil in the ‘Republic of Croatia’ with a history of only 30 years as a newly independent country;but on the other hand;various national policies were implemented to establish a national identity and promote it to the world. It can also be defined as a period of important transition that began. Before examining the social;political;and economic changes that the former Yugoslavia;including the Republic of Croatia;had to face during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1990s in earnest;we briefly review the systemic transition of the Soviet Union and other Eastern European countries that were satellites of it. It discuss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untries that constituted another axis;led by the United States;moved in a time when the socialist countries;one axis of th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1990s;were facing a national transformation called ‘systemic transformation’. In the 1990s;so-called ‘Globalization,’ Eastern European countries except the former Yugoslav Federation participated in the transition;but unfortunately;the former Yugoslav Federation;including the Republic of Croatia;was restricted from active participation due to historic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Focusing on the new independent Croatia Republic;which has not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trend of ‘Globalization,’ including Eastern European countries;it examines the fundamental causes;‘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trend of language policy and literature,’ and ‘use of popular music’ to achieve such ultimate go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2. ‘세계화(Globalization)’와 다양한 측면 3. 1990년대 크로아티아의 정치·경제적 상황 4. 1990년대 크로아티아의 언어정책과 문학 5. 국가 이미지 구축과 대중음악의 정치적 활용 6. 맺는말
      • 1. 들어가는 말 2. ‘세계화(Globalization)’와 다양한 측면 3. 1990년대 크로아티아의 정치·경제적 상황 4. 1990년대 크로아티아의 언어정책과 문학 5. 국가 이미지 구축과 대중음악의 정치적 활용 6. 맺는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하준,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부키 2014

      2 장하준, "장하준, 더 나은 자본주의를 말하다" 부키 2010

      3 루이스 자네티, "영화의 이해" K-books 2017

      4 수잔 헤이워드, "영화 사전 [이론과 비평]" 한나래 2012

      5 다니엘 코엔, "세계화와 그 적들" 울력 2007

      6 지그문트 바우만, "모두스 비벤디: 유동하는 세계의 지옥과 유토피아" 후마니타스 2020

      7 밥 스탠리, "모던 팝 스토리: 1950년대부터 2000년까지 모던 팝을 이끈 결정적 순간들" 북라이프 2021

      8 Obradović, Dragana, "Writing the Yugoslav Wars: Literature, Postmodernism, and the Ethics of Representa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6

      9 "Večernji list"

      10 Glenny, Misha, "The Balkans: Nationalism, War, and the Great Powers, 1804-1999" Penguin Books 1999

      1 장하준,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부키 2014

      2 장하준, "장하준, 더 나은 자본주의를 말하다" 부키 2010

      3 루이스 자네티, "영화의 이해" K-books 2017

      4 수잔 헤이워드, "영화 사전 [이론과 비평]" 한나래 2012

      5 다니엘 코엔, "세계화와 그 적들" 울력 2007

      6 지그문트 바우만, "모두스 비벤디: 유동하는 세계의 지옥과 유토피아" 후마니타스 2020

      7 밥 스탠리, "모던 팝 스토리: 1950년대부터 2000년까지 모던 팝을 이끈 결정적 순간들" 북라이프 2021

      8 Obradović, Dragana, "Writing the Yugoslav Wars: Literature, Postmodernism, and the Ethics of Representation"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6

      9 "Večernji list"

      10 Glenny, Misha, "The Balkans: Nationalism, War, and the Great Powers, 1804-1999" Penguin Books 1999

      11 "Radio Slobodna Evropa"

      12 Peroche, Gregory, "Povijest Hrvatske i južnoslavenskih naroda od 395. do 1992" Detecta 2008

      13 Goldstein, Ivo, "Kontroverze Hrvatske povijesti 20. stoljeća" Profil 2019

      14 Kordić, Snježana, "Jezik i nacionalizam" Durieux 2018

      15 Skoko, Božo, "Hrvatska [Identitet, image i promocija]" Školska knjiga 2005

      16 Cornis-Pope, Marcel, "History of the Literary Cultures of East-Central Europe: Types and stereotypes" John Benjamin Publishing Company 2004

      17 Budak, Neven, "Croatica: Hrvatski udio u svjetskoj baštini" Profil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