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한국어판 생활공간 평가(Korean Version of the Life-Space Assessment; K-LSA)의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 검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95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평가도구인 한국어판 생활공간 평가(Korean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 K-LSA)의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 60명을 대상으로 K-LSA의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 검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객관식 문항 및 사용성에 관한 객관식과 주관식 문항을 포함하였다. 객관식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 및 기술 통계로 처리하였고, 사용성에 대한 주관식 문항은 항목별로 공통적인 요소를 모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K-LSA의 임상적 유용성에 긍정적 표현인 '보통(3점)‘과 '그렇다(4점)’와 ‘매우 그렇다’로 응답한 비율이 95〜100%이었고, 문항 별 점수 분포가 3.6〜4.0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K-LSA의 사용성에 대한 질문에 긍정적 표현인 ‘보통’과 ‘쉽다’와 ‘매우 쉽다’로만 응답한 비율은 88.3〜100%이었고, 문항 별 점수 분포가 3.6〜4.0점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사용성에 대한 개방형 질문에서 생활공간 범위 3과 4에서 기준의 모호함이 언급되었다. 결론 : K-LSA는 국내 보건의료 분야에서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평가도구로 임상적으로 유용하며, 사용이 용이 한 도구이다. 따라서 치료사들이 노인의 사회 참여를 증진시키고, 지역사회 이동을 위한 중재 목표를 세우고, 교육하 는데 기초자료로 LSA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평가도구인 한국어판 생활공간 평가(Korean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 K-LSA)의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평가도구인 한국어판 생활공간 평가(Korean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 K-LSA)의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 60명을 대상으로 K-LSA의 임상적 유용성 및 사용성 검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객관식 문항 및 사용성에 관한 객관식과 주관식 문항을 포함하였다. 객관식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 및 기술 통계로 처리하였고, 사용성에 대한 주관식 문항은 항목별로 공통적인 요소를 모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K-LSA의 임상적 유용성에 긍정적 표현인 '보통(3점)‘과 '그렇다(4점)’와 ‘매우 그렇다’로 응답한 비율이 95〜100%이었고, 문항 별 점수 분포가 3.6〜4.0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K-LSA의 사용성에 대한 질문에 긍정적 표현인 ‘보통’과 ‘쉽다’와 ‘매우 쉽다’로만 응답한 비율은 88.3〜100%이었고, 문항 별 점수 분포가 3.6〜4.0점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사용성에 대한 개방형 질문에서 생활공간 범위 3과 4에서 기준의 모호함이 언급되었다. 결론 : K-LSA는 국내 보건의료 분야에서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평가도구로 임상적으로 유용하며, 사용이 용이 한 도구이다. 따라서 치료사들이 노인의 사회 참여를 증진시키고, 지역사회 이동을 위한 중재 목표를 세우고, 교육하 는데 기초자료로 LSA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study is to validate the clinical utility and us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K-LSA) which is an assessment tool of community mobility of older adults. Methods : Surveys on the clinical utility and usability of the K-LSA are carried out with a total of aoaa60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ists. The surveys included the multiple choice questions on the clinical utility and open questions on the usability. Responses to multiple questions are post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responses to the open questions are categorized by common factors in each questions. Results : Average value of clinical utility ranges from 3.6 to 4.0 with positive responses of ‘fair (3 point)', ‘agree (4 point)’ and ‘strongly agree (5 point)’ being 95〜100%. Average value for clinical usability ranges from 3.6 to 4 with positive answers of 'fair (3 point)', ‘easy (4 point)’ and ‘very easy (5 point)’ being 88.3〜 100%. Additionally out of open-type questions of clinical usability, it was pointed out that the concept of ‘neighborhood’ for the life space level 3 and 4 is unclear. Conclusion : The current study and research outcomes showed that the K-LSA is a validated tool in Korean health care system for the clinical utility and usability in measuring community mobility, and that it is straightforward in practical use . It will help clinicians and therapist s promot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and set an intervention goal for enhancing community mobility. It will further help clinicians and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research for medical intervention and goal-setting.
      번역하기

      Objective : The purpose of study is to validate the clinical utility and us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K-LSA) which is an assessment tool of community mobility of older adults. Methods : Surveys on the clinical utility a...

      Objective : The purpose of study is to validate the clinical utility and us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K-LSA) which is an assessment tool of community mobility of older adults. Methods : Surveys on the clinical utility and usability of the K-LSA are carried out with a total of aoaa60 occupational and physical therapists. The surveys included the multiple choice questions on the clinical utility and open questions on the usability. Responses to multiple questions are post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responses to the open questions are categorized by common factors in each questions. Results : Average value of clinical utility ranges from 3.6 to 4.0 with positive responses of ‘fair (3 point)', ‘agree (4 point)’ and ‘strongly agree (5 point)’ being 95〜100%. Average value for clinical usability ranges from 3.6 to 4 with positive answers of 'fair (3 point)', ‘easy (4 point)’ and ‘very easy (5 point)’ being 88.3〜 100%. Additionally out of open-type questions of clinical usability, it was pointed out that the concept of ‘neighborhood’ for the life space level 3 and 4 is unclear. Conclusion : The current study and research outcomes showed that the K-LSA is a validated tool in Korean health care system for the clinical utility and usability in measuring community mobility, and that it is straightforward in practical use . It will help clinicians and therapist s promot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and set an intervention goal for enhancing community mobility. It will further help clinicians and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research for medical intervention and goal-sett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자 및 기간
      • 2. 연구 절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대상자 및 기간
      • 2. 연구 절차
      • 3. 연구 도구
      • 4. 자료 분석
      • Ⅲ. 연구 결과
      • 1. 임상적 유용성
      • 2. 사용성
      • 3. 사용성에 관한 임상가의 의견
      • Ⅳ. 고찰
      • Ⅴ. 결론
      • REFERENCE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예나, "한글판 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22 (22): 27-38, 2014

      2 이유나, "한글 번역판 실행기능 수행검사의 내용타당도 및 임상적 유용성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25 (25): 143-153, 2017

      3 김정희,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Life-Space Assessment(LSA)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적합성 검증연구"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7 (7): 49-57, 2017

      4 Fried, L., "Untangling the concepts of disability, frailty, and comorbidity: Implications for improved targeting and care" 59 (59): 255-263, 2004

      5 Sousa, V. D., "Translation,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instruments or scales for use in cross-cultural health care research: A clear and user-friendly guideline" 17 (17): 268-274, 2011

      6 Cresswell, T., "Towards a politics of mobility" 28 (28): 17-31, 2010

      7 World Health Organization, "Towards a common language for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8 May, D., "The life-space diary: a measure of mobility in old people at home" 7 (7): 182-186, 1985

      9 Jeong, K. H., "Survey of the elderly in 20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10 Classen, S., "Special issue on older driver safety and community mobility" 64 (64): 211-214, 2010

      1 신예나, "한글판 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22 (22): 27-38, 2014

      2 이유나, "한글 번역판 실행기능 수행검사의 내용타당도 및 임상적 유용성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25 (25): 143-153, 2017

      3 김정희, "노인의 지역사회 이동성을 측정하는 Life-Space Assessment(LSA)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적합성 검증연구"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7 (7): 49-57, 2017

      4 Fried, L., "Untangling the concepts of disability, frailty, and comorbidity: Implications for improved targeting and care" 59 (59): 255-263, 2004

      5 Sousa, V. D., "Translation,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instruments or scales for use in cross-cultural health care research: A clear and user-friendly guideline" 17 (17): 268-274, 2011

      6 Cresswell, T., "Towards a politics of mobility" 28 (28): 17-31, 2010

      7 World Health Organization, "Towards a common language for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8 May, D., "The life-space diary: a measure of mobility in old people at home" 7 (7): 182-186, 1985

      9 Jeong, K. H., "Survey of the elderly in 20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10 Classen, S., "Special issue on older driver safety and community mobility" 64 (64): 211-214, 2010

      11 Gardezi, F., "Qualitative research on older drivers" 30 : 5-22, 2006

      12 Umastattd Meyer, M. R., "Predictors of older adults' personal and community mobility: using a comprehensive theoretical mobility framework" 54 (54): 398-408, 2014

      13 Ji, M., "Pilot study on the Chinese version of the Life Space Assessment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61 (61): 301-306, 2015

      14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68 (68): S1-S48, 2014

      15 Prohaska, T. R., "Mobility and Aging: Transference to Transportation" 2011 (2011): 1-3, 2011

      16 Sawyer Baker, P., "Measuring life-space mobili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51 (51): 1610-1614, 2003

      17 Portegijs, E., "Life-space mobility assessment in older people in Finland; measurement property in winter and spring" 30 (30): 323-, 2014

      18 Curcio, C. L., "Life-Space Assessment scale to assess mobility: validation in Latin American older women and men" 25 (25): 553-560, 2013

      19 James, B. D., "Life space and risk of Alzheimer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cognitive decline in old age" 19 (19): 961-969, 2011

      20 Wessels, R. D., "Effectiveness of provision of outdoor mobility services and devices in The Netherlands" 18 (18): 371-378, 2004

      21 Choi, H., "Effectiveness Modified Cognitive Perceptual Assessment for Driving(CPAD) to evaluate"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2015

      22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Driving and Community mobility" 64 (64): S112-S124, 2010

      23 Fristedt, S., "Concurrent validity of Swedish version of the life-space assessment questionnaire" 16 (16): 2-6, 2016

      24 Doig, E., "Clinical utility of the combined use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nd Goal Attainment Scaling" 64 (64): 904-914, 2010

      25 Ohnuma, T., "Clinical usefulness of indoor life-space assessment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certified as needing support or care" 51 (51): 151-160, 2014

      26 Williamson, J. D.,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in a randomized trial of physical activity: Results of the lifestyle interventions and independence for elders pilot study" 64 (64): 688-694, 2009

      27 Gill, T. M., "Assessment of function and disability in longitudinal studies" 58 (58): 308-312, 2010

      28 Peel, C., "Assessing Mobility in Older Adults: The UAB Study of Aging Life-Space Assessment" 85 (85): 1008-1019, 2005

      29 Smart, A., "A multi-dimensional model of clinical utility" 18 (18): 377-382,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