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경림 시에 나타난 로컬의 혼종성과 탈중심성 연구 = A Study on Local Hybridity and Post-centrality Manifested in Sin Gyeong-rim's Poe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82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on local hybridity and post-centrality manifested in Sin Gyeong-rim’s poems postulates a return to locality underpinning one’s life by characterizing not a homogeneous space but a non-homogeneous place. Sin Gyeong-rim’s travel poems rep...

      Research on local hybridity and post-centrality manifested in Sin Gyeong-rim’s poems postulates a return to locality underpinning one’s life by characterizing not a homogeneous space but a non-homogeneous place. Sin Gyeong-rim’s travel poems represent local place-ness at home and abroad. The context influencing his place representation is that he is a Korean born in Chungju.
      The poet represents places towards locals in overseas destinations as a traveler from a semi-peripheral country and in domestic destinations as the same type of person as locals. That is, in tourist destinations, he is a tourist with some capital power and at the same time a semi-peripheral person who observes and reports a central view of others towards locals. Thus, Sin Gyeong-rim’s poems capture a dual mechanism, i.e. the local centrality and the periphery.
      The local hybridity and post-centrality manifested in Sin Gyeong-rim’s poems constitute the very research on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globalization on locals. Current capital globalization has emerged as a critical factor affecting the local. The local are characterized by the hybridity of their placeness-based culture and the capitalization-based western culture attributable to cross-border capital flows. Also, cross-border globalization underscores the likelihood of the local to gain further autonomy and to settle as independent segmented units. The culture based on the local forms the place-ness that constitutes democracy involving freedom, happiness, rights and sovereignty where the local stand against the central power. Moreover, the place-based culture empowers the peripheral subjects and communities that used to exist as sub-subjects far from the center of capital to emerge.
      The poet’semi-peripheral aspects manifested in his poems serve as some food for thoughts over the issues of capitalization the local are subjected to, the binary- opposition components with inherent centralism, and the locals’ orientation towards coping with the foregoing trends in life. The real challenges facing the local, e.g. a sense of alienation of the local resulting from the state-oriented ideology, expanding capitalism or mammonism, the envy and jealousy of the local towards the central, and the identity crisis of the local ascribable to globalization, should no longer be addressed with economic or political logics only. Instead, given such challenges are associated with human life and identity, they need be rectified from a fundamental and integrated perspective conveyed by litera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신경림 시에 나타난 로컬의 혼종성과 탈중심성 연구는 균질적인 공간이 아닌 비균질적인 장소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삶의 근본이 되는 로컬로의 회귀를 전제한다. 신경림의 기행시는 국...

      신경림 시에 나타난 로컬의 혼종성과 탈중심성 연구는 균질적인 공간이 아닌 비균질적인 장소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삶의 근본이 되는 로컬로의 회귀를 전제한다. 신경림의 기행시는 국내·외 로컬의 장소성을 재현한다. 그가 장소를 재현하는 데 영향을 끼치는 컨텍스트는 충주출신의 한국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시인의 위치는 국외 여행지에서는 반(半)주변국의 여행자로서, 국내 여행지에서는 지방 사람들과의 동일한 처지에서 로컬인을 지향하는 장소를 재현한다. 즉 여행지에서 그는 자본력을 가진 관광객이지만 로컬에 대한 중심의 타자적 시선을 관찰·고발하는 반(半)주변인인 것이다. 따라서 신경림의 시에는 로컬의 중심성과 주변성의 이중적 메커니즘이 포착된다.
      신경림 시에 나타난 로컬의 혼종성과 탈중심성은 세계화가 로컬에 미친 부정적·긍정적 측면에 대한 연구이다. 오늘날 자본의 세계화는 로컬에 영향을 끼치는 결정적 요인으로 등장하고 있다. 자본의 탈경계로 로컬은 그것의 장소성에 기반한 문화와 서구의 자본화에 기반한 문화가 혼종된 성격으로 점철된다. 또한 세계화의 탈경계화는 로컬의 보다 많은 자율성 획득과 독자적 분절 단위로 자리매김 할 가능성을 제공하기도 한다. 로컬에 기반한 문화는 로컬이 중심 권력에 대항하는 자유, 행복, 권리, 주권 등 민주주의를 구성하는 장소성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장소 기반적 문화를 통해 자본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하위주체로 존재하던 주변부적 주체 및 공동체들이 새롭게 부상하게 된다.
      작품에 드러난 시인의 반(半)주변성은 로컬이 겪는 자본화 문제, 중심주의가 내재한 이항 대립적 요소, 그리고 그에 대처하는 로컬인의 삶의 지향성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성찰하게 한다. 국가 중심주의가 배태한 로컬의 소외의식과 자본 팽배주의, 중앙에 대한 로컬의 선망과 질시, 세계화에 따른 로컬의 정체성 위기 등 로컬이 당면한 현실 문제는 더 이상 경제나 정치적 논리에만 기대어 접근할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삶과 정체성의 문제로 연결되기에 문학이 갖는 근원적이고 통합적인 시각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비, "희망의 공간" 한울 2009

      2 염무웅, "혼돈의 시대에 구상하는 문학의 논리" 창작과 비평사 1995

      3 윤여탁, "한국 현대시론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8

      4 박태일, "한국 근대시의 공간과 장소" 소명출판 1999

      5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탈근대 탈중심의 로컬리티" 혜안 2010

      6 윤호병, "치밀한 민중의식과 준열한 서사의 힘-신경림 시의 구조적 특질" 시와시학사 1993

      7 구모룡, "지역문학과 주변부적 시각" 신생 2005

      8 강정구, "저항의 서사, 탈식민주의적인 문화 읽기-신경림의 「남한강」론" 경희대학교민속학연구소 11 : 2006

      9 신지은, "일상의 탈중심적 시공간 구조에 대하여" 한국사회학회 44 (44): 1-28, 2010

      10 전종한, "인문지리학의 시선" 논형 2010

      1 하비, "희망의 공간" 한울 2009

      2 염무웅, "혼돈의 시대에 구상하는 문학의 논리" 창작과 비평사 1995

      3 윤여탁, "한국 현대시론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8

      4 박태일, "한국 근대시의 공간과 장소" 소명출판 1999

      5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탈근대 탈중심의 로컬리티" 혜안 2010

      6 윤호병, "치밀한 민중의식과 준열한 서사의 힘-신경림 시의 구조적 특질" 시와시학사 1993

      7 구모룡, "지역문학과 주변부적 시각" 신생 2005

      8 강정구, "저항의 서사, 탈식민주의적인 문화 읽기-신경림의 「남한강」론" 경희대학교민속학연구소 11 : 2006

      9 신지은, "일상의 탈중심적 시공간 구조에 대하여" 한국사회학회 44 (44): 1-28, 2010

      10 전종한, "인문지리학의 시선" 논형 2010

      11 최병두, "인문지리학 개론" 한울아카데미 2009

      12 전종한, "영미 역사지리학의 최근 동향과 사회역사지리학" (11) : 1999

      13 신경림,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 창비 1998

      14 신경림, "쓰러진 자의 꿈" 창비 1993

      15 이동순, "신경림론" 국어국문학회 (19) : 1991

      16 신경림, "신경림 시전집 2" 창비 2009

      17 신경림, "신경림 시전집 1" 창비 2009

      18 박혜숙, "신경림 시의 구조와 담론 연구" 한글학회 1999

      19 류순태, "신경림 시의 공동체적 삶 추구에서 드러난 도시적 삶의 역할" 우리말글학회 51 : 221-247, 2011

      20 양문규, "신경림 시에 나타난 공동체 의식 연구" 어문연구학회 50 : 259-278, 2006

      21 윤영천, "신경림 문학의 세계" 창작과비평사 1995

      22 유종호, "신경림 문학의 세계" 창작과 비평사 1995

      23 구중서, "신경림 문학의 세계" 창작과 비평사 1995

      24 노창선, "신경림 문학공간 연구" 한국문예창작학회 6 (6): 133-154, 2007

      25 한만수, "서정, 서사, 서경성의 만남" 순천대학교 1997

      26 신경림, "사진관집 이층" 창비 2014

      27 신경림, "뿔" 창비 2010

      28 하용삼, "문화의 중심화와 탈중심화 그리고 로컬문화" 2009

      29 심승희, "문학지리학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토마스 하디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3 (13): 2001

      30 강정구, "문학지리학으로 읽어본 신경림 문학 속의 농촌 - 1950-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5-27, 2012

      31 윤여탁, "리얼리즘의 시 정신과 시교육" 소명출판 2003

      32 배윤기, "로컬의 탄생과 로컬 시선의 모색"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8

      33 김용규, "로컬리티,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 혜안 2009

      34 오태호, "떠돌이의 흔적을 찾아서-신경림 시전집 1·2" 시와시학사 (55) : 2004

      35 박정선, "떠남과 돌아옴-신경림론" 만해사상실천선양회 (9) : 2002

      36 유종호, "동시대의 시와 진실" 민음사 1982

      37 하비, "도시의 정치경제학" 한울 1996

      38 김운향, "농촌의 서정과 한국의 토속-신경림의 『농무』 다시 읽기" 한국농민문학회 (67) : 2007

      39 박영우, "농촌 서정의 시적 수용 양상 -박용래·신경림 시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3 : 2004

      40 백낙청, "농무" 창작과 비평사 1975

      41 임헌영, "남한강" 창작과 비평사 1987

      42 신경림, "낙타" 창비 2011

      43 최두석, "길의 시학-신경림과 황동규" 창작과비평사 31 : 2003

      44 신경림, "길" 창작과비평사 1990

      45 장희권, "글로벌 세계의 혼종성과 민족주의- 복합문화 속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해" 한국독일어문학회 15 (15): 371-394, 2007

      46 이진경, "근대적 시·공간의 탄생" 그린비 2010

      47 미셸 푸코, "권력과 지식" 나남 1991

      48 이무용, "공간의 문화정치학: 공간, 그곳에서 생각하고, 놀고, 싸우고, 만들기" 논형 2005

      49 이시영, "곧 수풀은 베어지리라: 이시영 산문집" 한양출판 1995

      50 이기봉, "《靑邱圖》와 《東輿圖》의 지명 위치 비정에 대한 일고찰: 충청도의 해미현을 사례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7 (17): 84-102, 2005

      51 Stuart Hall, "The Local and Global: Globalization and Ethnicity"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8 1.28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