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승호, "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29-158, 2016
2 박상완, "혁신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5 (45): 109-138, 2018
3 김나라,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과 과제 - 아일랜드·덴마크·스웨덴·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99-223, 2014
4 신현석,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53-81, 2014
5 송경오, "학교혁신을 위한 교사 전문적 정체성의 의미와 중요성: 자유학기제와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147-174, 2015
6 나장함, "질적 메타분석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229-252, 2008
7 어윤경, "진로체험 중심 자유학기제의 진로성숙도 향상효과" 30 (30): 27-49, 2015
8 여지영,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98-709, 2016
9 하정희, "중학생들의 자유학기제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2) : 139-162, 2018
10 교육부 보도자료, "중학교 자유학기제 확대‧발전 계획"
1 이승호, "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29-158, 2016
2 박상완, "혁신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육개발원 45 (45): 109-138, 2018
3 김나라,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과 과제 - 아일랜드·덴마크·스웨덴·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99-223, 2014
4 신현석,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53-81, 2014
5 송경오, "학교혁신을 위한 교사 전문적 정체성의 의미와 중요성: 자유학기제와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147-174, 2015
6 나장함, "질적 메타분석에 대한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229-252, 2008
7 어윤경, "진로체험 중심 자유학기제의 진로성숙도 향상효과" 30 (30): 27-49, 2015
8 여지영,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98-709, 2016
9 하정희, "중학생들의 자유학기제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2) : 139-162, 2018
10 교육부 보도자료, "중학교 자유학기제 확대‧발전 계획"
11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계획" 교육부 2015
12 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13 중앙일보, "중학 자유학기제, 확대 앞서 학력 대책 시급하다"
14 나장함, "장애인의 직업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질적 메타분석의 적용과 이슈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18 (18): 135-158, 2008
15 이재창, "자유학기제의 철학적 기반 형성 가능성 탐색: 실존주의 철학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611-634, 2016
16 성열관, "자유학기제의 정책 특징에 따른 교사들의 제도 인식: 정책 정당성, 교사 정체성 및 전문성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31 (31): 27-58, 2018
17 김이경, "자유학기제의 도입에 따른 교사들의 직무부담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181-203, 2015
18 강명희, "자유학기제에서의 협력적 체험학습 성과에 대한 학업적 자기조절, 몰입, 협력적 자기조절의 예측력 규명" 한국교육방법학회 29 (29): 25-47, 2017
19 안희진,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학생들의 일반학기 학교생활 모습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29-154, 2016
20 신철균,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세 학교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309-338, 2015
21 주휘정, "자유학기제 참여 학생의 발달 궤적과 영향 요인 분석: 진로체험의 참여 횟수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91-113, 2018
22 이은화, "자유학기제 집행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직무행태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24, 2016
23 정유리, "자유학기제 정책집행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반응양상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4 (24): 73-97, 2017
24 이인회, "자유학기제 정책에 따른 A중학교 학교변화 사례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33-42, 2016
25 김동심, "자유학기제 운영에 따른 교육성과 변화 분석 - 진로성숙도, 인지적·정의적·사회적 핵심역량,학교만족도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101-121, 2017
26 임종헌,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양가성 현상의 발견과 의미"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99-128, 2016
27 홍창남,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157-179, 2016
28 신철균, "자유학기제 연계 양상 및 관련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교사들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205-234, 2017
29 박휴용, "자유학기제 실행 과정에서의 정체성 갈등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27, 2015
30 정양덕,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을 통한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연구: 전라북도 자유학기제 시범운영 중학교를 중심으로" 21 (21): 32-56, 2015
31 정영희, "자유학기를 겪어 본 교육주체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전라북도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777-808, 2016
32 동아일보, "예방접종지원 ‘최고’ 혁신학교 확대 ‘최악’"
33 김달효, "사례연구를 통해 본 자유학기제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연구소 21 (21): 179-202, 2015
34 안영은, "국내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초등학교 학교급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5 (35): 135-163, 2018
35 박휴용, "교육정책이 적용되는 현장의 갈등요인 분석: - 자유학기제를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 교육연구소 24 (24): 7-32, 2018
36 진동섭, "교수-학습에서 예술의 적용과 테크놀로지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2 (32): 227-256, 2015
37 이승호,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 분석" 한국교육학회 53 (53): 77-101, 2015
38 박균열,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자유학기제 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25-51, 2014
39 Britten, N., "Using meta ethnography to synthesise qualitative research : a worked example" 7 (7): 209-215, 2002
40 Erwin, E. J., "Understanding Qualitative Metasynthesis : Issues and Opportunities in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Research" 33 (33): 186-200, 2011
41 Flybjerg, B,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301-316, 2011
42 Weed, M. E., "Sports tourism research 2000-2004: A systematic review of knowledge and a meta-evaluation of methods" 11 (11): 5-30, 2005
43 Zimmer, L., "Qualitative meat-synthesis: A question of dialoguing with texts" 53 (53): 311-318, 2006
44 Walsh, D., "Meta-synthesis method for qualitative research : a literature review" 50 (50): 204-211, 2005
45 Noblit G., "Meta-Ethnography: Synthesizing qualitative studies" Sage 1988
46 정양순,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통한 자유학기제 정책형성 및 자유학년제로의 정책변동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5 (25): 143-172, 2018
47 Sandelowski, M., "Handbook for synthesizing qualitative research" Springer 2007
48 Major, C.,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synthesis: Managing the information explosion in social science research" Routledge 2010
49 교육부, "2018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 주요 통계"
50 교육부, "2017 교육부 업무 계획" 교육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