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조의 출판사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King Jungjo’s Thoughts of Publis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11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조의 <홍재전서>에 나타난 그의 출판사상을 탐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여기서 출판사상이란 ‘문자 중심의 메시지 표현과 관계된 일체의 인간행위에 관...

      본 연구는 정조의 <홍재전서>에 나타난 그의 출판사상을 탐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여기서 출판사상이란 ‘문자 중심의 메시지 표현과 관계된 일체의 인간행위에 관한 관점’이라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정조의 저술관은 무엇인가 둘째, 정조의 서적관은 무엇인가 셋째, 정조의 독서관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조의 저술관에서 그는 문자를 통해서 백성을 다스리고 국가를 경영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그의 서적관은 책은 국가발전을 위해 기여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서적이 유학 정신을 백성들에게 심어주는 수단이어야 한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정조의 독서관은 경건 주의적 독서관이라 말할 수 있다. 경건주의는 서적을 대하는 태도로부터 나온다. 정조에 따르면 성인의 말씀이 실려 있는 책을 읽는 자세는 바른 자세와 바른 정신으로 해야 한다. 특히 경전을 흐트러진 자세로 읽는 행위는 경전을 업신여기는 행위로 생각했고, 이는 다시 성인의 말씀을 업신여기는 불경스런 행위라고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explore King Jungjo’s thoughts on publishing. In this paper, the thought of publishing is defined as ‘point of view about letter centered message publishing’. To get this aim, this paper is based on ‘HongJae Junso’, which is...

      This paper is to explore King Jungjo’s thoughts on publishing. In this paper, the thought of publishing is defined as ‘point of view about letter centered message publishing’. To get this aim, this paper is based on ‘HongJae Junso’, which is the book about King Jungjo. This study sets 3 topics. 1) What is King Jungjo’s viewpoint about writing? 2) What is King Jungjo’s viewpoint about books? 3) What is King Jungjo’s viewpoint about reading? King Jungjo has an instrumental viewpoint of publishing and devotionalism in books and reading. He thought letters could govern the people and manage the nation. Books must be the tools for development of dynasty. And books must deliver the thought of Confucianism to the people. So he prohibits novel’s reading. Devotionalism emphasized the correct posture and spirit in reading the books. Instrumental viewpoint of publishing and devotionalism in books and reading led ‘Munche banjung’. It’s a kind of control over the novel style writing. Also, it led to prohibition of the import of Chines book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정조의 저술관 3. 정조의 서적관 4. 정조의 독서관 5. 결론
      • 1. 서론 2. 정조의 저술관 3. 정조의 서적관 4. 정조의 독서관 5.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재전서"

      2 백운관, "한국출판문화변천사" 도서출판 타래 1992

      3 박수밀, "탐독가들" 카모마일북스 2020

      4 정형우, "조선조 서적문화 연구" 구미무역주식회사출판부 1995

      5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8

      6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 상상 2014

      7 정병설,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8 이윤석, "조선시대 상업출판" 민속원 2016

      9 신양선, "조선 후기 정조의 독서관" (3) : 119-184, 1992

      10 박현모, "정치가 정조" 도서출판 푸른역사 2001

      1 "홍재전서"

      2 백운관, "한국출판문화변천사" 도서출판 타래 1992

      3 박수밀, "탐독가들" 카모마일북스 2020

      4 정형우, "조선조 서적문화 연구" 구미무역주식회사출판부 1995

      5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책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8

      6 강명관,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천년의 상상 2014

      7 정병설, "조선시대 소설의 생산과 유통"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8 이윤석, "조선시대 상업출판" 민속원 2016

      9 신양선, "조선 후기 정조의 독서관" (3) : 119-184, 1992

      10 박현모, "정치가 정조" 도서출판 푸른역사 2001

      11 정창권, "정조처럼 소통하라" 도서출판 사우 2018

      12 안대회, "정조의 문예정책" (3) : 87-111, 2000

      13 박수밀, "정조의 독서론 고찰" 동양고전연구소 (41) : 85-114, 2019

      14 김문식,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문헌과 해석사 2000

      15 김인걸, "정조와 정조시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16 김태희, "정조(正祖)의 문체정책의 양면성: 학문적 성격과 정치적 성격"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11 (11): 77-98, 2012

      17 정조, "정조 책문, 새로운 국가를 묻다" 판미동 2017

      18 노병성, "이덕무의 출판사상에 관한 연구 : 서적관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45 (45): 25-46, 2019

      19 이민희, "세책, 도서 대여의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7

      20 안세현, "문체반정을 둘러싼 글쓰기와 문체 논쟁" 민족어문학회 0 (0): 137-172, 2006

      21 김효진, "「弘齋全書」의 인용문헌분석을 통한 정조의 독서 행태 연구" 한국서지학회 (53) : 295-324, 2012

      22 이중연, "‘책’의 운명" 혜안 2001

      23 홍선표, "17·18세기 조선의 외국서적 수용과 독서문화" 혜안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1 0.7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