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의후견에서 본인의 자기결정권과 법원의 감독 = Guaranteeing Autonomy vs. Controlling the Contractual Guardianship by Cour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the perspective of autonomy the importance of lasting power of attorney (contractual guardianship) as an alternative to judicial guardianship is more and more emphasized. But the characteristic of lasting power of attorney, i.e guaranteeing the a...

      From the perspective of autonomy the importance of lasting power of attorney (contractual guardianship) as an alternative to judicial guardianship is more and more emphasized. But the characteristic of lasting power of attorney, i.e guaranteeing the autonomy of disabled adults and the abstention of supervision could lead to abuse of authority by guardian. For the courts, there are two ways to protect adult from abuse of authority by contractual guardian: To control the opening of lasting power of attorney ex ante and to supervise the management of affairs by the guardian after the lasting power of attorney comes into effect. Between these two ways the Korean provisions regulating lasting power of attorney focus mainly on the first: as a prerequisite for valid contractual guardianship authentication of deed and lasting power of attorney comes into force only when Family Court examines the case and appoints a supervisory attorney. These requirements are blamed for not complying with the doctrine of guaranteeing autonomy coined by CRPD and for making the system unnecessarily expensive and difficult for access. In fact the statistic shows that the system of lasting power of attorney is much more used in the countries where the requirement for valid power of attorney and judicial intervention/supervision are scarce. However, in consideration of other factors, like that the German Courts are allowed to grant a judicial guardianship, even if a lasting power of attorney comes into effect, and therefore to control the attorney’s management, a comprehensive evaluation is needed for deciding how the risk from lasting power of attorney is dealt by the social and guardianship system. In my opinion an abandonment of ex-ante control could put the protection of adult in serious danger in considering that the ex-post supervision systems are not yet suffici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임의후견의 효력 발생에 대한 감독
      • Ⅲ. 개시된 임의후견에 대한 감독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임의후견의 효력 발생에 대한 감독
      • Ⅲ. 개시된 임의후견에 대한 감독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우, "한국 후견제도의 운영과 가정법원의 역할" 법조협회 66 (66): 123-160, 2017

      2 최현태, "피성년후견인의 신상 보호와 자기결정능력 존중" 법학연구소 16 (16): 487-519, 2013

      3 김형석, "피성년후견인과 피한정후견인의 소송능력 ―해석론과 입법론―" 한국가족법학회 27 (27): 41-84, 2013

      4 김현진, "프랑스의 성년후견제도 —장래보호위임계약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법학회 26 (26): 71-126, 2012

      5 이지은, "임의후견제도의 활용 및 전망에 대한 소고" (1) : 2013

      6 이영규, "임의후견제도의 활성화방안" 한양법학회 25 (25): 77-102, 2014

      7 오호철, "일본의 임의후견계약의 유형에 따른 문제점과 우리나라의 시사점" 한국법학회 (52) : 151-166, 2013

      8 이지은, "신상 결정행위에 있어 법원의 감독 - 개정민법 제947조의2의 해석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19 (19): 173-212, 2012

      9 김성우, "성년후견제도의 현황과 과제" 한국가족법학회 30 (30): 407-454, 2016

      10 박인환, "성년후견제도 시행 4년의 평가와 과제" 법조협회 66 (66): 5-75, 2017

      1 김성우, "한국 후견제도의 운영과 가정법원의 역할" 법조협회 66 (66): 123-160, 2017

      2 최현태, "피성년후견인의 신상 보호와 자기결정능력 존중" 법학연구소 16 (16): 487-519, 2013

      3 김형석, "피성년후견인과 피한정후견인의 소송능력 ―해석론과 입법론―" 한국가족법학회 27 (27): 41-84, 2013

      4 김현진, "프랑스의 성년후견제도 —장래보호위임계약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법학회 26 (26): 71-126, 2012

      5 이지은, "임의후견제도의 활용 및 전망에 대한 소고" (1) : 2013

      6 이영규, "임의후견제도의 활성화방안" 한양법학회 25 (25): 77-102, 2014

      7 오호철, "일본의 임의후견계약의 유형에 따른 문제점과 우리나라의 시사점" 한국법학회 (52) : 151-166, 2013

      8 이지은, "신상 결정행위에 있어 법원의 감독 - 개정민법 제947조의2의 해석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19 (19): 173-212, 2012

      9 김성우, "성년후견제도의 현황과 과제" 한국가족법학회 30 (30): 407-454, 2016

      10 박인환, "성년후견제도 시행 4년의 평가와 과제" 법조협회 66 (66): 5-75, 2017

      11 제철웅, "성년후견과 지속적 대리 - 의사결정능력 장애인의 보호에서 인권존중으로 -" 법조협회 66 (66): 76-122, 2017

      12 박인환, "새로운 성년후견제 도입을 위한 민법개정안의 검토" 한국가족법학회 24 (24): 31-74, 2010

      13 김기영,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독일의 입법적 규율과 의사결정방법 - 2009년 7월 29일 후견법의 제3차 개정을 중심으로 -" 대한변호사협회 (408) : 7-23, 2010

      14 김형석, "민법 개정안에 따른 성년후견법제" 한국가족법학회 24 (24): 111-166, 2010

      15 백승흠, "독일의 후견·성년후견제도의 개혁에 관한 소고" 한독사회과학회 21 (21): 161-182, 2011

      16 백승흠, "개정민법의 후견계약제도와 과제 - 일본의 임의후견계약제도와 비교하여 -" 법학연구소 28 (28): 31-60, 2012

      17 박인환, "개정민법상 임의후견제도의 쟁점과 과제" 한국가족법학회 26 (26): 191-228, 2012

      18 구상엽, "개정민법상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연구 : 입법배경, 입법자의 의사 및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9 제철웅, "개정 민법상의 후견계약의 특징,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향 :후견대체제도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민사법학회 66 : 99-134, 2014

      20 "von Staudingers Kommentar zum Bürgerlichen Gesetzbuch: Staudinger BGB Buch 1: Allgemeiner Teil §§164-240"

      21 Walter, Ute, "Vorsorgevollmacht und Überwachungsbetreuung" 353-, 2000

      22 Deutsches Ärzteblatt, "Umgang mit Vorsorgevollmacht und Patientenverfügung in der ärztlichen Praxis"

      23 Massip, Jacques, "Tutelle des mineurs et protection juridique des majeurs" Defrénois 2009

      24 Cour de Cassation, "Rapport de Mme Capitaine" conseiller rapporteur

      25 Schwab, "Münchener Kommentar zum BGB" 2017

      26 Schwab, "Münchener Kommentar zum BGB" 2017

      27 Schubert, "Münchener Kommentar zum BGB" 2015

      28 Sauvage, François, "Mandat de protection future" 2017

      29 Günther, Thomas, "Legitimationsprüfungen bei Erben, Betreuern und Bevollmächtigten" 3681-, 2013

      30 Bayerisches Staatsministerium der Justiz, "Die Vorsorgevollmacht: Was darf der Bevollmächtigte?" 2015

      31 Walter, Ute, "Die Vorsorgevollmacht: Grundprobleme eines Rechtsinstituts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Frage nach Vorsorge im personalen Bereich" Gieseking 1997

      32 Zimmermann, Walter, "Die Formulierung der Vorsorgevollmacht" 1573-, 2014

      33 Dodegge, Georg, "Die Entwicklung des Betreuungsrechts bis Ende Juli 2015" 2698-, 2015

      34 Perau, Guido, "Betreuungsverfügung und Vorsorgevollmacht" 285-, 1996

      35 Bundesministerium der Justiz und für Verbraucherschutz, "Betreuungsrecht" 2016

      36 Tersteegen, Jens, "Bankgeschäfte mittels Vorsorgevollmacht Verpflichtung der Banken zur Anerkennung von Vorsorgevollmachten?" 1717-, 2007

      37 Seifert, Uwe, "Anmerkung zu BGH, Beschl. v. 3.2.2016 XII ZB 425/14:Betreuerbestellung und Vorsorgevollmacht" 123-, 2016

      38 윤진수, "2013년 개정 민법 해설"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Korean Law -> Korean Journal of Family Law KCI등재
      2005-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Korean Law -> Korean Journal of Family Law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7 0.758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