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의 아동교육 =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Kory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34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고려시대의 아동교육을 알아보기 위해서 고려시대에 관한 문헌을 통하여 아동관, 아동 보호를 위한 사회적 제도, 비형시 교육 및 형식 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에서 분석된 문헌에 나타난 아동관은 영아기를 온전한 상태로 개념화하였고, 능력이나 품성은 가지고 태어난다는 선천적 특성을 중시하는 관점이 나타났다. 또한 법 차원에서의 아동 보호로서 아동 유기를 법적으로 금지시켰고, 구금 중인 산부와 그 영아를 법적으로 보호하였고, 일정 연령까지 고아의 부양을 나라가 일부 책임을 졌으며, 사회적 차원에서 아동 복지 활동이 행해졌다. 아동을 위한 비형식 교육 부문은 사찰과 승려가 중심이 되어 행해졌으며, 개인 선생을 두어 교육이 이루어졌고, 형식 교육은 서당을 중심으로 행해졌다. 교육내용은 유교사상이 중심이 되었으며, 가내과업을 통해서 성인생활을 향한 자연스러운 사회화가 이루어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려시대의 아동교육을 알아보기 위해서 고려시대에 관한 문헌을 통하여 아동관, 아동 보호를 위한 사회적 제도, 비형시 교육 및 형식 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분석 결과...

      본 연구는 고려시대의 아동교육을 알아보기 위해서 고려시대에 관한 문헌을 통하여 아동관, 아동 보호를 위한 사회적 제도, 비형시 교육 및 형식 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에서 분석된 문헌에 나타난 아동관은 영아기를 온전한 상태로 개념화하였고, 능력이나 품성은 가지고 태어난다는 선천적 특성을 중시하는 관점이 나타났다. 또한 법 차원에서의 아동 보호로서 아동 유기를 법적으로 금지시켰고, 구금 중인 산부와 그 영아를 법적으로 보호하였고, 일정 연령까지 고아의 부양을 나라가 일부 책임을 졌으며, 사회적 차원에서 아동 복지 활동이 행해졌다. 아동을 위한 비형식 교육 부문은 사찰과 승려가 중심이 되어 행해졌으며, 개인 선생을 두어 교육이 이루어졌고, 형식 교육은 서당을 중심으로 행해졌다. 교육내용은 유교사상이 중심이 되었으며, 가내과업을 통해서 성인생활을 향한 자연스러운 사회화가 이루어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ion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yo Dynasty(918~1392 A.D.). The material examined in this study are works which were written in or about the Koryo Dynasty, such as 'the Koryo Dynasty History'(고려사), 'Sunhwabongsa Koryo Dogeung'(선화봉사고려동경), 'Donggukisanggukgip'(동국이상국집), ' Pahangip'(파한집), 'Bohangip'(보한집). Our analysis reveals that in the Koryo Dynasty, infancy was regarded as a pure and perfect period, unspoiled by seeing, hearing, or talking with others. Another prevalent idea was that infants were born into an innate ideal state or ability and education was viewed as necessary to maintain that ideal state. In addition, there were government decreed child welfare practices: it was against the law to abandon a child; a woman giving birth in prison was protected on a legal basis; and the government took some responsibility for chtild-rearing and child welfare work. Finally, Koryo Dynasty had both informal and formal education for children. Informal education was conducted in Buddhist temples by monks or private tutors, while the institution of formal education for childhood was Suhdang(서당). Education in the Kotyo Dynasty comprised the principles Confucianism and training for adulthood roles through everyday work in the home.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ion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yo Dynasty(918~1392 A.D.). The material examined in this study are works which were written in or about the Koryo Dynasty, such as 'the Koryo Dynasty History'(고려...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ion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yo Dynasty(918~1392 A.D.). The material examined in this study are works which were written in or about the Koryo Dynasty, such as 'the Koryo Dynasty History'(고려사), 'Sunhwabongsa Koryo Dogeung'(선화봉사고려동경), 'Donggukisanggukgip'(동국이상국집), ' Pahangip'(파한집), 'Bohangip'(보한집). Our analysis reveals that in the Koryo Dynasty, infancy was regarded as a pure and perfect period, unspoiled by seeing, hearing, or talking with others. Another prevalent idea was that infants were born into an innate ideal state or ability and education was viewed as necessary to maintain that ideal state. In addition, there were government decreed child welfare practices: it was against the law to abandon a child; a woman giving birth in prison was protected on a legal basis; and the government took some responsibility for chtild-rearing and child welfare work. Finally, Koryo Dynasty had both informal and formal education for children. Informal education was conducted in Buddhist temples by monks or private tutors, while the institution of formal education for childhood was Suhdang(서당). Education in the Kotyo Dynasty comprised the principles Confucianism and training for adulthood roles through everyday work in the ho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중세교육제도사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2

      2 "한국의 풍속사Ⅰ" 밀알 1994

      3 "한국신문에 실린 아동양육에 관한 기사내용분석 -1920년대와 1930년대의 동아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30 (30): 249-260, 1992

      4 "한국신문에 실린 아동양육에 관한 기사내용분석 -1920년대 1970년대의 동아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31 (31): 159-175, 1993

      5 "한국문화사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6 "한국근대유치원교육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7

      7 "한국교육사상연구" 집문당 1983

      8 "한국과 미국의 자녀양육방식의 비교" 교육과학사 1995

      9 "한국 서원교육제도 연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79

      10 "필립 아리에스의 심성사 연구.사회사연구의 이론과 방법" 문학과 지성사 1988

      1 "한국중세교육제도사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2

      2 "한국의 풍속사Ⅰ" 밀알 1994

      3 "한국신문에 실린 아동양육에 관한 기사내용분석 -1920년대와 1930년대의 동아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30 (30): 249-260, 1992

      4 "한국신문에 실린 아동양육에 관한 기사내용분석 -1920년대 1970년대의 동아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31 (31): 159-175, 1993

      5 "한국문화사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6 "한국근대유치원교육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7

      7 "한국교육사상연구" 집문당 1983

      8 "한국과 미국의 자녀양육방식의 비교" 교육과학사 1995

      9 "한국 서원교육제도 연구" 영남대학교출판부 1979

      10 "필립 아리에스의 심성사 연구.사회사연구의 이론과 방법" 문학과 지성사 1988

      11 "청소년문제.현대사회문제" 사회문화연구소 1991

      12 "청년발달의 이론" 양서원 1999

      13 "주자와 왕양명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1998

      14 "조선후기 동몽교재의 내용연구" 1991

      15 "조선중기 양아록을 통해 본 아동 인식" 22 (22): 205-218, 2001

      16 "조선시대의 인간발달단계 및 그 교육내용" 10 (10): 1-18, 1989

      17 "조선시대 풍속지에 나타난 아동양육 고찰:동국세시기열양세시기경도 잡지를 중심으로" 12 (12): 219-228, 1994

      18 "조선시대 아동의 효행교육" 16 (16): 21-31, 1995

      19 "조선시대 아동양육방법에 관한 문헌적 탐구" 4 (4): 5-24, 2000

      20 "조선시대 동몽교육의 방법적 원리" 13 (13): 113-128, 1992

      21 "조선시대 교훈서에 나타난 아동 연령기대에 관한 연구" 16 (16): 183-195, 1995

      22 "조선시대 교훈서에 나타난 부모 역할에 관한 연구:자녀훈육을 중심으로" 33 (33): 155-168, 1995

      23 "조선시대 교훈서를 통해 본 자녀양육 -동몽선습, 격몽요결, 사소절, 고암가훈을 중심으로" 1989

      24 "율곡의 인성론과 아동교육관 연구" 20 (20): 243-257, 2000

      25 "소학에 나타난 아동교육론" 21 (21): 215-234, 2000

      26 "소학에 나타난 동몽기 예절교육에 관한 연구" 31 (31): 157-168, 1993

      27 "생활문화교육" 교육과학사 1982

      28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나타난 아동기 고찰" 32 (32): 125-134, 1994b

      29 "사회화와 교육:부족사회 문화전승 과정의 교육학적 재검토" 교육과학사 1997

      30 "사소절에 나타난 아동훈육법 고찰" 25 : 141-152, 1987

      31 "불교아동학개론" 양서원 1998

      32 "백동자도를 통해 본 조선후기의 아동인식(2)" 20 (20): 67-81, 2000

      33 "백동자도를 통해 본 조선후기의 아동인식(1)" 19 (19): 59-76, 1999

      34 "고려시대 유교의 역할" 민족문화사 1988

      35 "고려시대 아동양육 연구 고려사를 중심으로" 32 (32): 49-162, 1994

      36 "고려시대 문집에 나타난 아동양육 고찰" 13 (13): 133-144, 1995

      37 "고려사의 연구" 삼영사 1982

      38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39 "Social representation of childhood: an implicit theory development. In G.Duveen & B.Lloyd(Eds.) Social represent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40 "Research in education, 9th" Allyn & Bacon 2003

      41 "Children: right & childhood." Routledge 1993

      42 "Centuries of childhood: a social history of family life" Vintage 19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