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글, 그림과 애니메이션의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상호매체적 관계와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글, 그림, 애니메이션이라는 각기 독립되고 다른 특성을 지닌 매체들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가.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상호매체적 관계와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글, 그림, 애니메이션이라는 각기 독립되고 다른 특성을 지닌 매체들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되는지, 원작의 스토리가 어떻게 ‘다시 쓰기’ 되는지를 살펴볼 예정이다. 또한 영화와 애니메이션에 관한 이론을 정립해 놓은 로트만, 에이젠슈타인 등 러시아 영화와 관련된 자료를 포함한 여러 자료와 방법론을 참조할 것이다.

      나. 연구내용

      1차년 글과 애니메이션의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볼셰비키 당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자극을 받아 단일 스튜디오 ‘소유즈물트필름’ (1936)을 만들었다. 당의 검열과 통제 하에 있던 ‘소유즈물트필름’은 이전의 실험적이고 창의적이었던 애니메이션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지만 러시아 애니메이션의 발전에도 기여를 하였다. 러시아 애니메이션은 이반 이바노프 바노를 비롯해서 아타마노프, 유리 노르슈테인, 알렉산드르 페트로프 등을 배출하며 예술적으로나 애니메이션 기법에서도 전 세계의 인정을 받았다. 소비에트 시기라는 열악한 상황에서도 세계적인 애니메이션과 거장을 배출한 러시아 애니메이션은 ‘문학의 영상화’가 가장 많이 일어난 매체이다. ‘소유즈물트필름’은 많은 애니메이션을 제작했으며 대부분 러시아 아동문학, 민담, 푸쉬킨, 고골 등 유명한 러시아 작가들의 작품을 영상화하였다. (정미숙, 2006:74)
      현대는 모든 경계가 허물어지고 크로스오버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원천매체에서 도착매체로 전환될 때 원천매체의 서사, 이데올로기, 형식 등이 변화를 겪게 된다. 글이 영상으로 매체전환이 일어날 경우 문자기호, 시각기호, 음성기호 등 많은 요소가 첨가되고 상호매체적 관계들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새로운 의미들이 재배치되고 재구조화된다.
      1차년에는 글, 즉 문학이 애니메이션이라는 영상으로 매체전환이 일어날 때 서사의 변화, 등장인물, 주제, 매체 기법, 작가의 세계관, 이데올로기의 반영 등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2차년도 그림책과 애니메이션의 상호매체성

      본 연구년도에서는 그림책 자체가 애니메이션으로 전환되었을 때 애니메이션의 그림과 그림책의 그림, 그리고 글과 그림의 결합으로 제3의 의미인 아이코노텍스트, 그림책과 애니메이션의 스토리텔링의 변화 등 상호매체적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애니메이션으로의 매체전환이 일어나면 여기에는 글의 작가와 화가의 서사, 의도 외에 감독의 시각, 편집, 전략이 존재하게 된다. 매체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변이형도 나타나지만 감독과 청자, 독자의 관계와 스토리텔링의 전달, 상호매체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의미들도 발견된다. 이 연구는 1차년의 “글과 애니메이션과의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를 근간으로 해서 진행이 될 것이다.

      3차년도 외국의 원천텍스트를 매체전환 한 러시아와 외국 애니메이션의 비교분석

      러시아는 주로 자국의 문학을 바탕으로 좋은 애니메이션을 만들었지만, 외국의 좋은 문학작품을 이용하여 러시아적인 바탕위에 뛰어난 애니메이션도 만들었다. 레프 아타마노프의 대표작인 “눈의 여왕”(1957)은 안데르센이 창작한 이야기 (1845)이다. “눈의 여왕”은 아타마노프에 의해 처음으로 애니메이션으로의 매체전환이 이루어졌는데 이 애니메이션은 일본의 미야자키 하야오를 비롯해서 세계 애니메이터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 외에도 러시아 애니메이션 대가들의 명맥을 잇는 페트로프는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를 모티프로 해서 만든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2000년도에 아카데미 단편애니메이션 최우수상을 받았다.
      3차년에서는 외국 문학작품이 애니메이션으로 매체전환될 때 러시아화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같은 원작의 러시아화된 애니메이션과 다른 나라 애니메이션을 비교하여 러시아 애니메이션과 외국 애니메이션의 서로 다른 특징도 밝힐 예정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