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 당화 혈색소는 최근 2∼3개월 동안의 혈당 농도를 반영하며, 당뇨병 환자들에서의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미세혈관 합병증의 예측인자이기도 하다. 최근 연구들에서 당화 혈색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 당화 혈색소는 최근 2∼3개월 동안의 혈당 농도를 반영하며, 당뇨병 환자들에서의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미세혈관 합병증의 예측인자이기도 하다. 최근 연구들에서 당화 혈색소 ...
연구배경 : 당화 혈색소는 최근 2∼3개월 동안의 혈당 농도를 반영하며, 당뇨병 환자들에서의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미세혈관 합병증의 예측인자이기도 하다. 최근 연구들에서 당화 혈색소 농도가 당뇨병 환자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 있어서 사망률을 예측하는 중요한 인자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당뇨병이 없는 성인들에서 당화 혈색소 농도와 관련된 인자들을 심혈관 위험인자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2001년 4월 1일에서부터 2001년 7월 31일까지 일개 대학 병원의 건강 증진 센터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20세 이상의 수진자 중 당뇨병이 없고 혈중 당화 혈색소 농도가 본 건강 증진센터의 정상 상한수치인 7.1%이하인 1,7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들은 성명, 연령, 신장, 체중, 혈압, 공복시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콜레스테롤, 당화 혈색소가 측정되었고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흡연력이 조사되었다. 당화 혈색소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하여 성별로 t-test또는 ANOVA test로 평균값 비교를 한 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인자들에 대하여 당화 혈색소를 4분위수로 나눈 후 중회귀 로짓 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으로 가장 낮은 당화 혈색소의 제1구간에 대한 가장 높은 제 4간의 당화 혈색소의 교차비를 구하였다.
결과 : 성별로 각 인자들에 대한 당화 혈색소 농도의 평균값 분석시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연령과 체질량 지수가 증가함에 따라 당화 혈색소 농도의 평균의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남성에서는 총콜레스테롤 240㎎/㎗ 이상, 중성지방 200㎎/㎗ 이상, 고밀도콜레스테롤, 공복시 혈당 110㎎/㎗ 이상에서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고밀도 콜레스테롤 35㎎/㎗ 이상에서 평균값이 유의하게 낮았고(P<0.05), 여성에서는 고혈압, 총콜레스테롤 240㎎/㎗ 이상, 중성지방 200㎎/㎗ 이상, 공복시 혈당 110㎎/㎗ 이상에서 평균값이 유의하게 높았고(P<0.05). 남성에서의 흡연, 고혈압, 여성에서의 흡연, 고밀도콜레스테롤에 대한 당화 혈색소 농도의 평균값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로지스틱 다중회귀 분석으로 교차비를 구하였을 때, 남성과 여성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당화 혈색소 농도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비만, 총콜레스테롤 240㎎/㎗ 이상, 공복시 혈당 110㎎/㎗ 이상의 변수들에서 당화 혈색소 농도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남서에서는 고밀도콜레스테롤 35㎎/㎗ 이상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 본 연구에서 당뇨병이 없는 성인에서 당화 혈색소 농도와 관련된 인자로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는 연령의 증가, 비만, 고콜레스테롤혈증, 공복시 혈당능 장애이며, 남성에서의 저고밀도콜레스테롤혈증도 관련이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d : Glycated hemoglobin concentration(HbA1c) is an indicator of averag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over 2-3 months, and in diabetes patients, it is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 In recent studies, Glyca...
Backgroud : Glycated hemoglobin concentration(HbA1c) is an indicator of averag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over 2-3 months, and in diabetes patients, it is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 In recent studies, Glycated hemoglobin concentration is predictor of mortality in diabetes patient and people without diabetes. Our study is designed to obtain factors associated glycated hemoglobin in adults without diabetes.
Methods : We screened 1778 adults over 20 years who were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in a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2001 to July 2001, had no diabetes and had HbA1c below 7.1%. Every subjects were assessed with respect to gender, age, height, weight,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FBS),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HDL)-cholesterol, triglyceride, HbA1c and smoking were assess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actors associated HbA1c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In men and women, as age and BMI were increased. the means of HbA1c is increased and that of HbA1c was higher in higher total cholesterol(≥100㎎/㎗). In men, the means of HbA1c was lower in higher HDL cholesterol(<35㎎/㎗) and in women, that of HbA1c was higher in hypertension.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in men and women as age is increased, the odd ratio of HbA1c is increased, and that of HbA1c was higher in obesity, higher total cholesterol(≥240㎎/㎗), higher FBS(<110㎎/㎗). In men, the odd ratio of HbA1c was lower in higher HDL cholesterol(<35㎎/㎗).
Conclusion : factors associated glycated hemoglobin(HbA1c) in adults without diabetes were increasing age, obesity, hypercholesterolemia, impaired fasting glucose in both sex and in men, low HDL cholesterolemia is too associated.
7β-Hydroxycholesterol이 사람 백혈암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