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교실 안과 밖에서 어떻게 한국어를 습득해 가는지를 교육생애사적 방법을 통해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6820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교실 안과 밖에서 어떻게 한국어를 습득해 가는지를 교육생애사적 방법을 통해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교실 안과 밖에서 어떻게 한국어를 습득해 가는지를 교육생애사적 방법을 통해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는 1년 동안에 언제, 어떻게 학습에 좌절하고, 성공하는지에 대해 학습자를 둘러 싼 다양한 요인을 기술하는 데에 1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는 한국어교육이 ‘무엇’을 가르쳐야할 것인가에 주목한 내용 연구에서 더 나아가 학습자가 ‘어떻게’ 배우고 있는지에 주목한 것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피는 기초 연구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3명으로, 3명의 한국어 학습자가 1년 동안 한국어를 습득해 가는 과정을 면담을 통해 구축한 자료를 연구자가 재해석 하는 데 초점이 있다. 본 연구자는 S대학교 언어교육원에서 2005년 12월 4일부터 현재까지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이면서 연구자이다. 따라서 연구 대상인 학습자는 S대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성인 학습자 중 1년 이상의 기간 동안 한국어를 학습할 계획이 있는 5명의 학습자를 우선 선정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2014년 3월부터 5월까지 S대학교에서 1급 과정을 이수한 4명의 학습자에게 본 연구의 의도를 밝히고, 연구 참여에 응할 학습자를 구두로 동의를 구해 놓은 상태이다. 5명의 학습자의 인적 정보는 다음과 같다.
1. 가 학습자: 중국, 여자, 조선족, 85년생, 중국어 선생님(1급 성적 98점)
2. 나 학습자: 중국, 여자, 한족, 92년생, 한국 유학 목적(1급 성적 91점)
3. 다 학습자: 태국, 여자, 83년생, 한국에 대한 관심으로 한국어 학습(1급 성적 90.7점)
4. 라 학습자: 중국, 여자, 한족, 94년생, 한국 유학 목적(1급 성적 94.1점)
5. 마 학습자: 러시아, 여자, 94년생, 한국에 대한 관심으로 한국어 학습(1급 성적 88.1점)
위에서 5명의 학습자는 2014년 5월, 연구자가 한국어의 학습 기간에 대한 질문에 1년 이상 배울 생각이 있다고 답한 학습자들이나 개인 사정이나 기타 다른 문제로 1년 이상 한국에 체류하지 못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 연구 목적에서는 3명의 학습자로 한정하였다.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은 주입식이거나 강의식의 내용 전달이 아니어야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또한 교사가 한국어를 가르치는 대로 학습자는 배우지 않는다는 점에도 이견이 없어 보인다. 그럼에도 교사가 가르치는 눈과 배우는 눈이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점에 대한 의식을 공유하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한국어교육은 교재 개발을 위해서 학습자의 요구 조사 연구는 하지만 배운 내용에 대해 학습자의 요구 조사 연구는 없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학습자의 눈’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즉, 학습자는 한국어 학습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 배우지 않는지를 기술할 것이다. 이는 한국어 학습 자료인 교재를 포함한 교실 한국어 학습을 기술하는 데서 출발할 것이다. 지엽적일 수 있지만, 한국어 문법과 어휘 학습에서 어려운 것은 무엇인가? 또는 쉬운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재미있는 활동이었는가? 무엇이 학습자를 힘들게 하는 활동인가? 무엇이 학습을 촉진시키는 과제인가? 무엇이 학습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학습자의 개인적 경험을 기술하는 것이 연구의 주된 과제에 해당한다.
이 연구는 한 개인의 구술담을 통하여 한국어교육의 습득 과정에서 변화하는 연구 대상자의 관점을 해석하고 재해석하는 데 관심이 있다. 따라서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에 대한 경험적 회고를 연구자가 교육적 관점에서 생애사를 기술하여 한국어 습득 연구 방법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가치가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