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hosphodiesterase Ⅲ Inhibitor Cilostazol Protects Amyloid β-Induced Neuronal Cell Injury vi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Activ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9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Amyloid β (Aβ)의 신경독성은 알츠하이머병의 주된 원인이 되고 이러한 신경독성은 일련의 신경세포 사멸반응에 의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병의 실험모델로 mouse...

      Amyloid β (Aβ)의 신경독성은 알츠하이머병의 주된 원인이 되고 이러한 신경독성은 일련의 신경세포 사멸반응에 의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병의 실험모델로 mouse primary neuronal cell에 Aβ25-35를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유도하는 세포실험모델과 C57BL/6J mouse 뇌실에 Aβ25-35를 주입하여 인지장애를 일으키는 동물실험모델을 이용하여 phosphodiesterase Ⅲ 억제제인 cilostazol의 신경보호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Aβ25-35를 신경세포에 처리하면 세포생존율이 감소되었고, 세포사멸이 일어난 세포의 수도 증가되었다. 이러한 Aβ25-35에 의한 세포독성이 cilostazol처리에 의해 회복되었으며,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 항진제인 rosiglitazone 또한 동일한 회복효과를 나타내었다. Cilostazol과 rosiglitazone에 의한 이러한 회복효과가 PPAR-γ 길항제인 GW9662에 의해 다시 억제되는 결과를 통해 cilostazol의 효과는 PPAR-γ가 매개하는 신호전달이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직접 PPAR-γ 활성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Aβ25-35 처리에 의해 감소된 PPAR-γ 활성화 정도가 cilostazol과 rosiglitazone에 의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는 GW9662에 의해 다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cilostazol은 세포사멸이 일어난 세포의 수와 세포사멸 조절단백질인 Bax/Bcl-2의 비율도 감소시켰다. Cilostazol (20 ㎎/㎏, 구강투여)을 C57BL/6J mice 뇌실에 Aβ25-35를 주입하기 2주 동안 전처리하고, Aβ25-35 주입 후 4주 동안 처리하면, 기억력과 학습능력을 증진시킨다는 결과를 water maze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rosiglitazone (10 ㎎/㎏)을 먹인 동물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cilostazol이 PPAR-γ 활성화를 통해 Aβ25-35로 인한 신경세포 손상과 세포사멸을 약화시켜, 신경세포의 생존을 증진시키고, 알츠하이머에서 인지장애를 개선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phosphodiesterase Ⅲ 억제제인 cilostazol은 알츠하이머 질병 치료에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eurotoxicity of aggregated amyloid β (Aβ) has been implicated as a critical cause in the pathogenesis of Alzheimer’s disease (AD). It can cause neurotoxicity in AD by evoking a cascade of apoptosis to neuron. Here, we investigated the neuropr...

      The neurotoxicity of aggregated amyloid β (Aβ) has been implicated as a critical cause in the pathogenesis of Alzheimer’s disease (AD). It can cause neurotoxicity in AD by evoking a cascade of apoptosis to neuron. Here, we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cilostazol, which acts as a phosphodiesterase Ⅲ inhibitor, on Aβ25-35-induced cytotoxicity in mouse neuronal cells and cognitive decline in the C57BL/6J AD mouse model vi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 activation. Aβ25-35 significantly reduced cell viability and increased the number of apoptotic-like cells. Cilostazol treatment recovered cells from Aβ-induced cell death as well as rosiglitazone, a PPAR-γ activator. These effects were suppressed by GW9662, an antagonist of PPAR-γ activity, indicative of a PPAR-γ -mediated signaling. In addition, cilostazol and rosiglitazone also restored PPAR-γ activity levels that had been altered as a result of Aβ25-35 treatment, which were antagonized by GW9662. Furthermore, cilostazol also markedly decreased the number of apoptotic-like cells and decreased the Bax/Bcl-2 ratio.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Aβ25-35 in C57BL/6J mice resulted in impaired cognitive function. Oral administration of cilostazol (20 ㎎/㎏) for 2 weeks before Aβ25-35 injection and once a day for 4 weeks post-surgery almost completely prevented the Aβ25-35-induced cognitive deficits, as did rosiglitazone.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cilostazol could attenuate Aβ25-35-induced neuronal cell injury and apoptosis as well as promote the survival of neuronal cells, subsequently improving cognitive decline in AD, partly because of PPAR-γ activation. The phosphodiesterase Ⅲ inhibitor cilostazol may be the basis of a novel strategy for the therapy of A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Acknowledgement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Acknowledgement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