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1. 머리말 : 문화사적 시각으로 조선의 정재 무보 바라보기
- 2. 무보의 기록주체
- 3. 무보의 기록시기
- 4. 무보의 기록 내용과 방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12583
2011
Korean
685
구)KCI후보(통합)
학술저널
7-33(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은제, "??高麗史?? 편찬 후 고려에 대한 기억" 한국중세사학회 (23) : 61-89, 2007
2 허순선, "한국춤의 새로운 무보틀 연구" 전남대 대학원 2004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웹사이트"
4 이애주, "한국전통무용 기록․보존에 관한 방법론 연구:영상매체의 활용을 중심으로" (1) : 1992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최해리, "한국무용기록의 역사와 전망" 한국무용기록학회 (1) : 2001
7 김효심, "한국무보의 현황분석에 따른 미래방안 모색" 경희대 대학원 2004
8 이흥구, "한국궁중무용총서: 1~13" 보고사 2008
9 "한국고전번역원 웹사이트"
10 송방송, "증보 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1 신은제, "??高麗史?? 편찬 후 고려에 대한 기억" 한국중세사학회 (23) : 61-89, 2007
2 허순선, "한국춤의 새로운 무보틀 연구" 전남대 대학원 2004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웹사이트"
4 이애주, "한국전통무용 기록․보존에 관한 방법론 연구:영상매체의 활용을 중심으로" (1) : 1992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최해리, "한국무용기록의 역사와 전망" 한국무용기록학회 (1) : 2001
7 김효심, "한국무보의 현황분석에 따른 미래방안 모색" 경희대 대학원 2004
8 이흥구, "한국궁중무용총서: 1~13" 보고사 2008
9 "한국고전번역원 웹사이트"
10 송방송, "증보 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11 조경아, "조선후기 儀軌를 통해 본 呈才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9
12 "조선왕조실록 웹사이트"
13 조경아, "정재의 가무악(歌舞樂) 요소에 담긴 상징과 비유 I : 헌선도" 한국무용예술학회 32 (32): 149-177, 2011
14 국립국악원,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은하출판사 1989
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정재무도홀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16 이혜구,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17 조한욱, "문화사란 무엇인가?" 길 2005
18 유시현, "라바노테이션(Labanotation)이 내포하는 무용정신" 한국무용예술학회 7 : 2001
19 국립국악원, "동서양의 고악보와 무보" 2011
20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국역 헌종무신진찬의궤: 권수․권1"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4
21 송방송, "국역 순조기축진찬의궤: 권수․권1" 민속원 2007
22 송방송, "국역 순조기축진찬의궤: 권3․부편" 민속원 2007
23 송방송, "국역 순조기축진찬의궤: 권2" 민속원 2007
24 한국예술학과 음악사료강독회, "국역 고종신축진연의궤: 1-2" 한국 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01
25 "고종 정해 진찬의궤(進饌儀軌)"
26 "고종 정축 진찬의궤(進饌儀軌)"
27 "고종 임진 진찬의궤(進饌儀軌)"
28 "고종 임인 4월 진연의궤(進宴儀軌)"
29 "고종 임인 11월 진연의궤(進宴儀軌)"
30 "고종 신축 진찬의궤(進饌儀軌)"
31 차주환, "고려사악지" 을유문화사 1972
32 변태섭, "고려사 편찬에 있어서의 객관성의 문제" 진단학회 (40) : 1975
풍물굿에서 춤의 기능과 미학적 작용 - 필봉농악 실제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