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본영화 속의 ‘반전평화’ 내러티브 연구 -히메유리 학도대의 영상화와 그 표상적 의미를 중심으로- = The Narrative Structure of Antiwar Films in Postwar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636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narrative structure of 'antiwar film' in postwar Japan
      focusing on Himeyuri Butai films. Himeyuri Butai or Star Lily Corps in Okinawa was
      assembled by the Japanese military authorities and its members were local female high
      school. The story of Himeyuri became a symbol of civilian tragic suffering in the war and
      had been made into films many times only in mainland Japan named 'antiwar film'.
      However the 'antiwar message' carried out by these movies is problematic because the
      narratives of these only accentuate the national image of the victimized Japan by
      depicting sacrifice of young maidens. And these films do not tell this war was started by
      Japan and depict the violence of Japanese to other countries.
      번역하기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narrative structure of 'antiwar film' in postwar Japan focusing on Himeyuri Butai films. Himeyuri Butai or Star Lily Corps in Okinawa was assembled by the Japanese military authorities and its members were local fe...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e narrative structure of 'antiwar film' in postwar Japan
      focusing on Himeyuri Butai films. Himeyuri Butai or Star Lily Corps in Okinawa was
      assembled by the Japanese military authorities and its members were local female high
      school. The story of Himeyuri became a symbol of civilian tragic suffering in the war and
      had been made into films many times only in mainland Japan named 'antiwar film'.
      However the 'antiwar message' carried out by these movies is problematic because the
      narratives of these only accentuate the national image of the victimized Japan by
      depicting sacrifice of young maidens. And these films do not tell this war was started by
      Japan and depict the violence of Japanese to other count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오키나와전에서 여고생 신분으로 종군간호부 역할을 하다가 죽어간 히메유리 학도대를 주인공으로 한 영상물을 중심으로 전후일본에서 만들어진 ‘반전영화’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히메유리 학도대를 다룬 극영화들은 유독 오키나와가 아닌 본토에서만 제작되었을까. 이러한 의문점에서 출발하여 본고는 전후 계속해서 제작되고 있는 히메유리 학도대를 다룬 영상물에서, 오키나와전이라는 매우 독특한 경험이 일본 본토의 보수적 전쟁의 기억으로 흡수되어 나타나는 영상내러티브를 고찰하였다.
      이 내러티브에서는 ‘순진무구’한 젊은 여성의 희생을 통하여 일본의 일방적인 피해가 강조되고, 일본이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반전’한다는 보수적인 ‘반전평화’관이 잘 드러난다. 또한 이러한 내러티브는 오키나와와 본토의 대립을 은폐하고, 일본이 벌인 전쟁이라는 점과 일본의 가해성을 망각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그리고 21세기에도 이러한 ‘반전’적 내러티브가 변용된 형태로 계속해서 보수적인 틀에서 소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고는 오키나와전에서 여고생 신분으로 종군간호부 역할을 하다가 죽어간 히메유리 학도대를 주인공으로 한 영상물을 중심으로 전후일본에서 만들어진 ‘반전영화’의 내러티브를 분석...

      본고는 오키나와전에서 여고생 신분으로 종군간호부 역할을 하다가 죽어간 히메유리 학도대를 주인공으로 한 영상물을 중심으로 전후일본에서 만들어진 ‘반전영화’의 내러티브를 분석하였다. 히메유리 학도대를 다룬 극영화들은 유독 오키나와가 아닌 본토에서만 제작되었을까. 이러한 의문점에서 출발하여 본고는 전후 계속해서 제작되고 있는 히메유리 학도대를 다룬 영상물에서, 오키나와전이라는 매우 독특한 경험이 일본 본토의 보수적 전쟁의 기억으로 흡수되어 나타나는 영상내러티브를 고찰하였다.
      이 내러티브에서는 ‘순진무구’한 젊은 여성의 희생을 통하여 일본의 일방적인 피해가 강조되고, 일본이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반전’한다는 보수적인 ‘반전평화’관이 잘 드러난다. 또한 이러한 내러티브는 오키나와와 본토의 대립을 은폐하고, 일본이 벌인 전쟁이라는 점과 일본의 가해성을 망각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그리고 21세기에도 이러한 ‘반전’적 내러티브가 변용된 형태로 계속해서 보수적인 틀에서 소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치로 도미야마, "전장의 기억" 이산 2002

      2 스즈키 테사 모리스, "변경에서 바라본 근대" 산처럼 2006

      3 岡本恵徳, "現代文学にみる沖縄の自画像" 高文研 1999

      4 大城将保, "沖縄戰の真実をめぐって. in : 沖縄戰の記憶" 社会評論社 2002

      5 大江健三郎, "沖縄ノート" 岩波書店 1970

      6 マヤモリオカトデスキーニ, "死と乙女」─文化的ヒロインとしての女性被爆者, そして原爆の記憶の政治学.in : ミックブロデリック. ヒバクシャシネマ" 現代書館 1999

      7 タカシフジタニ, "植民地支配後期の 朝鮮 映画における國民,血,自決/民族自決─今井正監督作品の分析.in : 歴史の描き方③記憶が語りはじめる" 東京大学出版会 2006

      8 酒井直樹, "日本/映像/米國" 青土社 2007

      9 田中純一郎, "日本映画発達史" 中央公論社 1957

      10 佐藤忠男, "日本映画月評:ひめゆりの塔." 1982

      1 이치로 도미야마, "전장의 기억" 이산 2002

      2 스즈키 테사 모리스, "변경에서 바라본 근대" 산처럼 2006

      3 岡本恵徳, "現代文学にみる沖縄の自画像" 高文研 1999

      4 大城将保, "沖縄戰の真実をめぐって. in : 沖縄戰の記憶" 社会評論社 2002

      5 大江健三郎, "沖縄ノート" 岩波書店 1970

      6 マヤモリオカトデスキーニ, "死と乙女」─文化的ヒロインとしての女性被爆者, そして原爆の記憶の政治学.in : ミックブロデリック. ヒバクシャシネマ" 現代書館 1999

      7 タカシフジタニ, "植民地支配後期の 朝鮮 映画における國民,血,自決/民族自決─今井正監督作品の分析.in : 歴史の描き方③記憶が語りはじめる" 東京大学出版会 2006

      8 酒井直樹, "日本/映像/米國" 青土社 2007

      9 田中純一郎, "日本映画発達史" 中央公論社 1957

      10 佐藤忠男, "日本映画月評:ひめゆりの塔." 1982

      11 吉田裕, "日本人の戰争観-戰後史のなかの変容" 岩波書店 2005

      12 瓜生忠夫, "日本の映画" 岩波書店 1956

      13 藤原幸男, "平和教育と修学旅行" 9 : 2002

      14 吉田司, "增補新版ひめゆり忠臣蔵" 太田出版 2000

      15 新崎盛暉, "基地のない世界を" 凱風社 1996

      16 佐藤忠男, "反戰映畵の系譜. in :日本映畵と日本文化" 未來社 1989

      17 小森陽一et al, "原爆文学と沖縄文学: 沈黙 を語る言葉. in : 座談会昭和文学史" 集英社 2003

      18 牧田徹雄, "世論調査リポート日本人の戰爭と平和観その持続と風化" 2000

      19 今井正, "わが映画演出法 in :岩波講座日本映画" 岩波書店 5-, 1987

      20 Morio, Watanabe, "Imagery and War in Japan: 1995.” Perilous Memories" Duke University Press 2001

      21 Aaron, Graw, "From the National Gaze to Multiple Gazes: Representations of Okinawa in Recent Japanese Cinema in Islands of Discontent: Okinawan responses to Japanese and American power"

      22 福間良明, ""反戰"のメディア史" 世界思想社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0-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9-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nal of Asia-Pacific Studies -> The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3-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6-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시아 태평양지역연구원 -> 국제지역연구원
      영문명 : Center for Asia-Pacific Studies -> Institute of Global Affairs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3 1.093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