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는 ‘한 국가 내부에 다수의 종족·민족·인종의 문화가 혼재하고 있는 상황’을 가리키고, 그리고 다문화주의는 ‘하나의 국가 내부에 다양한 문화가 각자의 정체성을 지니고 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62787
박진태 (대구대학교)
2008
Korean
다문화 ; 다문화 사회 ; 다문화주의 ; 다문화적 관점 ; 이민과 귀화 ; 건국신화 ; 구어서사 ; 서사구조 ; Multi-culture ; Multi-culturalism ; Migration ; Naturalization ; Multi-cultural Society ; Oral Literature
KCI등재
학술저널
89-112(24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다문화’는 ‘한 국가 내부에 다수의 종족·민족·인종의 문화가 혼재하고 있는 상황’을 가리키고, 그리고 다문화주의는 ‘하나의 국가 내부에 다양한 문화가 각자의 정체성을 지니고 평...
‘다문화’는 ‘한 국가 내부에 다수의 종족·민족·인종의 문화가 혼재하고 있는 상황’을 가리키고, 그리고 다문화주의는 ‘하나의 국가 내부에 다양한 문화가 각자의 정체성을 지니고 평등한 관계로 공존하는 사회를 지향하는 이데올로기’이다. 그러나 한민족의 다문화 체험을 인식함에 있어서 과거와 현재, 국내와 국외를 모두 포괄하려면 다문화적 관점을 취해야 한다. 한민족의 다문화 체험은 이주와 귀화의 역사에 상응한다. 고대사회부터 타민족이 한민족 속으로 이주와 귀화하였고, 한민족이 타민족 속으로 이주하고 귀화하였는데, 이러한 이주와 귀화는 강제적으로, 또는 자발적으로 이루어졌다. 현재 한국사회는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와 국외에서의 다문화 체험을 연구하여 현재와 국내의 다문화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고, 구비문학 연구도 이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한 실천적 작업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서 고대 건국신화와 현대의 혼혈아이야기를 대표적인 사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군신화와 박혁거세신화에는 선주민 고아시아족과 이주민 알타이족이 다문화 사회를 형성한 사실이 투영되어 있고, 구어서사 혼혈아이야기에서는 ‘안정적 상황-문제적 상황과의 비교-문제적 상황-원인 탐색-해결 시도-성과와 개선’의 서사구조가 들어있음이 확인되었다. 다문화 시대는 이제 시작 단계이므로 구비문학의 학문적 대응은 대광맥을 찾은 셈이다. 그러나 국내외의 현지조사와 자료수집, 다른 학문과의 공동연구나 통합적 연구는 구비문학계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지난한 과제들이다. 이 글은 이러한 연구의 방향과 방법에 대한 원론적인 해명에 구체적 사례연구를 첨부한 시론으로서 연구사적 의의를 지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ulti-culture is defined as the situation in which a multitude of tribes, nations and races form a state. The multi-culturalism is the ideology that the people aim for the society in which a multitude of cultures exist together with the identity a...
The multi-culture is defined as the situation in which a multitude of tribes, nations and races form a state. The multi-culturalism is the ideology that the people aim for the society in which a multitude of cultures exist together with the identity and the equal relation. The Korean race had experience of the multi-culture in the history of the migration and the naturalization. Now Korean society has penetrated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We must cope with the multi-cultural society by the study of the oral literature. I analyzed the ancient myths and the present oral narratives with this critical mind experimentally.
참고문헌 (Reference)
1 마르코 마르티니엘로,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다르게·평등하게 살기-" 한울 1-164, 2007
2 이강옥, "한국야담연구" 돌베개 1-635, 2006
3 변태섭, "한국사통론" 삼영사 1-552, 1986
4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544, 1985
5 김정배, "한국민족문화의 기원" 고려대학교출판부 1-285, 1984
6 유동식,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연세대학교출판부 1-380, 1978
7 이은봉, "한국고대종교사상" 집문당 1-350, 1984
8 박진태, "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 박이정 1-463, 2002
9 한건수, "비판적 다문화주의, (다문화사회의 이해)" 동녘 135-165, 2008
10 황패강, "박혁거세신화론고, 『한국민속연구논문선』(Ⅱ)" 일조각 198-232, 1982
1 마르코 마르티니엘로, "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다르게·평등하게 살기-" 한울 1-164, 2007
2 이강옥, "한국야담연구" 돌베개 1-635, 2006
3 변태섭, "한국사통론" 삼영사 1-552, 1986
4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544, 1985
5 김정배, "한국민족문화의 기원" 고려대학교출판부 1-285, 1984
6 유동식,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연세대학교출판부 1-380, 1978
7 이은봉, "한국고대종교사상" 집문당 1-350, 1984
8 박진태, "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 박이정 1-463, 2002
9 한건수, "비판적 다문화주의, (다문화사회의 이해)" 동녘 135-165, 2008
10 황패강, "박혁거세신화론고, 『한국민속연구논문선』(Ⅱ)" 일조각 198-232, 1982
11 최순우, "도설한국미술오천년" 현암사 1-360, 1978
12 강정원, "다문화시대의 구비문학연구" 한국구비문학회 26 : 157-184, 2008
13 한경구, "다문화 사회란 무엇인가?, 『다문화사회의 이해』" 동녘 86-134, 2008
14 이태주, "국경을 넘어 세계로 나간 한국인들의 다문화 경험, 『다문화사회의 이해』" 동녘 166-192, 2008
15 최원오, "구비문학과 다문화주의(多文化主義)" 한국구비문학회 26 (26): 1-27, 2008
16 장덕순,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1-310, 1971
17 유 엔 부찐, "고조선 역사고고학적 개요" 소나무 1-413, 1990
18 서덕희, "4학년 7반 한성현을 만나다, 『다문화사회의 이해-다문화교육의 현실과 전망』" 동녘 12-51, 2008
임석재의 <관북지방무가>에 나타난 무속신화의 특징과 의의
한국의 다문화 형성과 이주민의 음악문화 ― 다국적 이주민의 문화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4 | 1.574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