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급 작가 보유 여부에 따른 드라마 기획 방식의 차이: 작가주도형 기획 체계와 프로듀서 주도형 기획 체계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4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드라마 기획
      • 3. A급 작가의 이동
      • 4.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 5. 연구결과
      • 1. 서론
      • 2. 드라마 기획
      • 3. A급 작가의 이동
      • 4.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 5. 연구결과
      • 6.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석진, "한국 텔레비전 장르드라마 연구" 인문학연구소 (18) : 163-188, 2017

      2 김유정, "플랫폼 시대의 방송콘텐츠 진흥, 방향성과 제도에 대한 고찰: 드라마 제작시장을 중심으로" (421) : 27-52, 2020

      3 이남기, "텔레비전을 만드는 사람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4 박상완, "텔레비전드라마의 기획과 구현 전략: 2010년대 초반 미니시리즈를 대상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5

      5 천혜선, "콘텐츠 산업 선순환 구조 정립 방안. 한국방송학회 기획세미나 자료집" 2020

      6 박노현, "케이블 채널 오리지널 드라마연구를 위한 試論 -OCN/tvN/JTBC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51) : 495-534, 2018

      7 김영현, "최완규 “해외 겨냥 첫 드라마 ‘히든’ 집필”"

      8 이문행,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한국 드라마의 특성 -인터넷 게시판에 나타난 시청의견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67-175, 2011

      9 장기오, "장기오의 텔레비전드라마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0 이정훈, "외주제작정책 도입 이후 지상파 드라마 제작 시스템의 변화" 한국방송공사 20 (20): 31-58, 2008

      1 윤석진, "한국 텔레비전 장르드라마 연구" 인문학연구소 (18) : 163-188, 2017

      2 김유정, "플랫폼 시대의 방송콘텐츠 진흥, 방향성과 제도에 대한 고찰: 드라마 제작시장을 중심으로" (421) : 27-52, 2020

      3 이남기, "텔레비전을 만드는 사람들"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4 박상완, "텔레비전드라마의 기획과 구현 전략: 2010년대 초반 미니시리즈를 대상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5

      5 천혜선, "콘텐츠 산업 선순환 구조 정립 방안. 한국방송학회 기획세미나 자료집" 2020

      6 박노현, "케이블 채널 오리지널 드라마연구를 위한 試論 -OCN/tvN/JTBC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51) : 495-534, 2018

      7 김영현, "최완규 “해외 겨냥 첫 드라마 ‘히든’ 집필”"

      8 이문행,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한국 드라마의 특성 -인터넷 게시판에 나타난 시청의견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67-175, 2011

      9 장기오, "장기오의 텔레비전드라마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0 이정훈, "외주제작정책 도입 이후 지상파 드라마 제작 시스템의 변화" 한국방송공사 20 (20): 31-58, 2008

      11 김미숙, "심층인터뷰와 질적인 분석으로 조명한 텔레비전 드라마작가들의 정체성과 노동의 단면들: 보람과 희열 그리고 불안감이 엮어내는 동학"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1 (21): 5-63, 2013

      12 정준희, "신규 복합 미디어 기업의 부상과 제작자 엑서더스: 종합편성채널 승인 이후 방송제작 부문의 창의성 재배치 동학" 한국언론정보학회 66 (66): 28-58, 2014

      13 노동렬, "수직적으로 해체된 드라마 시장에서의 전략적 생산요소 결합방식에 관한 연구" (주)에스비에스 6 (6): 7-50, 2008

      14 노동열, "사전제작 드라마의 성과와 장르 다양성" 한국콘텐츠학회 18 (18): 64-73, 2018

      15 노동열, "방송 드라마제작산업의 인센티브 딜레마 구조" 한국방송학회 16 (16): 35-79, 2015

      16 박상완, "문화산업으로서 TV드라마 연구를 위한 텍스트 선정에 관한 소론: 201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8 (18): 251-276, 2014

      17 박소라,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생산, 유통, 소비과정에 관한 모형"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4

      18 공우정, "드라마의 방영기간이 스타배우 기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302-308, 2020

      19 유세경, "드라마 시청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외주 제작 드라마의 생산 요소들을 중심으로" (주)에스비에스 8 (8): 7-48, 2010

      20 유재혁, "드라마 시장에 ‘기획 프로듀서’ 전성시대… 몸값도 천정부지"

      21 허명회, "데이터 과학: 입문과 토픽" 자유아카데미. 2018

      22 김순영, "노동과정과 노동조건을 통해 본 방송 작가의 노동자성 : 지상파 방송국 구성작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175-212, 2007

      23 강명현, "국내 드라마의 속성에 따른 방영기간의 차이 연구"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6 (16): 3-30, 2012

      24 백은하, "‘미드’식 작가시스템 한드에서도 통할까"

      25 채널 CJ, "[인터뷰] 우수 인재 확보와 선진 시스템이 가져온 드라마의 변화!스튜디오 드래곤 유상원 CP"

      26 이화진, "TV드라마 시청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내용변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492-535, 2007

      27 김미숙, "TV 드라마 작가 연구 : 드라마 생산 과정에서 겪는 타 생산자들과의 갈등과 타협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0 (30): 41-82, 2016

      28 김일중, "OTT 플랫폼의 한국 드라마 서비스 확대와 드라마 제작사의 전략 변화: 동적역량관점(Dynamic Capabilities View)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59) : 155-194, 2020

      29 "Grey’s Anatomy"

      30 Park, J, "Do Webtoon-based TV dramas represent transmedia storytelling?: Industrial factors leading to webtoon-based TV dramas" 13 : 2179-2198, 2019

      31 Caves, R. E, "Creative industries: Contracts between art and commerc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32 "CSI (2000-2015). Crime Scene Investigation"

      33 김일중, "CJ ENM 드라마사업의 경쟁우위 전략 분석: 자원준거관점(RBV, resource-based view)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학회 (55) : 167-197, 2019

      34 김유진, "CJ E&M, 자회사 스튜디오 드래곤의 KPJ 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
      2005-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Broadcasting Studies ->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68 1.972 0.7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