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소 지름 신장 트리를 구하는 근사 알고리즘 = Approximation Algorithms for a Minimum-Diameter Spanning Tre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438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t P be a set of points in the plane. A minimum spanning tree(MST) is a spanning tree connecting n points of P such that the sum of lengths of edges of the tree is minimized. A diameter of a tree is the maximum length of paths connecting two points of a spanning tree of P. The problem considered in this paper is to compute the spanning tree whose diameter is minimized over all spanning trees of P. We call such tree a minimum-diameter spanning tree(MDST). The best known previous algorithm[3] finds MDST in O(n3) time. In this paper, we suggest an approximation algorithm to compute a spanning tree whose diameter is no more than 5/4 times that of MDST, running in O(n2 log2n) time. This is the first approximation algorithm on the MDST problem.
      번역하기

      Let P be a set of points in the plane. A minimum spanning tree(MST) is a spanning tree connecting n points of P such that the sum of lengths of edges of the tree is minimized. A diameter of a tree is the maximum length of paths connecting two points...

      Let P be a set of points in the plane. A minimum spanning tree(MST) is a spanning tree connecting n points of P such that the sum of lengths of edges of the tree is minimized. A diameter of a tree is the maximum length of paths connecting two points of a spanning tree of P. The problem considered in this paper is to compute the spanning tree whose diameter is minimized over all spanning trees of P. We call such tree a minimum-diameter spanning tree(MDST). The best known previous algorithm[3] finds MDST in O(n3) time. In this paper, we suggest an approximation algorithm to compute a spanning tree whose diameter is no more than 5/4 times that of MDST, running in O(n2 log2n) time. This is the first approximation algorithm on the MDST probl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차원 평면에 주어진 n개의 점 집합 에 대한, 최소 신장 트리(minimum spanning tree, MST)는 P의 점들을 연결한 신장 트리 중에서 에지 길이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트리로 정의된다. P에 대한 신장 트리의 지름(diameter)은 트리의 두 점을 연결한 트리 경로 중에서 최장 경로의 길이로 정의되며, 최소 지름 신장 트리(minimum-diameter spanning tree, MDST)는
      P에 대한 신장 트리 중에서 지름이 가장 작은 트리를 의미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좋은 알고리즘[3]은 MDST를 O(n3) 시간에 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MDST의 지름보다 최대 5/4배 이내의 지름을 보장하는 신장 트리를 구하는 O(n2 log2n) 시간 근사 알고리즘(approximation algorithm)을 제시한다. 이것은 MDST 문제에 관한 첫 번째 근사 알고리즘이다.
      번역하기

      이차원 평면에 주어진 n개의 점 집합 에 대한, 최소 신장 트리(minimum spanning tree, MST)는 P의 점들을 연결한 신장 트리 중에서 에지 길이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트리로 정의된다. P에 대한 신장 ...

      이차원 평면에 주어진 n개의 점 집합 에 대한, 최소 신장 트리(minimum spanning tree, MST)는 P의 점들을 연결한 신장 트리 중에서 에지 길이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트리로 정의된다. P에 대한 신장 트리의 지름(diameter)은 트리의 두 점을 연결한 트리 경로 중에서 최장 경로의 길이로 정의되며, 최소 지름 신장 트리(minimum-diameter spanning tree, MDST)는
      P에 대한 신장 트리 중에서 지름이 가장 작은 트리를 의미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좋은 알고리즘[3]은 MDST를 O(n3) 시간에 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MDST의 지름보다 최대 5/4배 이내의 지름을 보장하는 신장 트리를 구하는 O(n2 log2n) 시간 근사 알고리즘(approximation algorithm)을 제시한다. 이것은 MDST 문제에 관한 첫 번째 근사 알고리즘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4-09-01 평가 학술지 통합(기타)
      2013-04-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br>외국어명 : Journal of KIISE : Computer Systems and Theor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br>외국어명 : Journal of KISS : Computer Systems and Theory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