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환자의 자기 이해와 내러티브적 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10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한 연구 및 내러티브 윤리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내러티브의 활용은 특히 환자의 자율성 존중이라는 생명윤리의 중요한 ...

      오늘날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내러티브를 활용한 연구 및 내러티브 윤리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내러티브의 활용은 특히 환자의 자율성 존중이라는 생명윤리의 중요한 원칙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왜냐하면 환자의 어떤 결정이 정말로 자율적인 결정이며 환자의 진정한 욕구를 반영하는 결정인지 분별해내기 쉽지 않은 상황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질병과 관련된 자신의 경험에 대한 환자의 내러티브를 분석함으로써 환자의 자기 이해에 대한 단서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면, 그것이 의료진이나 환자의 가족으로 하여금 의료상의 중요한 선택들과 관련하여 환자의 자율적 뜻을 보다 잘 고려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타당할 것이다. 그러나 내러티브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내러티브가 신뢰할 만한 것인지에 대한 고찰이다. 내러티브가 본성상 선택적이고 해석적이라는 사실이 내러티브의 오류 가능성으로 쉽게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고찰 없이 내러티브의 가치나 활용도를 이야기하는 것은 무의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내러티브의 신뢰성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지만,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의 국가에서는 그러한 연구가 내러티브적 참개념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은 이와 관련된 논의들 및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내러티브의 오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생명의료윤리의 맥락에서 환자의 내러티브에 주목해야 할 이유를 밝히고, 그러한 내러티브가 우리에게 환자에 대한 어떤 종류의 이해를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es on narratives in bioethics recently, including the ones that explore the possibility of bioethics education through narratives, the ones that discuss narrative as a medium of virtue in medicine, and t...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es on narratives in bioethics recently, including the ones that explore the possibility of bioethics education through narratives, the ones that discuss narrative as a medium of virtue in medicine, and the attempts to acquire better understanding of patients by means of narrative analysis. Narratives can be especially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respect for autonomy, because they can provide some clues to the patient’s self-understanding when it is difficult to discern which decisions (or acts) are truly autonomous, and accordingly, which is to be respected. Considering the truth and accuracy issue inherent in narratives that are in nature selective and interpretive, the defense for the reliability, value, and truth of narratives are much needed. This article responds to that need by providing a careful examination of the discourse regarding self-understanding and narrative tru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내러티브적 자기 이해와 오류 가능성의 문제
      • Ⅲ. 내러티브에 대한 변호
      • Ⅳ. 내러티브적 참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내러티브적 자기 이해와 오류 가능성의 문제
      • Ⅲ. 내러티브에 대한 변호
      • Ⅳ. 내러티브적 참
      • Ⅴ. 내러티브의 활용을 위해 남아있는 과제
      • Ⅵ. 결론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복규, "임종기 진료결정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의료윤리학회 14 (14): 157-170, 2011

      2 김진경, "의료에서 덕과 실천의 매개로서 서사(narrative)" 한국의료윤리학회 14 (14): 1-11, 2011

      3 김대군, "생명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 활용" 한국윤리교육학회 (27) : 31-57, 2012

      4 신인주, "병원중심가정간호를 받는 만성질환 노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가정간호학회 18 (18): 20-31, 2011

      5 우미경,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심폐소생술금지 (DNR) 환자 간호경험" 성인간호학회 25 (25): 322-331, 2013

      6 조선우, "내러티브 예술작품과 도덕성에 대한 고찰" 한국미학회 (78) : 279-314, 2014

      7 Schechtman M., "the Constitution of Selves" Cornell University Press 126-128, 1996

      8 Schechtman M., "he Constitution of Selves"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9 Fitzpatrick SJ., "The Telling Moment: Narrative as a Discursive Act" 3 (3): 80-81, 2012

      10 Hardcastle VG., "The Pragmatics of Science, Self, and Explanation" 3 (3): 79-80, 2012

      1 권복규, "임종기 진료결정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의료윤리학회 14 (14): 157-170, 2011

      2 김진경, "의료에서 덕과 실천의 매개로서 서사(narrative)" 한국의료윤리학회 14 (14): 1-11, 2011

      3 김대군, "생명윤리교육에서 내러티브 활용" 한국윤리교육학회 (27) : 31-57, 2012

      4 신인주, "병원중심가정간호를 받는 만성질환 노인의 삶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가정간호학회 18 (18): 20-31, 2011

      5 우미경,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심폐소생술금지 (DNR) 환자 간호경험" 성인간호학회 25 (25): 322-331, 2013

      6 조선우, "내러티브 예술작품과 도덕성에 대한 고찰" 한국미학회 (78) : 279-314, 2014

      7 Schechtman M., "the Constitution of Selves" Cornell University Press 126-128, 1996

      8 Schechtman M., "he Constitution of Selves"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9 Fitzpatrick SJ., "The Telling Moment: Narrative as a Discursive Act" 3 (3): 80-81, 2012

      10 Hardcastle VG., "The Pragmatics of Science, Self, and Explanation" 3 (3): 79-80, 2012

      11 Gazzaniga M., "The Mind’s Pas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6-77, 1998

      12 Sacks O.,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Simon & Schuster 1970

      13 Schechtman M., "The Constitution of Selves"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14 Richard White, "Remembering Ahanagran: Storytelling in a Family’s Past" Hill and Wang 1998

      15 Walker MJ., "Neuroscience, Self-Understanding, and Narrative Truth" 3 (3): 2012

      16 Walker MJ., "Neuroscience, Self-Understanding, and Narrative Truth" 3 (3): 65-, 2012

      17 Kalis A., "Narrative Truth and Cases of Delusion" 3 (3): 88-, 2012

      18 Thompson JR., "Narrative Fictions" 3 (3): 84-85, 2012

      19 Velleman JD., "Narrative Explanation" 112 (112): 1-25, 2003

      20 McConnell D., "Narrating Truths Worth Living: Addiction Narratives" 3 (3): 78-, 2012

      21 Richoeur P., "Narrated Time" 29 (29): 259-272, 1985

      22 Rich BA., "My Story, My self: The Pathologizing of Personal Identity" 3 (3): 2012

      23 Schechtman M., "Making the Truth: Self-Understanding, Self-Constitution, Neuroscience, and Narrative" 3 (3): 75-76, 2012

      24 Matthews S., "Lying, Narrative, and Truth Shareability" 3 (3): 2012

      25 Bedwell JS., "Linguistic correlates of Self in Deceptive Oral Autobiographical Narratives" 20 (20): 2011

      26 Johansson P., "How Something Can Be Said About Telling More Than We Can Know: On Choice Blindness and Introspection" 15 : 673-692, 2006

      27 Nelson HL., "Damaged Identities, Narrative Repair"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

      28 Daniel D., "Consciousness Explained" Penguin 1991

      29 Strawson G., "Against Narrativity" 17 (17): 440-,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6 2.112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