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회의원선거에서의 체계적 예측 편향을 고려한 주요 정당 의석수 예측 = Prediction of Major Political Parties’ Number of Seats in General Election Using Systematic Bias Corr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09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method of predicting the political parties’ number of seats in general election using the result of exit poll. Exit poll has been used from the 2012 general election in all districts and appropriate statistical treatments for handling nonresponse and pre-election were also applied to predict the political parties’ number of seats. In spite of such an effort, systematic bias were appeared in 2012 and 2016 general elections. We investigate the systematic bias appeared in 2012 and 2016 exit polls and suggest the improved prediction method based on Bayes inference. We compared the existing prediction method to suggested one by applying methods to 2012 and 2016 exit polls and show that suggested method performs better in predicting the political parties’ number of seats.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method of predicting the political parties’ number of seats in general election using the result of exit poll. Exit poll has been used from the 2012 general election in all districts and appropriate statistical treatments for hand...

      In this study, the method of predicting the political parties’ number of seats in general election using the result of exit poll. Exit poll has been used from the 2012 general election in all districts and appropriate statistical treatments for handling nonresponse and pre-election were also applied to predict the political parties’ number of seats. In spite of such an effort, systematic bias were appeared in 2012 and 2016 general elections. We investigate the systematic bias appeared in 2012 and 2016 exit polls and suggest the improved prediction method based on Bayes inference. We compared the existing prediction method to suggested one by applying methods to 2012 and 2016 exit polls and show that suggested method performs better in predicting the political parties’ number of sea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회의원선거 시 수행되는 출구조사 결과를 이용한 주요 정당의 의석수 예측방안을 고려하였다. 2012년 19대 국회의원선거부터 전 지역구에서 출구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조사과정에서 발생하는 무응답과 사전 선거를 반영한 추정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예측 의석수의 체계적 편향을 18, 19 그리고 20대 국회의원선거 및 출구조사 결과를 통해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베이즈 추론 기반 의석수 예측방안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의석수 예측방안을 2012년과 2016년 출구조사 결과에 적용하여 기존 방안과 비교하였고, 그 결과 이전 국회의원선거 및 출구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체계적 편향을 조정하는 방안이 주요 정당의 의석수를 더 정확하게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국회의원선거 시 수행되는 출구조사 결과를 이용한 주요 정당의 의석수 예측방안을 고려하였다. 2012년 19대 국회의원선거부터 전 지역구에서 출구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조사...

      본 연구에서는 국회의원선거 시 수행되는 출구조사 결과를 이용한 주요 정당의 의석수 예측방안을 고려하였다. 2012년 19대 국회의원선거부터 전 지역구에서 출구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조사과정에서 발생하는 무응답과 사전 선거를 반영한 추정이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예측 의석수의 체계적 편향을 18, 19 그리고 20대 국회의원선거 및 출구조사 결과를 통해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베이즈 추론 기반 의석수 예측방안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의석수 예측방안을 2012년과 2016년 출구조사 결과에 적용하여 기존 방안과 비교하였고, 그 결과 이전 국회의원선거 및 출구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체계적 편향을 조정하는 방안이 주요 정당의 의석수를 더 정확하게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원, "출구조사의 체계적인 예측 편향에 대한 분석: 2010년 지방선거 출구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2 (12): 25-48, 2011

      2 이준웅, "제17대 총선 예측조사의 문제: 조사 거절자와 응답불성실자 편향을 중심으로" 41 (41): 110-136, 2004

      3 윤상영, "무응답 오차를 고려한 선거여론조사 개선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18

      4 서혜선, "당선자 수에 관한 구간 예측: 4/11 총선을 중심으로" 1 : 57-68, 1997

      5 허명회,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주요정당 의석 수 예측" 한국조사연구학회 9 (9): 87-100, 2008

      6 Noelle-Neuman, E., "The Spiral of Silence: A Theory of Public Opinion" 7 : 483-505, 1974

      7 Rubin, D. B., "Multiple Imputation for Nonresponse in Surveys" Wiley 1987

      8 이수빈, "2016년 국회의원선거 출구조사 오차 분석" 한국조사연구학회 18 (18): 149-168, 2017

      9 곽은선, "2012년 총선 출구조사 예측오차 분석" 한국조사연구학회 14 (14): 1-17, 2013

      10 김영원, "2008 총선 출구조사의 총조사오차 분석" 한국조사연구학회 11 (11): 33-55, 2010

      1 김영원, "출구조사의 체계적인 예측 편향에 대한 분석: 2010년 지방선거 출구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2 (12): 25-48, 2011

      2 이준웅, "제17대 총선 예측조사의 문제: 조사 거절자와 응답불성실자 편향을 중심으로" 41 (41): 110-136, 2004

      3 윤상영, "무응답 오차를 고려한 선거여론조사 개선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18

      4 서혜선, "당선자 수에 관한 구간 예측: 4/11 총선을 중심으로" 1 : 57-68, 1997

      5 허명회,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주요정당 의석 수 예측" 한국조사연구학회 9 (9): 87-100, 2008

      6 Noelle-Neuman, E., "The Spiral of Silence: A Theory of Public Opinion" 7 : 483-505, 1974

      7 Rubin, D. B., "Multiple Imputation for Nonresponse in Surveys" Wiley 1987

      8 이수빈, "2016년 국회의원선거 출구조사 오차 분석" 한국조사연구학회 18 (18): 149-168, 2017

      9 곽은선, "2012년 총선 출구조사 예측오차 분석" 한국조사연구학회 14 (14): 1-17, 2013

      10 김영원, "2008 총선 출구조사의 총조사오차 분석" 한국조사연구학회 11 (11): 33-55,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73 1.04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