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충청도 주요 4개 도시 - 대전과 천안 그리고 청주와 충주 -를 중심으로 극장 문화의 지역성을 탐구하고 있다. 이는 극장이라는 공간을 둘러싸고 펼쳐지는 문화적 실천 양상의 개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4976
-
2015년
Korean
충청도 ; 영화 상영 ; Movie Theater ; Film Exhibition ; Korean War ; City ; Cinemagoing Experience ; Locality ; Audience-ship ; Chungcheong Province ; Networking ; Daejeon ; Cheonan ; Chungju ; Cheongju ; 극장가기 경험 ; 지역성 ; 대전 ; 천안 ; 청주 ; 충주 ; 미공보원 ; 문화원 ; 지역 엘리트 ; 도시 공간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충청도 주요 4개 도시 - 대전과 천안 그리고 청주와 충주 -를 중심으로 극장 문화의 지역성을 탐구하고 있다. 이는 극장이라는 공간을 둘러싸고 펼쳐지는 문화적 실천 양상의 개별...
본 연구는 충청도 주요 4개 도시 - 대전과 천안 그리고 청주와 충주 -를 중심으로 극장 문화의 지역성을 탐구하고 있다. 이는 극장이라는 공간을 둘러싸고 펼쳐지는 문화적 실천 양상의 개별성을 규명하여 시기와 지역에 따라 영화가 사회에 개입하는 방식을 살피고 있다. 한국전쟁이후 도시 공간 성격 변화와 영화 상영이 증가한 점에 주목하여 극장문화의 지역성을 살핀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후부터 1970년대까지 대전과 천안 그리고 청주와 충주의 극장 생성과 발전을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따른 도시 공간 성격 변화의 연관성에서 살폈다. 둘째, 지역 극장문화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극장 설립과 운영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문화 엘리트(culture elites) - 극장 관주(館主), 문화원 관계자, 지역 청년단체 대표 등 -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극장의 장소성을 규명하기 위해, 도시별 극장 프로그램(program) 구성과 필름 배급 방식 그리고 지역민/관객의 ‘극장가기 경험(cinema-going experience)’을 조사하였다.
지역 극장 공간을 둘러싼 문화 생산과 실천 역학을 다룬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전쟁은 충청도 도시 간 극장문화의 성격 변동을 초래한 강력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청주가 극장문화의 배경(背景)으로 물러나고 대전이 그것의 전면(全面)으로 부상하였다. 한국전쟁이후 군인도시로 등장한 대전은 냉전의 지배질서 구축에 영화에 동원되는 과정에서 군인극장 설립 등 독특한 극장 문화를 형성하였다. 둘째, 전후 충청 주요 도시는 극장을 중심으로 영화를 비롯한 대중문화가 형성되거나 더욱 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생활세계 중심으로서 극장의 장소성(場所性)은 교통수단(기차역, 버스터미널 등)은 물론 상설시장과 같은 편의시설 그리고 다방, 주점, 유곽 등 오락시설을 통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1960년대 초반 ‘지방’ 도시 지역 엘리트에게 극장은 세계 인식과 학습의 대안적 통로이자 미국에 대한 양가적 태도를 확인시키는 매개로 기능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examines the movie theaters in the locality of cultural landscape during the post-Korean War era focusing on the major cities in the Chungcheong Provi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ocality of the cultural practices surrounding foundation ...
The study examines the movie theaters in the locality of cultural landscape during the post-Korean War era focusing on the major cities in the Chungcheong Provi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ocality of the cultural practices surrounding foundation of movie theaters and the film exhibition, this work deals with the backdrop of the advent of the movie theaters in the Chungcheong Province focusing on the major cities whose characteristics were intensively shaped by the experience of the Korean War.
Considering that the narration of the historical experiences in the major cities in the Chungcheong Province could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hole country, this work endeavors to declare the historicity of the discourse on foundation of movie theaters and the film exhibition practices, which was interlinked with the social changes of the cities followed by the Korean War. Part of the study includes an analysis based on written documents published by a film studies organization, oral testimonies from people involved in the movie theaters in the major cities, and the Daejeon daily newspapers.
In response to the effort, this work brings about several tentative conclusions. First, the number of movie theaters in the city of Daejeon had been increased since the mid-1950s and thus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