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장애평가 기준과 장애인거주시설서비스 욕구 = Needs for residential care services related to the disability evaluation criter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2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eds and their filling up ratios of disabled people on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related to the severity of their disabilities. In this study, residential care services include respite care services,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eeds and their filling up ratios of disabled people on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related to the severity of their disabilities. In this study, residential care services include respite care services, small group homes and long-stay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national survey data which produced by the prior national survey for estimating needed amounts of national social service provisions.
      This study found out thre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needs of disabled people. The first is that the severer group of disabled people revealed the higher ratio of the needs on the services of respite care homes. small group homes and long-stay institutions. The second is that the filling up ratios of residential care service needs showed significantly low. The third is that the severer group of disabled people who have needs on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showed the lower filling up ratios.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government policy on residential care services for disabled people should consider setting up public assessment systems on the needs for residential care services, inter-related provision schemes among respite care homes, small group homes and large institutions and transitional services for the residential service users being preferred to live independently with community support serv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서비스에 대한 장애인의 욕구와 욕구의 미충족 정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장애인거주시설은 원래의 가정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가정을 대신할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서비스에 대한 장애인의 욕구와 욕구의 미충족 정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장애인거주시설은 원래의 가정에서 생활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가정을 대신할 수 있는 생활 장소를 제공하고, 개인의 욕구에 기초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시설로서, 우리나라 시설유형 중에서는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생활시설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생활기능을 평가하는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장애정도에 따른 거주시설서비스 욕구와 미충족 정도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거주시설서비스 수요 파악을 위한 합리적 기준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욕구에 기반한 서비스 공급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단일 장애평가 기준과 복합적 평가 기준 모두에서 거주시설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비율은 장애정도가 중증인 장애인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런 경향은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생활시설에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정부의 거주시설서비스 정책은 세 가지 과제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중증장애인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서비스 이용자격 기준을 보다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가정, 생활시설의 상호연계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통합적인 거주시설서비스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셋째, 현재 거주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 중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을 통해 자립생활이 가능한 장애인에 대한 이주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장원,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IADL)의 특징" 6 (6): 1-10, 2002

      2 박은주, "정신장애인의 주거시설서비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2001

      3 정경희,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4 변용찬, "장애인복지인프라 개선방안 연구(Ⅰ)" 보건복지가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5 보건복지가족부, "장애인복지사업안내" 2009

      6 보건복지가족부, "장애인복지(거주)시설 사업안내" 2010

      7 김용득, "장애인거주시설서비스 체계 개편의 쟁점과 과제" MetLife 아동복지재단 2008

      8 김용득, "장애인거주시설 서비스 기능과 구조의 혁신 방안" 보건복지부·성공회대학교사회복지연구소 2007

      9 변용찬, "장애관련 공적제도의 장애판정기준과 급여수준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국민연금관리공단 2006

      10 김용득, "이용자 선택 강화를 위한 장애인 거주서비스 체계 개편 방안" 한국장애인복지학회 (6) : 55-83, 2007

      1 원장원,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IADL)의 특징" 6 (6): 1-10, 2002

      2 박은주, "정신장애인의 주거시설서비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2001

      3 정경희,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4 변용찬, "장애인복지인프라 개선방안 연구(Ⅰ)" 보건복지가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5 보건복지가족부, "장애인복지사업안내" 2009

      6 보건복지가족부, "장애인복지(거주)시설 사업안내" 2010

      7 김용득, "장애인거주시설서비스 체계 개편의 쟁점과 과제" MetLife 아동복지재단 2008

      8 김용득, "장애인거주시설 서비스 기능과 구조의 혁신 방안" 보건복지부·성공회대학교사회복지연구소 2007

      9 변용찬, "장애관련 공적제도의 장애판정기준과 급여수준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국민연금관리공단 2006

      10 김용득, "이용자 선택 강화를 위한 장애인 거주서비스 체계 개편 방안" 한국장애인복지학회 (6) : 55-83, 2007

      11 이봉주, "사회서비스 수요 및 공급실태 정밀조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12 최영욱, "사회복지시설론" 범론사 1993

      13 최진, "근로능력에 따른 중증장애인 판정기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14 McDonnell, J., "Transi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moderate/severe disabilities" Cole Publishing Company 1996

      15 Baker, D. B., "Severely handicapped: toward an inclusive definition" 4 (4): 52-65, 1979

      16 Sailor, W., "Severely handicapped students: an instructional design" Houghton Mifflin 1983

      17 National Institute for Social Work, "Residential care: a positive choice" HMSO 1988

      18 Jorg, F., "Objectivity in needs assessment practice: admission to a residential home" 10 (10): 445-456, 2002

      19 Parrott, R., "Future demand for residential provision for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Hester Adrian Research Center 1997

      20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Disability, Aging and Careers" 1998

      21 Keefe, E., "Academic and social outcomes for students with moderate to profound disabilities in integrated settings" 1994

      22 박상하, "ADL과 IADL를 통한 노인생활실태 비교연구" 19 : 199-223,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06 1.23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