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의 생리활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594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을 성인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phenol 함량은 열수추출물이 23.64±0.35 ㎎/g이었으며, 60% 알콜추출물은 24.98±0.20㎎/g으로 60% 알콜추출물의 phenol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캐모마일의 HPLC 분석 결과 생리활성 효과가 높은 rosemarinic acid, quercetin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보아 생리활성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각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DPPH가 열수추출물과 60% 알콜추출물이 각각 91.05%와 95.49%로 높게 나타났고,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는 열수추출물이 0.71±0.02로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력은 낮았으나, 60% 알콜추출물은 1.48±0.03으로 높은 PF를 나타내어 열수추출물보다는 60% 알콜추출물이 지용성에 대한 항산화력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elicobater pylori에 대한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열추추출물의 경우 clear zone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60% 알콜추출물의 경우 200 ㎍/mL의 농도일 때 9.42 ㎜의 clear zone이 관찰되어 60% 알콜추출물에서만 낮은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CE 저해효과는 열수추출물이 87.98%, 60% 알콜추출물이 91.36%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높은 고혈압 효과를 나타내었다. XOase에 대한 억제효과는 열수추출물이 73.48%, 60% 알콜추출물이 81.96%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XOase에 대한 높은 저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캐모마일의 60% 알콜추출물이 항산화제, 고혈압 및 항관절염 소재로의 개발이 기대되어었다.
      번역하기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을 성인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phenol 함량은 열수추출물이 23.64±0.35 ㎎/g이었으며,...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을 성인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phenol 함량은 열수추출물이 23.64±0.35 ㎎/g이었으며, 60% 알콜추출물은 24.98±0.20㎎/g으로 60% 알콜추출물의 phenol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캐모마일의 HPLC 분석 결과 생리활성 효과가 높은 rosemarinic acid, quercetin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보아 생리활성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각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DPPH가 열수추출물과 60% 알콜추출물이 각각 91.05%와 95.49%로 높게 나타났고,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는 열수추출물이 0.71±0.02로 지용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력은 낮았으나, 60% 알콜추출물은 1.48±0.03으로 높은 PF를 나타내어 열수추출물보다는 60% 알콜추출물이 지용성에 대한 항산화력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elicobater pylori에 대한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열추추출물의 경우 clear zone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60% 알콜추출물의 경우 200 ㎍/mL의 농도일 때 9.42 ㎜의 clear zone이 관찰되어 60% 알콜추출물에서만 낮은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CE 저해효과는 열수추출물이 87.98%, 60% 알콜추출물이 91.36%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높은 고혈압 효과를 나타내었다. XOase에 대한 억제효과는 열수추출물이 73.48%, 60% 알콜추출물이 81.96%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XOase에 대한 높은 저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캐모마일의 60% 알콜추출물이 항산화제, 고혈압 및 항관절염 소재로의 개발이 기대되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iological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Chamomaile for functional food source were examined. Total phenol contents in the 60% ethanol extracts (24.98±0.20 ㎎/g) from Chamomaile leaf was higher than those of water extracts (23.64±0.35 ㎎/g). The major phenolic compound by HPLC were rosemarinic acid and quercetin. 60% ethanol extracts had higher content of these phenolics than water extacts. Electron donating ability showed 91.05% in the water extracts and 95.49% in the 60% ethanol extracts.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showed 0.71±0.02 in the water extracts and 1.48±0.03 in the 60% ethanol extracts. The water extracts of Chamomaile leaves did not hav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 pylori, but the 60% ethanol extracts revealed the slight antimicrobial activity as 9.42 mm of clear zon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was 57.98% in water extracts and 91.36% in 60% ethanol extracts. Xanthine oxidase activity was 73.48% in water extracts and 81.96% in 60% ethanol extracts. The results suggest that Chamomailes extract may be useful as potential source as antioxidant,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s.
      번역하기

      The biological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Chamomaile for functional food source were examined. Total phenol contents in the 60% ethanol extracts (24.98±0.20 ㎎/g) from Chamomaile leaf was higher than those of water extracts (23.64�...

      The biological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Chamomaile for functional food source were examined. Total phenol contents in the 60% ethanol extracts (24.98±0.20 ㎎/g) from Chamomaile leaf was higher than those of water extracts (23.64±0.35 ㎎/g). The major phenolic compound by HPLC were rosemarinic acid and quercetin. 60% ethanol extracts had higher content of these phenolics than water extacts. Electron donating ability showed 91.05% in the water extracts and 95.49% in the 60% ethanol extracts.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showed 0.71±0.02 in the water extracts and 1.48±0.03 in the 60% ethanol extracts. The water extracts of Chamomaile leaves did not hav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 pylori, but the 60% ethanol extracts revealed the slight antimicrobial activity as 9.42 mm of clear zon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was 57.98% in water extracts and 91.36% in 60% ethanol extracts. Xanthine oxidase activity was 73.48% in water extracts and 81.96% in 60% ethanol extracts. The results suggest that Chamomailes extract may be useful as potential source as antioxidant,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wease" 1998

      2 "The structure of carnosol" 29 : 2293-2297, 1964

      3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361-377, 2001

      4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244 : 3855-3858, 1969

      5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s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24 : 142-148, 1992

      6 "Progress in essential oil" 21 : 55-68, 1996

      7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12 : 239-249, 1912

      8 "In Recent advances in botany" Food Products Press 1 : -280,

      9 "Hypotensive principles of Diospyros kaki leaves" 27 : 2865-2868, 1979

      10 "Handbook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CRC Press -223, 1989

      1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wease" 1998

      2 "The structure of carnosol" 29 : 2293-2297, 1964

      3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361-377, 2001

      4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244 : 3855-3858, 1969

      5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s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24 : 142-148, 1992

      6 "Progress in essential oil" 21 : 55-68, 1996

      7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12 : 239-249, 1912

      8 "In Recent advances in botany" Food Products Press 1 : -280,

      9 "Hypotensive principles of Diospyros kaki leaves" 27 : 2865-2868, 1979

      10 "Handbook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CRC Press -223, 1989

      11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1007-342 1011, 1993

      12 "Detergent-amplified chemilum- inescence of lucigenin for determination of superoxide anion production by NADPH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169 : 262-267, 1988

      13 "Detergent-amplified chemilum- inescence of lucigenin for determination of superoxide anion production by NADPH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169 : 262-267, 1988

      14 "Design of potent competitive inhibitor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carboxylalka (carboxylalka): 5484-5492, 1977

      15 "Biosynthesis and medical applications of Rosmarinic acid" 8 : 161-181, 2001

      16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composition of pilot plant and commercial extracts of sage and rosemary" 73 : 645-652, 1998

      17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27 : 80-85, 1995

      1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26 : 1199-1200, 1958

      19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25 : 383-385, 1986

      20 "Antioxidant activity associated with lipid and phenolic mobilization during seed germination of Pangium edule Reinw" 47 : 3158-3163, 1999

      21 "Antimicrobial activity of phenolic constituents of Magnolia grandiflora L" 70 : 951-952, 1981

      22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nd the rela gulation of vasoactive peptides" 45 : 73-78, 1976

      23 "An inhibitors of the pulmonary inactivation of bradykinin and convertion of angiotensin Ⅰ to Ⅱ" 1557-1567, 1971

      24 "-epi-α-Bisabolol is the wound-healing principle of Peperomia galioides investigation of the in vivo wound-healing activity of related terpenoids" 1357-1359,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