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 구축과 공동활용 방안 = The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in the Foreign Count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58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three aspects of the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in the foreign countries:ⅰ) the processing of old documents, ⅱ)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DB systems of old documents, and ⅲ) the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NLK) copied old documents in the foreign countries from 1982 to 2006 and published the brief catalog. The Reogang Publishing company issued four volumes catalogs of old document in Japan.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NRICH) investigated old books and published some catalogs of several organizations in Japan, America, France, and al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NIKH) investigated old archives and published some catalogs of several organizations in Jap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ld and Rare Collection Information System(KORCIS) of the NLK, the Old Books Cultural Heritage in Overseas System of the NRICH, and the Korea History DB System and MF Catalog/ Image System of NIKH were described in the DB systems of old documents, the problems of DB systems were checked over and some alternatives were suggested. In the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KORMARC format and description rules(draft) for archives should be revised to adopt a new standard such as KS editions, and all the institutes involved should thoroughly follow the standards, when creating bibliographic records and digitizing texts.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train the specialists of old documents. A government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supervise all the procedures of developing technology for sharing digitized resources, using contents, and cooperating with the related internationl organiztions and institut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three aspects of the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in the foreign countries:ⅰ) the processing of old documents, ⅱ)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DB systems of old documents, and ⅲ...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three aspects of the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in the foreign countries:ⅰ) the processing of old documents, ⅱ)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DB systems of old documents, and ⅲ) the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NLK) copied old documents in the foreign countries from 1982 to 2006 and published the brief catalog. The Reogang Publishing company issued four volumes catalogs of old document in Japan.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NRICH) investigated old books and published some catalogs of several organizations in Japan, America, France, and all.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NIKH) investigated old archives and published some catalogs of several organizations in Jap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ld and Rare Collection Information System(KORCIS) of the NLK, the Old Books Cultural Heritage in Overseas System of the NRICH, and the Korea History DB System and MF Catalog/ Image System of NIKH were described in the DB systems of old documents, the problems of DB systems were checked over and some alternatives were suggested. In the common use of old document DB, KORMARC format and description rules(draft) for archives should be revised to adopt a new standard such as KS editions, and all the institutes involved should thoroughly follow the standards, when creating bibliographic records and digitizing texts. It is necessary to educate and train the specialists of old documents. A government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supervise all the procedures of developing technology for sharing digitized resources, using contents, and cooperating with the related internationl organiztions and institut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구축과 공동활용 방안을 다루기 위해 해외 소장 고문헌의 정리, 해외 소장 고문헌 DB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해외 소장 고문헌의 공동활용 방안을 다룬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해외 소장의 고문헌을 정리하기 시작한 것은 국립중앙도서관이 1982년부터 해외기관에 소장된 고문헌을 영인하여 간략목록으로 발행하는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려강출판사가 일본소재 한국고문헌목록 1-4를 발간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일본, 미국, 프랑스 등의 해외기관에 소장된 고문헌을 조사하여 일부의 목록집을 발행하였고, 국사편찬위원회는 일본소재 고문서 목록을 조사하고 그중 가치 있는 것을 선별하여 목록으로 간행하였다.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 시스템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국립문화재연구소의 해외소장한국전적문화재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및 MF목록/원문서비스시스템의 특성이 기술되었고, 각 DB상의 문제점이 파악되었으며 그에 대한 몇 가지 대안도 제시되었다. 공동활용 방안에 있어서는 고문서 정리를 위한 목록 형식 및 기술(시안)은 새로운 표준안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수정되어야 하고, 관련 기간들은 서지기록을 작성하거나 원문 텍스트를 디지타이징할 때 표준을 준수해야 한다. 고문헌의 DB 구축과 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의 양성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긍극적으로는 디지털화된 자원의 공유를 위한 기술개발, 고문헌 컨텐츠의 이용과 개선, 공공의 이용과 참여, 국제적이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전담기구가 설립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구축과 공동활용 방안을 다루기 위해 해외 소장 고문헌의 정리, 해외 소장 고문헌 DB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해외 소장 고문헌의 공동활용 방안을 다...

      본 연구는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구축과 공동활용 방안을 다루기 위해 해외 소장 고문헌의 정리, 해외 소장 고문헌 DB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해외 소장 고문헌의 공동활용 방안을 다룬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해외 소장의 고문헌을 정리하기 시작한 것은 국립중앙도서관이 1982년부터 해외기관에 소장된 고문헌을 영인하여 간략목록으로 발행하는 차원에서 시작되었다. 려강출판사가 일본소재 한국고문헌목록 1-4를 발간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일본, 미국, 프랑스 등의 해외기관에 소장된 고문헌을 조사하여 일부의 목록집을 발행하였고, 국사편찬위원회는 일본소재 고문서 목록을 조사하고 그중 가치 있는 것을 선별하여 목록으로 간행하였다. 해외 소장 고문헌의 DB 시스템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의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국립문화재연구소의 해외소장한국전적문화재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및 MF목록/원문서비스시스템의 특성이 기술되었고, 각 DB상의 문제점이 파악되었으며 그에 대한 몇 가지 대안도 제시되었다. 공동활용 방안에 있어서는 고문서 정리를 위한 목록 형식 및 기술(시안)은 새로운 표준안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수정되어야 하고, 관련 기간들은 서지기록을 작성하거나 원문 텍스트를 디지타이징할 때 표준을 준수해야 한다. 고문헌의 DB 구축과 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의 양성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긍극적으로는 디지털화된 자원의 공유를 위한 기술개발, 고문헌 컨텐츠의 이용과 개선, 공공의 이용과 참여, 국제적이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전담기구가 설립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재철,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 전산화의 성과와 한계" 27 : 66-79, 2006

      2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3 국립중앙도서관,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고서용-(KS X 6006-6)" 국립중앙도서관 2000

      4 이군선, "한국국학진흥원 전산화의 성과와 한계" 27 : 151-161, 2006

      5 강순애, "한국 민간 소장 고문헌의 DB 구축과 공동활용 방안" 38 : 5-46, 2007

      6 강순애, "한국 고문헌 정리에 있어서 고서용 한국문헌자동화기술규칙 및 형식의 적용과 실제" 3 : 39-44, 2007

      7 강순애, "역사자료 정보화 사업 중장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5

      8 최식, "문천각 고문헌 전산화의 성과와 한계" 27 : 31-54, 2007

      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10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시스템 구축사업 제안서" 국사편찬위원회 2008

      1 정재철,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헌 전산화의 성과와 한계" 27 : 66-79, 2006

      2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3 국립중앙도서관,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고서용-(KS X 6006-6)" 국립중앙도서관 2000

      4 이군선, "한국국학진흥원 전산화의 성과와 한계" 27 : 151-161, 2006

      5 강순애, "한국 민간 소장 고문헌의 DB 구축과 공동활용 방안" 38 : 5-46, 2007

      6 강순애, "한국 고문헌 정리에 있어서 고서용 한국문헌자동화기술규칙 및 형식의 적용과 실제" 3 : 39-44, 2007

      7 강순애, "역사자료 정보화 사업 중장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5

      8 최식, "문천각 고문헌 전산화의 성과와 한계" 27 : 31-54, 2007

      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10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시스템 구축사업 제안서" 국사편찬위원회 2008

      11 "국사편찬위원회 마이크로필름 목록원문시스템"

      12 "국립중앙도서관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13 "국립문화재연구소 해외소장한국전적문화재시스템"

      14 姜英哲, "國史編纂委員會의 史料 수집과 硏究 編纂" 70 : 19-32, 2003

      15 국립중앙도서관, "2006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KORCIS) 구축 완료보고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7 0.95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