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의 다양한 변화 중 가구 구성의 변화는 현대사회의 가장 중요한 변화이며, 그 중심에는 1인가구의 증가가 있다. 본연구는 경기도 내에서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전체 가구 중 높은 비율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53778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5-92(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의 다양한 변화 중 가구 구성의 변화는 현대사회의 가장 중요한 변화이며, 그 중심에는 1인가구의 증가가 있다. 본연구는 경기도 내에서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전체 가구 중 높은 비율을 ...
사회의 다양한 변화 중 가구 구성의 변화는 현대사회의 가장 중요한 변화이며, 그 중심에는 1인가구의 증가가 있다. 본연구는 경기도 내에서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전체 가구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 특성에 대해 충분히 연구되지못한 경기도 1인가구에 대한 이해와 함께 권역별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경기도 1인가구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로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1인가구를 대상으로 처음으로 시행된 2021년 경기도 1인가구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기도 전체 1인가구의 주요 특성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거 및 생활 안전 특성, 건강 특성, 사회 관계 특성, 코로나19 전후 어려움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권역별 격차를 확인하기 위해 경기도를 5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권역별 특성과 격차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경기도 1인가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비롯하여 주거 및 생활 안전 특성, 건강 특성, 사회 관계 특성, 코로나19 전후 어려움 변화의 전 영역에 있어서 권역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기도 1인가구 정책에 있어서 경기도 1인가구의 전체적인 특성과 함께 권역별 격차를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나타낸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권역별 격차에 기반한 경기도 1인가구 정책의 방향과함께 아직까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경기도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미애 ; 장영은 ; 진미정 ; 손서희, "코로나19에 따른 1인 가구의 일상생활 변화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25 (25): 3-20, 2020
2 장연진, "코로나19 이후 성동구 복지대상자 욕구조사" 성수종합사회복지관 2021
3 송상윤, "코로나 19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친 영향, BOK 이슈노트" 한국은행 2021
4 민충근, "청년 1인가구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0년, 2019년 주거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5 엄순철 ; 이소영, "청년 1인가구를 위한 주거요구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7 (27): 77-85, 2018
6 김재희, "지역사회 상황적 특성이 지역사회 간 정신건강 차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5 (35): 1285-1294, 2018
7 윤주현, "지역간·계층간 주거서비스 격차 완화방안 연구Ⅱ: 시도별 정책방안 모색" 국토연구원 2006
8 장영호, "지역간 격차와 지역내 격차의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 경기도 31개 시군을 사례로" (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9 (29): 99-125, 2015
9 윤해민, "지역 간 소득관련 건강불평등 격차에 관한 연구 - 자기보고건강과 우울감 경험여부 집중지수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학회 16 (16): 53-74, 2019
10 안정근 ; 김동성 ; 박철흥, "지방 중소도시 유형별 1인 가구 특성연구" 한국지역학회 36 (36): 13-24, 2020
1 성미애 ; 장영은 ; 진미정 ; 손서희, "코로나19에 따른 1인 가구의 일상생활 변화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25 (25): 3-20, 2020
2 장연진, "코로나19 이후 성동구 복지대상자 욕구조사" 성수종합사회복지관 2021
3 송상윤, "코로나 19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친 영향, BOK 이슈노트" 한국은행 2021
4 민충근, "청년 1인가구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2010년, 2019년 주거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5 엄순철 ; 이소영, "청년 1인가구를 위한 주거요구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7 (27): 77-85, 2018
6 김재희, "지역사회 상황적 특성이 지역사회 간 정신건강 차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5 (35): 1285-1294, 2018
7 윤주현, "지역간·계층간 주거서비스 격차 완화방안 연구Ⅱ: 시도별 정책방안 모색" 국토연구원 2006
8 장영호, "지역간 격차와 지역내 격차의 특성과 정책적 시사점: 경기도 31개 시군을 사례로" (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9 (29): 99-125, 2015
9 윤해민, "지역 간 소득관련 건강불평등 격차에 관한 연구 - 자기보고건강과 우울감 경험여부 집중지수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학회 16 (16): 53-74, 2019
10 안정근 ; 김동성 ; 박철흥, "지방 중소도시 유형별 1인 가구 특성연구" 한국지역학회 36 (36): 13-24, 2020
11 서울시복지재단, "제1차 서울, 사회적 고립의 위험과 대응" 2021
12 여성가족부, "제 4차 가족실태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
13 장재원, "여성 1인가구 대상 범죄발생에 도시환경이 미치는 영향" 10 : 85-86, 2019
14 임미화, "성별 주거비용 비교분석: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주택학회 28 (28): 113-129, 2020
15 이수영 ; 임미화, "서울시 성별 1인 가구 분포 특성 분석" 한국주택학회 28 (28): 45-61, 2020
16 신미림 ; 남진, "서울시 1인가구의 주택수요 예측"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131-145, 2011
17 변미리 ; 민보경 ; 박민진, "서울시 1인가구의 공간분포과 주거이동 분석" 한국인구학회 42 (42): 91-119, 2019
18 장진희, "서울거주 1인가구 실태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7
19 장진희, "서울 1인가구 여성의 삶연구(세대별 의제를 중심으로): 2030 생활실태 및 정책지원방안"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6
20 장연진 ; 김희주 ; 권승숙, "뉴노멀 시대와 복지서비스 욕구: 코로나19 전후 복지대상자가 겪는 어려움의 차이 비교" 한국평화종교학회 (12) : 59-91, 2021
21 김정은 ; 남영주, "남녀 1인가구의 주관적 웰빙과 스트레스의 관계 분석" 한국가족치료학회 27 (27): 397-428, 2019
22 박준휘, "국민안전 보장을 위한 형사정책의 실효성 제고 방안 연구(Ⅱ): 1인가구 밀집지역의 안전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17
23 송인주, "고독사 실태파악 및 지원방안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2016
24 경기도, "경기도 종합계획 2012-2020" 경기도 2012
25 노경혜, "경기도 1인가구 삶의 질 연구" 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2018
26 윤강인 ; 황윤성 ; 박미정, "가족관계가 단절된 1인가구의 심리적 복지감 예측요인 - 가족관계의 대안으로써 지역사회의 역할 -" 한국지역사회학회 26 (26): 171-202, 2018
27 경기도, "2030 경기도 주거종합계획" 경기도 2018
28 통계청, "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 보도자료"
29 성창훈, "1인가구의 증가와 정책대응" 2020 (2020): 91-95, 2020
30 김은주 ; 김향 ; 윤주영, "1인가구의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 잠재계층성장모형을 활용하여"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30 (30): 449-459, 2019
31 김선주, "1인가구의 연령대별 특성과 주거만족도" SH공사 도시연구원 10 (10): 39-62, 2020
32 오은후 ; 정혜경 ; 고장혁, "1인가구의 범죄 예방을 위한 스마트 지역범죄예방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0) : 63-72, 2016
33 조호대,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지역사회 협력치안 강화방안" 한국범죄심리학회 15 (15): 129-144, 2019
34 기획재정부, "1인가구 중장기 정책방향 및 대응방안(Ⅰ)" 기획재정부 2020
35 강유진, "1인가구 우울과 관련요인: 연령집단 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생애학회 9 (9): 1-19, 2019
36 조주현 ; 김주원, "1인 가구의 주택수요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6 (16): 33-52, 2010
37 강순주 ; 김진영 ; 함선익 ; 권윤지, "1-2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소형주택 요구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2 (22): 121-129, 2011
조선왕조실록 기반의 전세(田稅)정책에 관한 연구 - 답험손실법 및 공법(貢法)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사업에서의 노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연구 - 수원시 도시재생사업계획을 중심으로 -
컨벤션센터 규모별 이용자 만족도 및 재방문 의사 결정요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5-0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경기개발연구원 -> 경기연구원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유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3 | 0.83 | 1.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7 | 0.82 | 1.233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