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tigma Experience of Out-of-School You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0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essence of stigma experience of out-of-school youth. 11 out-of-school youths who were 20 to 24 years old, and experienced more than 1 year cease of regular education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Phenomenology of Giorgi (2004)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were divided into 9 categories and 22 sub-categories. 9 categories of stigma experiences among out-of-school youth consisted of ‘Being treated as a problem child’, ‘Being underestimated’, ‘Getting alienated’, ‘Getting discriminated’, ‘Devaluing one’s values’, ‘Being hurted, and imprinted hurt’, ‘Handling depending on situation’, ‘Realizing hard journey’, and ‘Being as a person who is growing’. As a result, the essence of stigma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s presented as a journey that out-of-school youths labelled ‘a problem child’ entered the society, so-called the place of lear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development possibilities of out-of-school youths were found despite the stigma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essence of stigma experience of out-of-school youth. 11 out-of-school youths who were 20 to 24 years old, and experienced more than 1 year cease of regular education in Seoul, Incheon,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essence of stigma experience of out-of-school youth. 11 out-of-school youths who were 20 to 24 years old, and experienced more than 1 year cease of regular education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Phenomenology of Giorgi (2004)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were divided into 9 categories and 22 sub-categories. 9 categories of stigma experiences among out-of-school youth consisted of ‘Being treated as a problem child’, ‘Being underestimated’, ‘Getting alienated’, ‘Getting discriminated’, ‘Devaluing one’s values’, ‘Being hurted, and imprinted hurt’, ‘Handling depending on situation’, ‘Realizing hard journey’, and ‘Being as a person who is growing’. As a result, the essence of stigma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s presented as a journey that out-of-school youths labelled ‘a problem child’ entered the society, so-called the place of lear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development possibilities of out-of-school youths were found despite the stigma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남인,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레비나스의 타자의 현상학" 한국현상학회 (28) : 1-38, 2006

      2 Giorgi, A.,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현문사 2004

      3 김민선, "학업중단 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우울의 관계: 진로장벽과 진로낙관성을 매개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29-1056, 2019

      4 조아미, "학업중단 청소년의 생활과 욕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45-170, 2014

      5 박봉선,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소 62 : 81-106, 2019

      6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7 조규필, "학업중단 청소년 대책을 위한 정책제안" 74-82, 2013

      8 명소연,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학교밖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4 (24): 75-98, 2016

      9 조수민, "학교밖 청소년의 진로장벽 유형과 사회적 낙인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2 (22): 201-228, 2020

      10 전주희, "학교 밖 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자아존중감, 가족응집력,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8 (28): 293-313, 2020

      1 이남인,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레비나스의 타자의 현상학" 한국현상학회 (28) : 1-38, 2006

      2 Giorgi, A.,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현문사 2004

      3 김민선, "학업중단 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우울의 관계: 진로장벽과 진로낙관성을 매개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29-1056, 2019

      4 조아미, "학업중단 청소년의 생활과 욕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45-170, 2014

      5 박봉선,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소 62 : 81-106, 2019

      6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7 조규필, "학업중단 청소년 대책을 위한 정책제안" 74-82, 2013

      8 명소연,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학교밖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4 (24): 75-98, 2016

      9 조수민, "학교밖 청소년의 진로장벽 유형과 사회적 낙인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2 (22): 201-228, 2020

      10 전주희, "학교 밖 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자아존중감, 가족응집력,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8 (28): 293-313, 2020

      11 박지원,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63) : 5-30, 2020

      12 이화명,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49-562, 2017

      13 박동진,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5 (5): 71-87, 2019

      14 이지혜,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지지 및 또래지지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과 사회적 낙인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33 (33): 165-180, 2020

      15 이재영,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행동 관련 융복합적 요인: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33-342, 2018

      16 김미혜,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차이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17 문진영,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에 관한 상호관계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43-355, 2020

      18 백혜정,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19 윤철경, "학교 밖 청소년 이행경로에 따른 맞춤형 대책연구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20 조은주, "통치와 잉여: ‘학교 밖 청소년’을 둘러싼 질문들" 1 : 331-332, 2014

      21 이현숙, "탈북 청소년의 낙인 현상과 대응"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2) : 179-201, 2015

      22 김연정, "청소년의 자발적 학교이탈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6 (26): 259-285, 2019

      23 박현수, "청소년비행에 있어 낙인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 비공식 낙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227-251, 2009

      24 이성식, "청소년비행과 비공식낙인의 영향: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18 (18): 1105-1128, 2007

      25 홍봉선, "청소년복지론" 도서출판 공동체 2007

      2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3

      27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2015

      28 정효정, "지각된 낙인이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6

      29 김정희, "조례분석을 통해 본 학교 밖 청소년의 인권과 사회적 인정"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2 (22): 253-275, 2020

      30 김범구,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유형과 특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5-31, 2013

      31 장경서, "자발적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진로관여 경험탐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8

      32 양승연, "아동양육시설 아동의 적응유연성 형성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39) : 93-126, 2012

      33 김민정, "비공식 낙인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소 9 (9): 127-147, 2014

      34 김평식, "부정적 낙인 과정과 결과" 한국사회안전 범죄정보학회 4 (4): 1-16, 2018

      35 이기헌, "낙인이론의 재조명" 법학연구소 16 (16): 371-400, 2015

      36 안순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낙인 극복: 소셜미디어를 통한 관계적 커뮤니케이션 효과" 한국언론학회 61 (61): 311-338, 2017

      37 김영희, "검정고시를 선택한 일반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의 적응경험 - 학교 밖에서 진로를 결정하고 고군분투하는 청소년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131-157, 2015

      38 안은미,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낙인감 발달궤적이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29-244, 2019

      39 Major, B., "The Social Psychology of Stigma" 56 : 393-421, 2005

      40 Goffman, E.,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Prentice-Hal 1963

      41 Bos, A. E., "Stigma: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35 (35): 1-9, 2013

      42 Matsueda, R. L., "Reflected appraisals, parental labeling, and delinquency specifying a symbolic interactionist theory" 97 (97): 1577-1611, 1992

      43 Patton, M.,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Sage 2002

      44 Giorgi, A.,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Duquesne University Press 1985

      45 Moustakas, 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1994

      46 Link, B. G.,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mental health" Springer 525-541, 2013

      47 Crocker, J.,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McGraw-Hill 1998

      48 Lincoln, Y. S., "Effective Evaluation" Jossey-Bass Publication 1985

      49 Link, B. G., "Conceptualizing stigma" 27 : 363-385, 2001

      50 여성가족부, "2018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8

      51 여성가족부, "2015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5

      5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청소년정책 이슈브리프. 통권 제1호"

      53 전경숙, "10대 학업중단 청소년의 근로실태에 관한 실증적 고찰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4 (14): 3-21,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51 2.51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4 2.89 3.162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