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남인,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레비나스의 타자의 현상학" 한국현상학회 (28) : 1-38, 2006
2 Giorgi, A.,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현문사 2004
3 김민선, "학업중단 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우울의 관계: 진로장벽과 진로낙관성을 매개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29-1056, 2019
4 조아미, "학업중단 청소년의 생활과 욕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45-170, 2014
5 박봉선,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소 62 : 81-106, 2019
6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7 조규필, "학업중단 청소년 대책을 위한 정책제안" 74-82, 2013
8 명소연,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학교밖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4 (24): 75-98, 2016
9 조수민, "학교밖 청소년의 진로장벽 유형과 사회적 낙인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2 (22): 201-228, 2020
10 전주희, "학교 밖 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자아존중감, 가족응집력,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8 (28): 293-313, 2020
1 이남인,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레비나스의 타자의 현상학" 한국현상학회 (28) : 1-38, 2006
2 Giorgi, A.,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현문사 2004
3 김민선, "학업중단 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우울의 관계: 진로장벽과 진로낙관성을 매개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29-1056, 2019
4 조아미, "학업중단 청소년의 생활과 욕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145-170, 2014
5 박봉선,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소 62 : 81-106, 2019
6 윤철경,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7 조규필, "학업중단 청소년 대책을 위한 정책제안" 74-82, 2013
8 명소연,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학교밖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4 (24): 75-98, 2016
9 조수민, "학교밖 청소년의 진로장벽 유형과 사회적 낙인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2 (22): 201-228, 2020
10 전주희, "학교 밖 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자아존중감, 가족응집력,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8 (28): 293-313, 2020
11 박지원,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63) : 5-30, 2020
12 이화명,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과 심리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49-562, 2017
13 박동진,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5 (5): 71-87, 2019
14 이지혜, "학교 밖 청소년의 부모지지 및 또래지지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과 사회적 낙인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33 (33): 165-180, 2020
15 이재영, "학교 밖 청소년의 문제행동 관련 융복합적 요인: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33-342, 2018
16 김미혜, "학교 밖 청소년의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차이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17 문진영, "학교 밖 청소년의 게임중독과 사회적 낙인감에 관한 상호관계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43-355, 2020
18 백혜정,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19 윤철경, "학교 밖 청소년 이행경로에 따른 맞춤형 대책연구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20 조은주, "통치와 잉여: ‘학교 밖 청소년’을 둘러싼 질문들" 1 : 331-332, 2014
21 이현숙, "탈북 청소년의 낙인 현상과 대응"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2) : 179-201, 2015
22 김연정, "청소년의 자발적 학교이탈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6 (26): 259-285, 2019
23 박현수, "청소년비행에 있어 낙인의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 : 비공식 낙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227-251, 2009
24 이성식, "청소년비행과 비공식낙인의 영향: 청소년패널자료의 분석"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18 (18): 1105-1128, 2007
25 홍봉선, "청소년복지론" 도서출판 공동체 2007
2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3
27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학지사 2015
28 정효정, "지각된 낙인이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6
29 김정희, "조례분석을 통해 본 학교 밖 청소년의 인권과 사회적 인정"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2 (22): 253-275, 2020
30 김범구,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유형과 특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5-31, 2013
31 장경서, "자발적 학업중단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진로관여 경험탐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8
32 양승연, "아동양육시설 아동의 적응유연성 형성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39) : 93-126, 2012
33 김민정, "비공식 낙인이 청소년의 지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소 9 (9): 127-147, 2014
34 김평식, "부정적 낙인 과정과 결과" 한국사회안전 범죄정보학회 4 (4): 1-16, 2018
35 이기헌, "낙인이론의 재조명" 법학연구소 16 (16): 371-400, 2015
36 안순태,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낙인 극복: 소셜미디어를 통한 관계적 커뮤니케이션 효과" 한국언론학회 61 (61): 311-338, 2017
37 김영희, "검정고시를 선택한 일반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의 적응경험 - 학교 밖에서 진로를 결정하고 고군분투하는 청소년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131-157, 2015
38 안은미,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낙인감 발달궤적이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29-244, 2019
39 Major, B., "The Social Psychology of Stigma" 56 : 393-421, 2005
40 Goffman, E.,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Prentice-Hal 1963
41 Bos, A. E., "Stigma: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35 (35): 1-9, 2013
42 Matsueda, R. L., "Reflected appraisals, parental labeling, and delinquency specifying a symbolic interactionist theory" 97 (97): 1577-1611, 1992
43 Patton, M.,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Sage 2002
44 Giorgi, A.,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Duquesne University Press 1985
45 Moustakas, C.,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Sage 1994
46 Link, B. G.,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mental health" Springer 525-541, 2013
47 Crocker, J.,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McGraw-Hill 1998
48 Lincoln, Y. S., "Effective Evaluation" Jossey-Bass Publication 1985
49 Link, B. G., "Conceptualizing stigma" 27 : 363-385, 2001
50 여성가족부, "2018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8
51 여성가족부, "2015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5
5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청소년정책 이슈브리프. 통권 제1호"
53 전경숙, "10대 학업중단 청소년의 근로실태에 관한 실증적 고찰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4 (14): 3-21,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