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증후군을 포함한 정신지체 지닌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과 운동특성 면에서 많이 다르다. 앉기, 서기, 팔 뻗어 잡기와 같은 주요 운동이정(motor milestone)이 일반적으로 지연되고, 게다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2705
200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다운증후군을 포함한 정신지체 지닌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과 운동특성 면에서 많이 다르다. 앉기, 서기, 팔 뻗어 잡기와 같은 주요 운동이정(motor milestone)이 일반적으로 지연되고, 게다가 ...
다운증후군을 포함한 정신지체 지닌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과 운동특성 면에서 많이 다르다. 앉기, 서기, 팔 뻗어 잡기와 같은 주요 운동이정(motor milestone)이 일반적으로 지연되고, 게다가 이런 지연은 정상아 보다더 훨씬 연장된 고원현상과 아주 다른 시기에 나타난다. 학교 다니는 연령에서 이들은 예상되는 동작기술 습득에 어려움을 겪으며 일반적으로 "서툼(clumsy)"으로 규정되곤 한다. 이들 아동은 특히 앉기나 걷기와 같은 기능적인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에 손상을 입히는 자세조절상의 발달 지체를 보이고 있다(이소연 1995).
자세제어는 무게의 중심을 유지하거나 제자리로 되돌림으로서 위로향한 자세인 상향자세를 유지하는 능력을 말한다(Horak, 1987). 많은 운동과제가 정신지체를 지닌 사람의 평형성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들 과제의 형태는 여러 면에서 한계를 들어내고 있다(Suomi & Koceja 1994). 평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1) 공간에서의 신체의 변화, (2)지지면의 감소, (3) 생산측정의 측면에서 수행평가, 상대적으로 최근에는(4) 자세동요(sway) 등과 관련이 되어왔다. 문제는 이런 측정들은 자세제어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감각통합(sensory integration)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인간의 놀라운 자제 제어 능력은 관절의 상호작용과 감각의 통합으로 가능할 수 있다고 알려져 왔다. 즉 인간의 직립자세의 자동적 제어는 지지면 위에서 신체의 무게중심을 유지하는 활발한 감각통합과정을 통해 가능한 것이다(Peterka & Black, 1990). 이 과정은 직립자세로부터 신체의 위치에 대한 편차를 인지하여 원래의 직립자세로 신체를 되돌리기 위해 최초 편차에 반대되는 운동명령을 시행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 체성감각계, 시각계, 전정계이다. 최근에 개발된 동적자세측정법(computerized dynamic posturography: NeuoCom, 1992-98)은 시각, 전정계, 체성 감각 등 구심성 자극을 조합하여 감각계와 운동계를 개별적 혹은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이상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게되었으며 그 타당성과 객관성이 인정되어오고 있다(Wolfson, Whipple, Derby, Amerman, & Nashner, 1994; McCollum, Shupert & Nashner, 1996).
비록 지금까지 정신지체를 지닌 사람의 평형성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자세제어의 감각통푀올片涌【?동적자세측정기와 같은 정확한 측정도구를 이용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아울러 다운증후군을 포함한 정신지체를 지닌 아동의 연령증가에 따른 자세제어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다운증후군을 포함한 정신지체를 지닌 아동이 연령 증가에 따라 자세제어를 어떻게 유지하는지를 감각통합측면에서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다운증후군을 지닌 아동집단 다른 형태의 정신지체아동 집단, 그리고 연령이 맞추어진 통제집단으로 구성될 것이다;7-9세(N=10), 10-12세(N=10), 18세(N=10). 따라서 각집단 30명씩 총 90명의 피험자가 동원될 예정이다. 다운증후군 아동과 일반 정신지체아동은 사회성숙도검사(김승국, 김옥기 1970)와 WISC 검사를 통해 동질성을 스크린한후 집단에 배정할 예정이다. 본 검사는 Posturography(NeruoCom, EquiTes System 1992-98)를 이용 감각구성검사를 실시한다. 결과처리는 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며, 통계학적 가설검정의 유의수준은 알파=0.05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