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로주택정비사업 시행 적정가구를 활용한 저층주거지 통합 정비방안 연구 – 인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Comprehensive Renewal Plan Of Low-rise Residential Area Using Appropriate Blocks For The Implementation Of Urban Block Renewal Project – Focusing On The Cas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90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comprehensive renewal plan aimed at revitalizing low-rise residential areas on the old town of Incheon near Hambak town by utilizing the urban block renewal project. First, blocks that meet the propositional requirements for the urban block renewal project are derived, and analysis criteria for comparing the adequacy of the urban block renewal project are defined and applied. Those are expressed in terms of block size, block type, building use, housing size, access condition, and retention rate. Therefore, blocks that are relatively more appropriate than other blocks in terms of implementing the urban block renewal project are derived. Those are defined as suitable block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urban block renewal project. As a result, the 13 out of a total of 52 blocks are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ambak town urban block renewal project. Based on the derived blocks, the types are classified into one single block, two connected blocks, and three connected blocks according to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road conditions. Finally, a new plan is proposed by linking the appropriate block and the urban regeneration of Hambak town.
      번역하기

      This study proposes a comprehensive renewal plan aimed at revitalizing low-rise residential areas on the old town of Incheon near Hambak town by utilizing the urban block renewal project. First, blocks that meet the propositional requirements for the ...

      This study proposes a comprehensive renewal plan aimed at revitalizing low-rise residential areas on the old town of Incheon near Hambak town by utilizing the urban block renewal project. First, blocks that meet the propositional requirements for the urban block renewal project are derived, and analysis criteria for comparing the adequacy of the urban block renewal project are defined and applied. Those are expressed in terms of block size, block type, building use, housing size, access condition, and retention rate. Therefore, blocks that are relatively more appropriate than other blocks in terms of implementing the urban block renewal project are derived. Those are defined as suitable block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urban block renewal project. As a result, the 13 out of a total of 52 blocks are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ambak town urban block renewal project. Based on the derived blocks, the types are classified into one single block, two connected blocks, and three connected blocks according to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road conditions. Finally, a new plan is proposed by linking the appropriate block and the urban regeneration of Hambak tow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활용하여 인천시 원도심 저층주거지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통합적 정비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가로주택정비사업 법적 요건을 충족한 가구를 도출하였고,􀀁 가로주택정비사업 시행 적정성의 상대적 비교를 위한􀀁 분석기준을 도출한 뒤이를 적용하였다.􀀁 분석기준은 가구규모,􀀁 가구형태,􀀁 건축물 용도,􀀁 주택규모,􀀁 접도조건,􀀁 존치율로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다른 가구보다 가로주택정비사업에 시행에 있어 유리한 가구를 도출하고,􀀁 이를 가로주택정비사업 시행 적정가구라 정의하였다.􀀁 그 결과 함박마을 가로주택정비사업 시행 적정가구는 총 52가구 중에서 13가구로 나타났으며,􀀁 도출된 가구를 바탕으로분포특성과 도로 여건에 따라 1가구 단독형,􀀁 2가구 연계형,􀀁 3가구 연계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출된 함박마을 가로주택정비사업 시행 적정가구와 함박마을에서 진행하는 도시재생을 연계하는 정비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활용하여 인천시 원도심 저층주거지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통합적 정비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가로주택정비사업 법적 요건을 충족�...

      본 연구는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활용하여 인천시 원도심 저층주거지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통합적 정비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가로주택정비사업 법적 요건을 충족한 가구를 도출하였고,􀀁 가로주택정비사업 시행 적정성의 상대적 비교를 위한􀀁 분석기준을 도출한 뒤이를 적용하였다.􀀁 분석기준은 가구규모,􀀁 가구형태,􀀁 건축물 용도,􀀁 주택규모,􀀁 접도조건,􀀁 존치율로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다른 가구보다 가로주택정비사업에 시행에 있어 유리한 가구를 도출하고,􀀁 이를 가로주택정비사업 시행 적정가구라 정의하였다.􀀁 그 결과 함박마을 가로주택정비사업 시행 적정가구는 총 52가구 중에서 13가구로 나타났으며,􀀁 도출된 가구를 바탕으로분포특성과 도로 여건에 따라 1가구 단독형,􀀁 2가구 연계형,􀀁 3가구 연계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출된 함박마을 가로주택정비사업 시행 적정가구와 함박마을에서 진행하는 도시재생을 연계하는 정비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지현 ; 양승호 ; 박정환 ; 권영상, "한국 도시의 건축물 노후도 및 리모델링 현황특성" 한국도시설계학회 17 (17): 65-82, 2016

      2 김종오, "택지개발에 의한 단독주택용지의 획지분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2

      3 서명원 ; 김성희 ; 한귀자 ; 서미진, "지역특성에 따른 원도심 재생사업의 주민참여 방식에 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1 (21): 205-222, 2018

      4 주관수, "주민의견조사를 통한 가로주택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4 : 243-258, 2013

      5 이왕기 ; 김수연 ; 김효정, "저층 노후주택 정비에 대한 고찰 및 정책방향" 한국도시행정학회 30 (30): 1-23, 2017

      6 이영미 ; 허지행 ; 권대중, "자율주택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집합건물법학회 33 : 75-107, 2020

      7 서울시립대학교 ; 남진,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한 가로주택정비사업 찬반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5) : 161-175, 2016

      8 고세범 ; 안건혁, "우리나라 주택유형 비율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45-54, 2010

      9 김효훈,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사업성 제고 방안"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10 손유곤, "소규모 단지 재생을 통한 도시주거환경 개선방안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1 황지현 ; 양승호 ; 박정환 ; 권영상, "한국 도시의 건축물 노후도 및 리모델링 현황특성" 한국도시설계학회 17 (17): 65-82, 2016

      2 김종오, "택지개발에 의한 단독주택용지의 획지분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2

      3 서명원 ; 김성희 ; 한귀자 ; 서미진, "지역특성에 따른 원도심 재생사업의 주민참여 방식에 대한 연구"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1 (21): 205-222, 2018

      4 주관수, "주민의견조사를 통한 가로주택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4 : 243-258, 2013

      5 이왕기 ; 김수연 ; 김효정, "저층 노후주택 정비에 대한 고찰 및 정책방향" 한국도시행정학회 30 (30): 1-23, 2017

      6 이영미 ; 허지행 ; 권대중, "자율주택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집합건물법학회 33 : 75-107, 2020

      7 서울시립대학교 ; 남진,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한 가로주택정비사업 찬반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65) : 161-175, 2016

      8 고세범 ; 안건혁, "우리나라 주택유형 비율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45-54, 2010

      9 김효훈,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의 사업성 제고 방안"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10 손유곤, "소규모 단지 재생을 통한 도시주거환경 개선방안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11 권혁삼 ; 이영환 ; 박준영 ; 김성훈, "소규모 근린재생을 위한 가로주택정비사업 주거모델 개발" 한국도시설계학회 14 (14): 35-48, 2013

      12 김옥연, "도시재생뉴딜사업 연계형 가로주택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3-146, 2018

      13 임희지, "다세대·다가구주택지 재생을 위한 슈퍼블록단위 통합·연계형 가로주택정비사업 추진방안" 서울연구원 1-27, 2020

      14 이은미, "노후경사주거지를 위한 가로주택정비사업 적용성 분석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15 조재원 ; 나인수, "노후 저층주거지 내 가로주택정비사업 시행 적정성을 통한 적정가구 도출 연구-인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부동산학회 12 (12): 5-20, 2021

      16 장윤배, "경기도 가로주택정비사업 추진방안" 경기연구원 1-168, 2017

      17 임종욱 ; 이춘원, "가로주택정비사업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 37 (37): 259-274, 2019

      18 조하늘, "가로주택정비사업 모델의 근린재생을 위한 적용성 분석" 충북대학교대학원 2016

      19 인천도시공사, "가로주택정비사업 길라잡이"

      20 인천광역시, "2030년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 3-425,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1 1.33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