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이인형을 모티브로한 화예 조형 표현에 관한 연구 - 동심으로 회귀 - = An Experimental Study of Composition and Articulation in Floral Art with Paper Doll Motif - Reverse to Childhood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57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tention of this work is to awaken personal recollection with humor. An initial research was started with images of paper dolls and it led the researcher to a recollection of paper dolls on which the researcher used to put dresses drawn and cut out. Eventually, the idea reached at putting the faces of researcher's friends on the paper dolls. The researcher created a bench of box shape for dolls to sit on with moss. The dolls were made by drawing the clothes, by putting photo of researcher's friends faces in the face place of dolls, by printing them out on the card board and cutting the shape of whole dolls out. A bunch of orange Transvaal daisy was positioned at the back of each doll and a water pick wa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each Transvaal daisy to supply water. As a result a floral art work was finished where limited amount of flowers were used so that limited effort to change and replace flowers is needed to keep the work working. It is possible for the buyer to change the faces of the work to their own choice or even to have the seller to provide photo taking service to be used on the work.
      번역하기

      The intention of this work is to awaken personal recollection with humor. An initial research was started with images of paper dolls and it led the researcher to a recollection of paper dolls on which the researcher used to put dresses drawn and cut o...

      The intention of this work is to awaken personal recollection with humor. An initial research was started with images of paper dolls and it led the researcher to a recollection of paper dolls on which the researcher used to put dresses drawn and cut out. Eventually, the idea reached at putting the faces of researcher's friends on the paper dolls. The researcher created a bench of box shape for dolls to sit on with moss. The dolls were made by drawing the clothes, by putting photo of researcher's friends faces in the face place of dolls, by printing them out on the card board and cutting the shape of whole dolls out. A bunch of orange Transvaal daisy was positioned at the back of each doll and a water pick wa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each Transvaal daisy to supply water. As a result a floral art work was finished where limited amount of flowers were used so that limited effort to change and replace flowers is needed to keep the work working. It is possible for the buyer to change the faces of the work to their own choice or even to have the seller to provide photo taking service to be used on the 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작업은 개인적 추억을 바탕으로 감각적, 정서적 재미를 환기시키는화예작품을 창작하려는 의도로 진행되었다. 종이인형이라는 모티브를 중심으로 이미지 리서치를 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과거 연구자가 종이인형을 자르고 직접 그려 입힌 종이옷으로 이끌었고, 친구들의 얼굴을 종이인형으로 만들어 작품으로 발전시키면 재미있는 작업이 될 수 있겠다는생각에 이르렀다.
      먼저 오아시스에 이끼를 덮어 인형을 앉힐 직육면체의 벤치를 제작하16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제35집였다. 종이인형을 제작함에 있어 헤어와 옷은 드로잉 처리하였고 얼굴부분은 연구자의 친구들의 얼굴을 촬영하여 삽입하였다. 완성된 인물 이미지를 프린터로 출력하여 완성하였다. 꽃은 종이인형의 귀엽고 발랄한이미지와 잘 어울리도록 오렌지색의 거베라를 사용하였고, 인형뒷면에물 처리를 할 수 있는 워터픽을 부착하여 반영구적으로 재활용 가능하도록 하여 상품으로서 가치를 높였다. 결과적으로 그래픽과 식물 소재가결합되어 디자인적인 매력이 있으면서도 생동감 있는 화예작품이 창작되었다. 상품적 측면으로는 구매자가 스스로 자신 혹은 친구들의 얼굴 이미지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판매자가 현장에서 얼굴을 촬영하여 삽입하여 판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총체적으로 계속 바꾸어 줘야하는 화예 소재를 제한적으로 사용하여 관리의 비용과 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전시 효과는 상승시키는 화예 작품이 되었다.
      번역하기

      본 작업은 개인적 추억을 바탕으로 감각적, 정서적 재미를 환기시키는화예작품을 창작하려는 의도로 진행되었다. 종이인형이라는 모티브를 중심으로 이미지 리서치를 하였는데 그 과정에...

      본 작업은 개인적 추억을 바탕으로 감각적, 정서적 재미를 환기시키는화예작품을 창작하려는 의도로 진행되었다. 종이인형이라는 모티브를 중심으로 이미지 리서치를 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과거 연구자가 종이인형을 자르고 직접 그려 입힌 종이옷으로 이끌었고, 친구들의 얼굴을 종이인형으로 만들어 작품으로 발전시키면 재미있는 작업이 될 수 있겠다는생각에 이르렀다.
      먼저 오아시스에 이끼를 덮어 인형을 앉힐 직육면체의 벤치를 제작하16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제35집였다. 종이인형을 제작함에 있어 헤어와 옷은 드로잉 처리하였고 얼굴부분은 연구자의 친구들의 얼굴을 촬영하여 삽입하였다. 완성된 인물 이미지를 프린터로 출력하여 완성하였다. 꽃은 종이인형의 귀엽고 발랄한이미지와 잘 어울리도록 오렌지색의 거베라를 사용하였고, 인형뒷면에물 처리를 할 수 있는 워터픽을 부착하여 반영구적으로 재활용 가능하도록 하여 상품으로서 가치를 높였다. 결과적으로 그래픽과 식물 소재가결합되어 디자인적인 매력이 있으면서도 생동감 있는 화예작품이 창작되었다. 상품적 측면으로는 구매자가 스스로 자신 혹은 친구들의 얼굴 이미지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판매자가 현장에서 얼굴을 촬영하여 삽입하여 판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총체적으로 계속 바꾸어 줘야하는 화예 소재를 제한적으로 사용하여 관리의 비용과 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전시 효과는 상승시키는 화예 작품이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오, "페이퍼 컷 아웃(Paper Cut-out)기법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165-177, 2012

      1 박상오, "페이퍼 컷 아웃(Paper Cut-out)기법을 활용한 인테리어 소품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165-177,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3-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Essays on Floral Art
      KCI등재후보
      2005-02-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화예학회 논문집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논문집
      외국어명 : Hankook Hwaye Hakyoe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8 0.31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