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 The Second National Master Plan for Ener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81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ummarizes the main contents of the 2nd National Master Plan for Energy which was discussed and passed in the Cabinet Council on 14 January 2014. This plan presents the basic visions and directions of energy policies for decades to come through 2035. It proposes also principal objectives and tasks of six main policies. The six main policies are as follows: transition to energy policies focusing on demand management; establishment of the system for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enhancement of the sustainability of energy policies; reinforcement of energy security; stable framework for secure energy supplies; energy policies in tune with the people. This plan includes an energy demand forecast over the period to 2035, and sets a goal to reduce the final energy demand in 2035 by 13.3% compared to the reference case. In this plan, the share of nuclear power in 2035 is set at 29% in terms of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that of renewable energy at 11% in terms of primary energy.
      번역하기

      This paper summarizes the main contents of the 2nd National Master Plan for Energy which was discussed and passed in the Cabinet Council on 14 January 2014. This plan presents the basic visions and directions of energy policies for decades to come thr...

      This paper summarizes the main contents of the 2nd National Master Plan for Energy which was discussed and passed in the Cabinet Council on 14 January 2014. This plan presents the basic visions and directions of energy policies for decades to come through 2035. It proposes also principal objectives and tasks of six main policies. The six main policies are as follows: transition to energy policies focusing on demand management; establishment of the system for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enhancement of the sustainability of energy policies; reinforcement of energy security; stable framework for secure energy supplies; energy policies in tune with the people. This plan includes an energy demand forecast over the period to 2035, and sets a goal to reduce the final energy demand in 2035 by 13.3% compared to the reference case. In this plan, the share of nuclear power in 2035 is set at 29% in terms of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that of renewable energy at 11% in terms of primary energ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2014년 1월 14일 국무회의에서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을 심의하고 확정하였다. 이에 본 고에서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였다. 이 계획은 2035년까지의 에너지정책에 대한 비전과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6대 중점과제의 목표와 주요과제를 도출하였다. 6대 중점과제는 수요관리 중심의 에너지 정책전환, 분산형 발전시스템 구축, 에너지 정책의 지속가능성 제고, 에너지 안보 강화, 원별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 국민과 함께 하는 에너지 정책추진이다. 또한 2035년까지의 에너지 수요를 전망하였고, 2035년의 최종에너지의 목표수요를 기준수요 대비 13.3% 만큼 감축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2035년의 원자력 비중목표를 전력발전설비 기준 29%로,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1차 에너지 기준 11%로 설정하였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2014년 1월 14일 국무회의에서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을 심의하고 확정하였다. 이에 본 고에서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였다. 이 계획은 2035년까지의 ...

      우리나라는 2014년 1월 14일 국무회의에서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을 심의하고 확정하였다. 이에 본 고에서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을 요약 및 정리하였다. 이 계획은 2035년까지의 에너지정책에 대한 비전과 기본방향을 제시하고, 6대 중점과제의 목표와 주요과제를 도출하였다. 6대 중점과제는 수요관리 중심의 에너지 정책전환, 분산형 발전시스템 구축, 에너지 정책의 지속가능성 제고, 에너지 안보 강화, 원별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 국민과 함께 하는 에너지 정책추진이다. 또한 2035년까지의 에너지 수요를 전망하였고, 2035년의 최종에너지의 목표수요를 기준수요 대비 13.3% 만큼 감축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2035년의 원자력 비중목표를 전력발전설비 기준 29%로,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1차 에너지 기준 11%로 설정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e Second National Master Plan for Energy"

      2 International Energy Agency, "End-use oil product price average crude oil import costs"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e Second National Master Plan for Energy"

      2 International Energy Agency, "End-use oil product price average crude oil import cos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