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화처리시 산화처리가 광산배수중의 Fe, Al 및 Mn 성분의 선택침전에 미친 영향 = Effect of Oxidation on Selective Precipitation of Dissolved Fe, Al and Mn in Acid Mine Drainage during Neutra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81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selective sequential precipitation process for recovering dissolved metals from acid mine drainages (AMD). The AMD of pH 3 with high concentration of Fe, Al and Mn at the Samma-Teajung coal mine was neutralized by adding neutralizing agents and oxidant to evaluate recovery of the metals and purity of their precipitates. In the case of adding only neutralizing agents, both dissolved Al and Mn were concurrently precipitated at pH 4.5 so that caused the purity of each precipitate to be lowered. However, for neutralization preceded by oxidation of AMD, dissolved metals were removed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Fe, Al and Mn. Recoveries of dissolved Fe, Al and Mn reached 99.2∼99.3% at pH 4.5, 70.4∼82.2% at pH 5.5, and 37.8∼87.5% at pH 8.5, respectively. Oxidation before neutralization increased the recovery of dissolved Fe and Al in AMD with high purity of precipitate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selective sequential precipitation process for recovering dissolved metals from acid mine drainages (AMD). The AMD of pH 3 with high concentration of Fe, Al and Mn at the Samma-Teajung coal mine was neutralized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selective sequential precipitation process for recovering dissolved metals from acid mine drainages (AMD). The AMD of pH 3 with high concentration of Fe, Al and Mn at the Samma-Teajung coal mine was neutralized by adding neutralizing agents and oxidant to evaluate recovery of the metals and purity of their precipitates. In the case of adding only neutralizing agents, both dissolved Al and Mn were concurrently precipitated at pH 4.5 so that caused the purity of each precipitate to be lowered. However, for neutralization preceded by oxidation of AMD, dissolved metals were removed sequentially in the order of Fe, Al and Mn. Recoveries of dissolved Fe, Al and Mn reached 99.2∼99.3% at pH 4.5, 70.4∼82.2% at pH 5.5, and 37.8∼87.5% at pH 8.5, respectively. Oxidation before neutralization increased the recovery of dissolved Fe and Al in AMD with high purity of precipitat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광산배수로부터 용존금속을 회수하는 선택적 침전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삼마태정 광산배수를 대상으로 중화제 및 산화제를 주입하여 pH 상승에 따른 용존 금속 회수율 및 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중화제만을 첨가했을 때 Al 및 Fe가 pH 4.5 부근에서 동시에 침전됨으로써 침전물의 순도가 낮았다. 과산화수소로 산화한 후 중화처리 한 결과 Fe>Al>Mn순으로 침전되었다. 이때 Fe는 pH 4.5에서 회수율이 99.2∼99.3%, Al의 경우 회수율은 pH 5.5에서 70.4∼82.2% 범위였다. 또한 Mn의 경우 pH가 8.5에서 37.8∼87.5%의 회수율을 보였다. 산화작용이 용존 Fe을 Fe3+로 산화시켜 Fe와 Al의 침전물의 고순도를 가능케 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광산배수로부터 용존금속을 회수하는 선택적 침전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삼마태정 광산배수를 대상으로 중화제 및 산화제를 주입하여 pH 상승에 따른 용존 금속 회수...

      본 연구는 광산배수로부터 용존금속을 회수하는 선택적 침전공정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삼마태정 광산배수를 대상으로 중화제 및 산화제를 주입하여 pH 상승에 따른 용존 금속 회수율 및 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중화제만을 첨가했을 때 Al 및 Fe가 pH 4.5 부근에서 동시에 침전됨으로써 침전물의 순도가 낮았다. 과산화수소로 산화한 후 중화처리 한 결과 Fe>Al>Mn순으로 침전되었다. 이때 Fe는 pH 4.5에서 회수율이 99.2∼99.3%, Al의 경우 회수율은 pH 5.5에서 70.4∼82.2% 범위였다. 또한 Mn의 경우 pH가 8.5에서 37.8∼87.5%의 회수율을 보였다. 산화작용이 용존 Fe을 Fe3+로 산화시켜 Fe와 Al의 침전물의 고순도를 가능케 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의영, "폐금속광산 광물찌꺼기의 시멘트 고화체의 특성 연구" 한국자원공학회 49 (49): 757-765, 2012

      2 이현철, "탄산화법을 이용한 용존 비소 제거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공학회 50 (50): 70-79, 2013

      3 정영욱, "슬러지 반복 중화-침전법에 의한 광산배수 슬러지 및 수질 특성 변화" 한국자원공학회 41 (41): 389-394, 2004

      4 김아영, "광산배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에 따른 비소 처리기술 평가" 한국자원공학회 48 (48): 145-154, 2011

      5 Snoeyink, V.L., "Water Chemistry" John Wiley & Sons 258-449, 1980

      6 Sheremata, T., "Value recovery from acid mine drainage. Metals removal from acidic mine drainage—chemical methods (Part II)" Noranda Technology Center 1996

      7 Foucher, S., "Treatment by sulfate-reducing bacteria of Chessy acid-mine drainage and metals recovery" 6 (6): 1639-1645, 2001

      8 Riveros, P. A., "The extraction of Fe(III) using cationexchange carboxylic resins" 72 (72): 279-290, 2004

      9 Lenter, C. M., "The Effects of Sulfate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ctively Treated Acid Mine Drainage Floc" 21 (21): 114-120, 2002

      10 Ucar, D., "Sequential precipitaion of Cu and Fe using a three-stage sulfidogenic fluidized-bed reactor system" 24 (24): 1100-1105, 2011

      1 서의영, "폐금속광산 광물찌꺼기의 시멘트 고화체의 특성 연구" 한국자원공학회 49 (49): 757-765, 2012

      2 이현철, "탄산화법을 이용한 용존 비소 제거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공학회 50 (50): 70-79, 2013

      3 정영욱, "슬러지 반복 중화-침전법에 의한 광산배수 슬러지 및 수질 특성 변화" 한국자원공학회 41 (41): 389-394, 2004

      4 김아영, "광산배수의 지구화학적 특성에 따른 비소 처리기술 평가" 한국자원공학회 48 (48): 145-154, 2011

      5 Snoeyink, V.L., "Water Chemistry" John Wiley & Sons 258-449, 1980

      6 Sheremata, T., "Value recovery from acid mine drainage. Metals removal from acidic mine drainage—chemical methods (Part II)" Noranda Technology Center 1996

      7 Foucher, S., "Treatment by sulfate-reducing bacteria of Chessy acid-mine drainage and metals recovery" 6 (6): 1639-1645, 2001

      8 Riveros, P. A., "The extraction of Fe(III) using cationexchange carboxylic resins" 72 (72): 279-290, 2004

      9 Lenter, C. M., "The Effects of Sulfate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Actively Treated Acid Mine Drainage Floc" 21 (21): 114-120, 2002

      10 Ucar, D., "Sequential precipitaion of Cu and Fe using a three-stage sulfidogenic fluidized-bed reactor system" 24 (24): 1100-1105, 2011

      11 Rao, S. R., "Resource recovery from acid mine drainage. Metals removal from acidic drainage-chemical methods (Part I)" Noranda Technology Center 1996

      12 Jenke, D.R., "Recovery of valuable metals from acid mine drainage by selective titration" 17 (17): 1585-1590, 1983

      13 Nascimento, M. R. L., "Recovery of uranium from acid mine drainage waters by ion exchange" 25 (25): 129-142, 2004

      14 Hedin, R. S., "Recovery of marketable iron oxide from mine drainage in the USA" 11 (11): 93-98, 2003

      15 Wei, X., "Recovery of iron and aluminum from acid mine drainage by selective precipitation" 22 (22): 745-755, 2005

      16 Hem, J. D., "Rates of manganese oxidation in aqueous systems" 45 (45): 1369-1374, 1981

      17 Younger, P.L., "Mine water : Hydrology, Pollution, Remedia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2

      18 Marcelloa, R. R., "Inorganic pigments made from the recycling of coal mine drainage treatment sludge" 88 (88): 1280-1284, 2008

      19 Stumm, W., "Aquatic chemistry" John Wiley & Sons, Inc. 683-688, 1996

      20 Deorkar, N.V., "An adsorption process for metal recovery from acid mine waste: The Berkeley Pit problem" 17 (17): 120-125, 1998

      21 Tabak, H. H., "Advances in biotreatment of acid mine drainage and biorecovery of metals: 1. Metal precipitation for recovery and recycle" 14 (14): 423-436, 2003

      22 Govind, R., "Advances in biotreatment of acid mine drainage and biorecovery of metals: 1. Metal precipitation for recovery and recycle" 14 (14): 423-436, 2003

      23 Wei, X., "Adsorption and precoat filtration studies of synthetic dye removal by acid mine drainage sludge" 133 (133): 633-640,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6-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 한국자원공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6-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 한국자원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7 0.19 0.278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