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남아시아 유학생의 음식 실천과 커뮤니티 양상 비교:서울대학교 인도네시아, 베트남 출신 유학생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Food Practice and Community formation of Southeast Asian Students:Focused on Indonesian and Vietnamese Stud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201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음식 실천은 국외 이주 커뮤니티 형성 및 유지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음식 및 커뮤니티 관련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왔던 대상인 유학생, 특히 국내에서 중국 출신 다음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유학생 중에서도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출신 유학생 커뮤니티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음식 실천이 유학생 커뮤니티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비교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인도네시아 유학생의 경우에는 종교적 요인에 따라 음식 실천에 제한이 있었지만 베트남 유학생은 한국음식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인도네시아 유학생은 음식 모임을 외부인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계기로 삼는 개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반면, 베트남 유학생의 음식 모임은 기존에 구축된 사회적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 그리고 그 의의가 소속감과 서로간의 유대 및 결속을 (재)확인하는 데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음식 실천은 각 커뮤니티의 지속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인도네시아 유학생 커뮤니티는 재학생 위주로 운영되는 단절성을 보인 반면, 베트남 유학생 커뮤니티는 시․공간을 뛰어넘는 지속성과 확장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특정 국가의 사회문화를 반영하는 음식의 실천이 이주 커뮤니티의 형성뿐만 아니라 지속 및 정착에도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으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유학생의 음식 실천 연구를 통해 기존의 이주와 음식, 동남아 관련 연구를 확장하는데 그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음식 실천은 국외 이주 커뮤니티 형성 및 유지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음식 및 커뮤니티 관련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왔던 대상인 유학생, 특히 국내에서 ...

      음식 실천은 국외 이주 커뮤니티 형성 및 유지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음식 및 커뮤니티 관련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왔던 대상인 유학생, 특히 국내에서 중국 출신 다음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유학생 중에서도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출신 유학생 커뮤니티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음식 실천이 유학생 커뮤니티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비교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인도네시아 유학생의 경우에는 종교적 요인에 따라 음식 실천에 제한이 있었지만 베트남 유학생은 한국음식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인도네시아 유학생은 음식 모임을 외부인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계기로 삼는 개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 반면, 베트남 유학생의 음식 모임은 기존에 구축된 사회적 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 그리고 그 의의가 소속감과 서로간의 유대 및 결속을 (재)확인하는 데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음식 실천은 각 커뮤니티의 지속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인도네시아 유학생 커뮤니티는 재학생 위주로 운영되는 단절성을 보인 반면, 베트남 유학생 커뮤니티는 시․공간을 뛰어넘는 지속성과 확장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특정 국가의 사회문화를 반영하는 음식의 실천이 이주 커뮤니티의 형성뿐만 아니라 지속 및 정착에도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으며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유학생의 음식 실천 연구를 통해 기존의 이주와 음식, 동남아 관련 연구를 확장하는데 그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경, "현대 한국의 이슬람 인식과 그 특징"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 "한국교육개발원 연도별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

      3 구양미, "한국 기업의 베트남 투자와 베트남의 산업구조 및 지역 변화" 대한지리학회 52 (52): 435-455, 2017

      4 최병두, "초국적 결혼이주가정의 음식 : 네트워크와 경계 넘기" 한국지역지리학회 23 (23): 1-22, 2017

      5 문상정, "중국유학생의 한식당 음식품질과 고객만족, 재방문의도에 관한 연구 - 한국음식 인지도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7 (27): 285-293, 2012

      6 하귀현,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조사" 12 : 131-, 2009

      7 허은실, "일부 중국 유학생에서 한국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 선호도 및 섭취 빈도와의 관련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6 (26): 216-225, 2013

      8 김형준,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소비문화 : 맛과 멋, 공간, 그리고 할랄" 진인진 2017

      9 윤영삼, "이주노동자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모국문화유지행동 - 모국문화유지행동의 긍정성에 관한 실증연구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2 (22): 165-186, 2015

      10 안진우,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국가별 비교연구: 중국, 베트남 유학생 비교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2018

      1 김민경, "현대 한국의 이슬람 인식과 그 특징"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 "한국교육개발원 연도별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

      3 구양미, "한국 기업의 베트남 투자와 베트남의 산업구조 및 지역 변화" 대한지리학회 52 (52): 435-455, 2017

      4 최병두, "초국적 결혼이주가정의 음식 : 네트워크와 경계 넘기" 한국지역지리학회 23 (23): 1-22, 2017

      5 문상정, "중국유학생의 한식당 음식품질과 고객만족, 재방문의도에 관한 연구 - 한국음식 인지도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7 (27): 285-293, 2012

      6 하귀현,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음식에 대한 인지도 및 기호도 조사" 12 : 131-, 2009

      7 허은실, "일부 중국 유학생에서 한국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인지도, 선호도 및 섭취 빈도와의 관련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6 (26): 216-225, 2013

      8 김형준,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소비문화 : 맛과 멋, 공간, 그리고 할랄" 진인진 2017

      9 윤영삼, "이주노동자의 심리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모국문화유지행동 - 모국문화유지행동의 긍정성에 관한 실증연구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2 (22): 165-186, 2015

      10 안진우,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국가별 비교연구: 중국, 베트남 유학생 비교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2018

      11 오명석, "외국인 학생의 대학 내 생활여건 개선에 관한 연구: 캠퍼스 내 할랄 음식 제공방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7

      12 김의수,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의 성과 분석에 대한 연구 : 인증대학과 미인증대학의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38 (38): 295-315, 2017

      13 이태정, "안산시 이주노동자의 문화생산활동과 문화적 공유지의 가능성" (16) : 211-227, 2019

      14 송경근, "아랍유학생이 한국에서 직면하는 문화적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글로벌문화학회 9 (9): 85-100, 2018

      15 "서울대학교 통계연보"

      16 홍경희, "부산지역 외국인 유학생의 국적에 따른 한국 식생활 적응도 및 대학급식소 이용행태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4 (34): 553-566, 2019

      17 응구엔띠란, "베트남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 실태 및 만족도 조사: 광주 전남 지역 베트남 유학생을 대상으로" 호남대학교 2017

      18 김미영,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어려움과 극복과정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4 (24): 481-503, 2018

      19 응웬 티 레나, "베트남 대학교의 한국어 및 한국학 교육 현황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2014

      20 서현정, "민족 정체성의 새로운 상징으로서의 레스토랑 음식 : 미국 보스턴의 이탈리안 타운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1 이희수, "무슬림 이주자들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이슬람 문화 실천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한국이슬람학회 23 (23): 85-110, 2013

      22 황병하, "무슬림 유학생들의 한국문화 수용에 관한 연구" 국제문화연구원 3 (3): 59-95, 2010

      23 박상미, "맛과 취향의 정체성과 경계 넘기:전지구화 과정 속의 음식문화"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7 (27): 54-70, 2003

      24 하귀현, "대전 지역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 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기호도" 한국식품영양학회 23 (23): 186-195, 2010

      25 김효진, "국제 결혼 이주여성의 모국음식 문화 공유와 전파" 56 : 25-48, 2010

      26 안정국, "국내 이주 무슬림의 현황과 문화적 갈등" 한국이슬람학회 22 (22): 25-57, 2012

      27 장안리, "국내 동남아시아계 유학생들이 인식하는 문제와 대응기제 방법: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와 임파워먼트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원 24 (24): 101-141, 2017

      28 이정숙,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음식문화 적응 경험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2 (22): 103-114, 2017

      29 정선옥,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및 식생활 관련 요인에따른 식생활 문화적응 유형의 차이"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2675-2689, 2015

      30 Hannerz, U., "‘The World in Creolization’ in Africa" 57 (57): 546-559, 1987

      31 Frost, N., "‘Strange People But They Sure Can Cook!’ An Indonesian Women’s Group in Sydney" 11 (11): 173-189, 2008

      32 Abbots, Emma Jayne, "‘It Doesn’t Taste as Good from the Pet Shop’; Guinea Pig Consumption and the Performance of Class and Kinship in Highland Ecuador and New York City" 14 (14): 205-224, 2011

      33 Gabaccia, Donna, "We are What We Eat : Ethnic Food and The Making of American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34 Butterworth, Douglas, "Two Small Groups: A Comparison of Migrants and Non-Migrants in Mexico City" 1 (1): 29-50, 1972

      35 Ben-Ze’ev, E., "The Politics of Food" Berg 141-160, 2004

      36 Ray, K., "The Migrant's Table: Meals and Memories in Bengali-American Household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4

      37 Ritzer, George, "The McDonaldization of Society" Pine Forge Press 1993

      38 Vasco, C., "The Impact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Remittances on Agricultural Production Patterns, Labor Relationships and Entrepreneurship: The Case of Rural Ecuador" Kassell University Press 2011

      39 Carsten, Janet, "The Heat of the Hearth: The Process of Kinship in a Malay Fishing Community" Clarendon Press 1997

      40 Abbots, Emma Jayne, "The Handbook of Food and Anthropology" Bloomsbury 115-132, 2016

      41 Abbots, Emma Jayne, "The Celebratory and the Everyday: Guinea Pigs, Hamburgers and the Performance of Food Heritage in Highland Ecuador" Prospect Books 12-23, 2012

      42 Sutton, D., "Remembrance of Repasts: An Anthropology of Food and Memory" Berg 2001

      43 Saber, G., "Remembering the Past and Constructing the Future over a Communal Plate" 16 (16): 197-222, 2013

      44 Charon Cardona, E.T., "Re-encountering Cuban Tastes in Australia" 15 (15): 40-53, 2004

      45 Pilcher, J. M., "Que Vivan Los Tamales!: Food and the Making of Mexican Identity"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998

      46 J. Prescott, "Motives for Food Choice: A Comparison of Consumers From Japan, Taiwan, Malaysia and New Zealand" 13 (13): 489-495, 2002

      47 Wu, Hsiao-ping, "International Student’s Challenge and Adjustment to College" 2015 : 1-9, 2015

      48 Durand, J., "International Migration and Development in Mexican Communities" 33 (33): 249-264, 1996

      49 Abbots, Emma Jayne, "In the Absence of Men? Gender, Migration and Domestic Labour in the Southern Ecuadorean Andes" 44 (44): 71-96, 2012

      50 Diner, H. R., "Hungering for America: Italian, Irish and Jewish Foodways in the Age of Migr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51 Caplan, P., "Food, Health and Identity" Routledge 1-31, 1997

      52 Weismantel, Mary J., "Food, Gender and Poverty in the Ecuadorian And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8

      53 Harbottle, L., "Food for Health, Food for Wealth: The Performance of Ethnic and Gender Identities by Iranian Settlers in Britain" Berghahn Books 2000

      54 Counihan, C.M., "Food and Gender: Identity and Power" Harwood 1998

      55 Corcoran, Nova, "Exploring International Students’ Food Choices Using Photovoice Techniques" 8 (8): 175-193, 2018

      56 Tuomainen, H.M., "Ethnic Identity, (Post) Colonialism and Foodways: Ghanaians in London" 12 (12): 525-554, 2011

      57 Beyers, L., "Creating Home: Food, Ethnicity and Gender among Italians in Belgium since 1946" 11 (11): 7-27, 2008

      58 Audrey A. Spindler, "Comparison of dietary variety and ethnic food consumption among Chinese, Chinese-American, and white American women" 13 : 64-73, 1996

      59 Lijun Wang, "Comparison of Dietary Habits Between Migrant and Local Adolescents in Shenzhen, China" 20 (20): 624-631, 2011

      60 Jamal, A., "Acculturation: The Symbolism of Ethnic Eating among Contemporary British Consumers" 98 (98): 12-26, 1996

      61 Zi Yan, "Acculturation and health behavior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A qualitative approach" 18 : 58-63, 2016

      62 Brown, Lorraine, "A taste of the unfamiliar. Understanding the meanings attached to food by international postgraduate students in England" 54 (54): 202-20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2 0.812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