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티초크 유산균 발효물의 발효 전후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535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티초크 추출물과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물을 제조하고 발효 전후의 pH, 산도, 항산화 효능 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아티초크 분쇄 분말과 건조된 아티초크 꽃 차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아티초크 발효물의 pH 측정값은 발효 후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분쇄 분말의 pH 중에서 L. plantarum 로 발효한 것이 3.34±0.01에서 2.80±0.01로 감소하여 가장 낮은 pH를 나타냈다. 산도 측정값은 발효 후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분쇄 분말의 산도 중에서 L. plantarum 로 발효한 것이 0.81±0.00 %에서 1.71±0.00 %로 가장 높았다. Folin-Denis법을 변형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GAE/g)을 측정한 결과 발효를 통해 분쇄 분말 72.10±0.30 ㎎ GAE/g에서 18.8 % 까지 증가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AEAC/g)은 발효를 통해 분쇄 분말 39.34±0.38 ㎎ AEAC/g에서 51.3 % 까지 증가하였다. 전체 조건에서 분쇄 분말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이 최댓값을 나타냈다. L. plantarum 발효물에서 L. fermentum 과 P. pentosaceus 에 비해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이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과 식품 산업의 천연물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티초크 추출물과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물을 제조하고 발효 전후의 pH, 산도, 항산화 효능 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아티초크 분쇄 분말과 건조...

      본 연구는 아티초크 추출물과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물을 제조하고 발효 전후의 pH, 산도, 항산화 효능 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아티초크 분쇄 분말과 건조된 아티초크 꽃 차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아티초크 발효물의 pH 측정값은 발효 후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분쇄 분말의 pH 중에서 L. plantarum 로 발효한 것이 3.34±0.01에서 2.80±0.01로 감소하여 가장 낮은 pH를 나타냈다. 산도 측정값은 발효 후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분쇄 분말의 산도 중에서 L. plantarum 로 발효한 것이 0.81±0.00 %에서 1.71±0.00 %로 가장 높았다. Folin-Denis법을 변형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GAE/g)을 측정한 결과 발효를 통해 분쇄 분말 72.10±0.30 ㎎ GAE/g에서 18.8 % 까지 증가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AEAC/g)은 발효를 통해 분쇄 분말 39.34±0.38 ㎎ AEAC/g에서 51.3 % 까지 증가하였다. 전체 조건에서 분쇄 분말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이 최댓값을 나타냈다. L. plantarum 발효물에서 L. fermentum 과 P. pentosaceus 에 비해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이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과 식품 산업의 천연물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using artichoke extracts and lactobacillus. The purpose was to analyze pH, acidity, and antioxidant efficacy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The material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ground artichoke powder and dried artichoke flower tea. The pH of the artichoke fermented products decreased after fermentation, and the pH of the Crushing powder, fermented with L. plantarum, decreased from 3.34±0.01 to 2.80±0.01, showing the lowest pH among the samples. Acid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overall after fermentation, and among the samples, the acidity of the pulverized powder, fermented with L. plantarum was the highest, increasing from 0.81±0.00 % to 1.71±0.00 %.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ssayed by the modified Folin-Denis method was increased in Crushing powder by fermentation to 18.8 % (72.10±0.30 ㎎ GAE/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Crushing powder was increased by fermentation to 51.3 % (39.34±0.38 ㎎ AEAC/g). Under all condition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rushing powder showed the highest values. Fermentation with increased amounts of L. plantarum showed lower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L. plantarum and P. pentosaceus. For statistical processing, Although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is valuable as a natural product material for the functional cosmetics and food industries.
      번역하기

      In this study,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using artichoke extracts and lactobacillus. The purpose was to analyze pH, acidity, and antioxidant efficacy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The material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ground artichoke powder a...

      In this study,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using artichoke extracts and lactobacillus. The purpose was to analyze pH, acidity, and antioxidant efficacy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The material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ground artichoke powder and dried artichoke flower tea. The pH of the artichoke fermented products decreased after fermentation, and the pH of the Crushing powder, fermented with L. plantarum, decreased from 3.34±0.01 to 2.80±0.01, showing the lowest pH among the samples. Acid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overall after fermentation, and among the samples, the acidity of the pulverized powder, fermented with L. plantarum was the highest, increasing from 0.81±0.00 % to 1.71±0.00 %.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ssayed by the modified Folin-Denis method was increased in Crushing powder by fermentation to 18.8 % (72.10±0.30 ㎎ GAE/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Crushing powder was increased by fermentation to 51.3 % (39.34±0.38 ㎎ AEAC/g). Under all condition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rushing powder showed the highest values. Fermentation with increased amounts of L. plantarum showed lower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L. plantarum and P. pentosaceus. For statistical processing, Although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is valuable as a natural product material for the functional cosmetics and food indust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재료 및 방법
      • 3. 결과 및 고찰
      • 4.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기철, "제주지역에서의 무가온 하우스재배에 적합한 아티초크 품종 선발"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7 (17): 293-296, 2008

      2 이준형, "유산균을 이용한 흰목이 버섯의 발효를 통한 항비만과 항당뇨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9 (29): 470-477, 2019

      3 하지혜, "유산균 발효를 통한 매자나무 수피부의 항산화 활성 증진" 한국약용작물학회 18 (18): 421-428, 2010

      4 임미정, "유산균 발효 홍화 추출물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4 (24): 24-32, 2019

      5 유인식, "보리새싹 함유 녹즙의 항산화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248-253, 2017

      6 양수진, "배양시간에 따른 퀴노아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1 (21): 188-196, 2016

      7 박미란, "발효천마의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 및 라디칼 소거능" 한국자원식물학회 25 (25): 379-386, 2012

      8 윤여초, "대마씨 발효 추출물의 생리 활성 및 미백 활성 검증" 한국생명과학회 28 (28): 688-696, 2018

      9 M. J. Rob Nout, "Rich nutrition from the poorest –Cereal fermentations in Africa and Asia" 26 (26): 685-692, 2009

      10 P. R. Marteau, "Protection from gastrointestinal diseases with the use of probiotics" 73 (73): 430-436, 2001

      1 성기철, "제주지역에서의 무가온 하우스재배에 적합한 아티초크 품종 선발"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7 (17): 293-296, 2008

      2 이준형, "유산균을 이용한 흰목이 버섯의 발효를 통한 항비만과 항당뇨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9 (29): 470-477, 2019

      3 하지혜, "유산균 발효를 통한 매자나무 수피부의 항산화 활성 증진" 한국약용작물학회 18 (18): 421-428, 2010

      4 임미정, "유산균 발효 홍화 추출물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4 (24): 24-32, 2019

      5 유인식, "보리새싹 함유 녹즙의 항산화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248-253, 2017

      6 양수진, "배양시간에 따른 퀴노아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1 (21): 188-196, 2016

      7 박미란, "발효천마의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 및 라디칼 소거능" 한국자원식물학회 25 (25): 379-386, 2012

      8 윤여초, "대마씨 발효 추출물의 생리 활성 및 미백 활성 검증" 한국생명과학회 28 (28): 688-696, 2018

      9 M. J. Rob Nout, "Rich nutrition from the poorest –Cereal fermentations in Africa and Asia" 26 (26): 685-692, 2009

      10 P. R. Marteau, "Protection from gastrointestinal diseases with the use of probiotics" 73 (73): 430-436, 2001

      11 S. Parvez, "Probiotics and their fermented food products are beneficial for health" 100 (100): 1171-1185, 2006

      12 X. Zhu,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f extract of artichoke(Cynara scolymus L.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52 (52): 7272-7278, 2004

      13 G. H. Kim,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preservationof fruit and vegetables" 6 : 245-254, 1999

      14 Z. A. El Ghany, "Evalu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Gas Chromatography Analysis and Antioxidant Efficacy of Artichoke(Cynara scolymus L. )" 8 : 265-280, 2017

      15 Z. Sun, "Cynarin-Rich Sunflower(Helianthus annuus)Sprouts Possess Both Antiglycat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60 (60): 2060-3265, 2012

      16 Y. T. Ahn, "Current state of functional yogurt in Korea" 24 (24): 29-42, 2006

      17 R. Tsao,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dietary polyphenols" 2 : 1231-1246, 2010

      18 S. A. El Sohaimy,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otential of Artichoke" 7 : 15-20, 2014

      19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199-1200, 1958

      20 S. E. Lee, "Antioxidant activity of Ulmus davidiana var. Jiponica N and Hemipteleae davidii P" 12 : 321-327,

      21 O. Folin,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enols (and phenol derivatives) in urine" 22 : 305-308, 19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