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 골프선수의 동기 분위기와 코치-선수관계 및 운동성과의 관계 =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al Atmosphere, Coach-Athlete Relations, and Athletic Performance of Adolescent Golf Play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17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al atmosphere, coach-athlete relations, and athletic performance of adolescent golf players. In order to achieve this, a sample of 250 drawn out of the Adolescent golf players from the Seoul, Gyeonggim and Incheon area was selected as a population. Data acquired from 15 player were excluded due to inconsistency in their responses. Therefore, the data of 235 player was used for a final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itive atmospher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oach-athlete relations. Second, the skillful atmosphe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Third,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hletic performanc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ompetitive atmosphe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hletic performance. Fifth, the skill atmosphere did no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thletic performa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al atmosphere, coach-athlete relations, and athletic performance of adolescent golf players. In order to achieve this, a sample of 250 drawn out of the Adolescent golf play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al atmosphere, coach-athlete relations, and athletic performance of adolescent golf players. In order to achieve this, a sample of 250 drawn out of the Adolescent golf players from the Seoul, Gyeonggim and Incheon area was selected as a population. Data acquired from 15 player were excluded due to inconsistency in their responses. Therefore, the data of 235 player was used for a final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itive atmospher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oach-athlete relations. Second, the skillful atmosphe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Third,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hletic performanc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ompetitive atmosphe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hletic performance. Fifth, the skill atmosphere did no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thletic perform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골프선수들이 지각한 동기 분위기와 코치-선수관계 및 운동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골프연습장에서 훈련을 실시하는 중·고등학교 골프선수 250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5부를 제외하고 총 235부의 자료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쟁분위기는 코치-선수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숙련분위기는 코치-선수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치-선수관계는 운동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쟁분위기는 운동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숙련분위기는 운동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골프선수들이 지각한 동기 분위기와 코치-선수관계 및 운동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골프연습장에서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골프선수들이 지각한 동기 분위기와 코치-선수관계 및 운동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골프연습장에서 훈련을 실시하는 중·고등학교 골프선수 250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5부를 제외하고 총 235부의 자료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쟁분위기는 코치-선수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숙련분위기는 코치-선수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치-선수관계는 운동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쟁분위기는 운동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숙련분위기는 운동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형, "한국판 코치-운동선수 관계 척도의 구조적 타당화" 한국체육학회 47 (47): 219-233, 2008

      2 정영준, "코칭언어와 중·고등학교 태권도 품새선수의 운동중도탈락의 관계: 코치-선수관계의 매개효과" 대한무도학회 22 (22): 133-145, 2020

      3 박정호, "초등학생 테니스 선수-지도자 행동부합과 운동지속의 관계: 내적동기의 매개효과검증" 한국초등체육학회 25 (25): 203-215, 2020

      4 김준현, "체육고등학교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열정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441-454, 2015

      5 유진, "체육 성취목표지향성과 동기분위기지각이 내적동기와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 12 (12): 109-123, 2001

      6 김성일, "청소년 축구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 코칭지식과 코치-운동선수 관계 및 집단효능감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3 (23): 975-988, 2014

      7 허정훈,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동기분위기, 재미 및 운동 몰입 간의 인과관계 검증: 재미의 매개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2 (22): 69-82, 2011

      8 최헌혁, "청소년 운동선수가 지각한 코치-선수관계, 스포츠 분노, 그리고 공격행동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8 (58): 83-96, 2019

      9 정성운, "지도자 리더십 유형이 주니어 골프선수의 교육만족도 및 기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9 (9): 69-78, 2014

      10 김남식, "중학교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 훈련동기분위기 및 경쟁상태불안의 관계" 학교체육연구소 8 (8): 55-66, 2020

      1 김기형, "한국판 코치-운동선수 관계 척도의 구조적 타당화" 한국체육학회 47 (47): 219-233, 2008

      2 정영준, "코칭언어와 중·고등학교 태권도 품새선수의 운동중도탈락의 관계: 코치-선수관계의 매개효과" 대한무도학회 22 (22): 133-145, 2020

      3 박정호, "초등학생 테니스 선수-지도자 행동부합과 운동지속의 관계: 내적동기의 매개효과검증" 한국초등체육학회 25 (25): 203-215, 2020

      4 김준현, "체육고등학교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열정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441-454, 2015

      5 유진, "체육 성취목표지향성과 동기분위기지각이 내적동기와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 12 (12): 109-123, 2001

      6 김성일, "청소년 축구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 코칭지식과 코치-운동선수 관계 및 집단효능감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3 (23): 975-988, 2014

      7 허정훈,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동기분위기, 재미 및 운동 몰입 간의 인과관계 검증: 재미의 매개효과"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2 (22): 69-82, 2011

      8 최헌혁, "청소년 운동선수가 지각한 코치-선수관계, 스포츠 분노, 그리고 공격행동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8 (58): 83-96, 2019

      9 정성운, "지도자 리더십 유형이 주니어 골프선수의 교육만족도 및 기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9 (9): 69-78, 2014

      10 김남식, "중학교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 훈련동기분위기 및 경쟁상태불안의 관계" 학교체육연구소 8 (8): 55-66, 2020

      11 심영균, "중·고등학교 태권도선수의 선수스트레스와 반사회적 스포츠행동 및 사회적 비행행동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15 (15): 11-21, 2020

      12 구경주, "중·고등학교 축구선수가 지각하는 지도자 선수상호작용이 팀응집력과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4 (24): 95-111, 2015

      13 유정인, "중·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코치-선수관계가 심리적 욕구 및 운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79-93, 2012

      14 한연숙, "중·고등학교 기계체조 선수들이 지각하는 통제적 코칭행동이 동기분위기 및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7 (27): 457-469, 2018

      15 강동균, "조정선수의 또래집단 동기분위기와 집단응집력 및 운동수행능력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 18 (18): 965-975, 2020

      16 심영균, "장애인스포츠지도자의 자존감과 자기관리 및 교육적 자질의 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 28 (28): 41-53, 2020

      17 김병식, "인지된 지도행동유형과 지도자-선수 교환관계의 질 및 선수의 운동성과 간의 관계" 31 (31): 11-23, 2014

      18 남광우, "유도선수의 지도자 신뢰와 운동행동의 관계:지도자-선수 관계의 매개효과" 대한무도학회 18 (18): 67-79, 2016

      19 엄성호, "우수 양궁선수의 시합집중을 위한 인지행동 전략"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4 (14): 51-68, 2003

      20 정영수, "엘리트 투기종목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동기분위기 지각,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15 (15): 23-34, 2020

      21 이기철, "스포츠 집단의 조직문화와 리더십 유형 및 효과성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12 (12): 585-594, 1999

      22 허정훈, "수업 분위기 지각이 유능감과 내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8

      23 허정훈, "성취목표 지향성과 자기관리의 관계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15 (15): 127-135, 2004

      24 오현택, "선수와 코치의 수직적 권력 관계 형성에 대한 고찰" 한국스포츠인류학회 14 (14): 117-134, 2019

      25 정창순, "근대5종 선수의 지도자-선수 관계와 자기효능감 및 운동성과의 관계" 체육과학연구소 38 (38): 21-32, 2020

      26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27 최봉암, "골프코치와 선수관계 심리욕구 및 경기력 결정 심리요인 관계검증" 한국체육과학회 24 (24): 341-352, 2015

      28 이현, "골프참여자의 내기성향, 운동몰입, 심리적 안녕의 인과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65) : 359-371, 2016

      29 김대훈, "골프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 몰입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골프학회 7 (7): 56-65, 2013

      30 최재일, "골프 지도자의 코칭행동 유형과 지도효율성 및 참여만족의 구조적 관계 검증" 한국골프학회 7 (7): 11-21, 2013

      31 최시원, "고등학교 축구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역량과 지도자신뢰 및 운동성과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9 (59): 207-219, 2020

      32 소영호,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코치-선수관계와 운동열정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5 (55): 105-115, 2016

      33 김학환, "경로-목표이론을 적용한 태권도지도자의 리더십유형, 운동기대감, 운동성과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9 (59): 265-281, 2020

      34 Seifrize, J.,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to achivement related effect and conditions in basketball" 14 (14): 375-391, 1992

      35 Olympiou, A., "The psychological interface between the coach-created motivational climate and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in team sports" 22 (22): 423-438, 2008

      36 Walling, M. D., "The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in sport questionnaire :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y" 15 (15): 172-183, 1993

      37 Jowett, S.,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questionnaire :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14 (14): 245-257, 2004

      38 Taylor, I. M., "Teacher motivational strategies and student self-determination in physical education" 99 (99): 747-, 2007

      39 Rottensteiner, C., "Sustained participation in youth sports related to coach-athlete relationship and coach-created motivational climate" 2 (2): 29-38, 2015

      40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Publications 56-75, 1995

      41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103): 411-, 1988

      42 Duda, J. L., "Social Psychology in Sport" Human Kinetics 2007

      43 Jowett, S., "Social Psychology in Sport" Human Kinetics 3-14, 2007

      44 White, S. A., "Social Psychology in Sport" Human Kinetics 131-143, 2007

      45 Kuczka, K. K., "Self-handicapping in competitive sport : Influence of the motivational climate, self-efficacy, and perceived importance" 6 (6): 539-550, 2005

      46 김계수, "SPSS 아카데미" 한나래 2004

      47 Lafreniere, M. A. K., "Passion in sport : On the quality of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30 (30): 541-560, 2008

      48 Ntoumanis, N., "Motivational clusters in a sample of British physical education classes" 3 (3): 177-194, 2002

      49 Spray, C., "Motivational climate and perceived strategies to sustain pupilsí discipline in physical education" 8 (8): 5-20, 2002

      50 Jowett, S., "Effective coaching: The links between coach leadership and coach-athlete relationship —From theory to research to practice" 2019

      51 Fiedler, F. E., "Correlates of performance in community collage technical report" University of Washington 1973

      52 Nicholls, A. R., "Committed relationships and enhanced threat levels : perceptions of coach behavior,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stress appraisals, and coping among athletes" 11 (11): 16-26, 2016

      53 Ames, C., "Classrooms :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84 (84): 261-271, 1992

      54 Keegan, R. J., "A qualitative investigation exploring the motivational climate in early career sports participants : Coach, parent and peer influences on sport motivation" 10 (10): 361-372, 2009

      55 나연준, "'세리 키즈' 박인비, 박세리가 보유한 한국인 LPGA 최다 승 기록 넘본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