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약 이름의 상품 사용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연구: 인터넷 사용자의 태도 및 행동을 중심으로 =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Using a Product Prefixed with “Drug-”: Focused on Attitudes and Behaviors of Internet Us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1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ttitudes and behavioral experiences of Internet users towards the use of products with drug label that are popular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feelings toward drug label products (affective attitude), the influence of drug label on product purchase (behavioral attitude), and beliefs about the need for drug label sanctions (cognitive attitude) affect actual purchase. For data collec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August 2020, and a total of 200 copies were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21.0.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demographic facto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ge group’s experience of using drug label products,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ies of those in their 20s and 30s were .006 and .006, respectively. Second, the emotional attitude, which is the feeling given by the brand name with drug label,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produc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aid the name of the drug gave them uncomfortable feeling, but this attitude did not affect the experience of using the product. Third, the behavioral attitude that drug labels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purchas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product(p<.036). In the group that responded that the drug label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purchase, this behavioral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in the use of product. Fourth, the cognitive attitude toward the need of drug label sanctio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product. Although opinions for and against drug-label sanctions were mixed, this cognitive attitude did not affect the experience of using the product.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ttitudes and behavioral experiences of Internet users towards the use of products with drug label that are popular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feelings toward drug label products (affective attitude), th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ttitudes and behavioral experiences of Internet users towards the use of products with drug label that are popular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feelings toward drug label products (affective attitude), the influence of drug label on product purchase (behavioral attitude), and beliefs about the need for drug label sanctions (cognitive attitude) affect actual purchase. For data collec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August 2020, and a total of 200 copies were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21.0.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demographic facto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ge group’s experience of using drug label products, and the significance probabilities of those in their 20s and 30s were .006 and .006, respectively. Second, the emotional attitude, which is the feeling given by the brand name with drug label,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produc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aid the name of the drug gave them uncomfortable feeling, but this attitude did not affect the experience of using the product. Third, the behavioral attitude that drug labels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purchase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product(p<.036). In the group that responded that the drug label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purchase, this behavioral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in the use of product. Fourth, the cognitive attitude toward the need of drug label sanctio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product. Although opinions for and against drug-label sanctions were mixed, this cognitive attitude did not affect the experience of using the produ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의 태도 및 행동 경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약 이름의 상품명이 주는 느낌인 ‘정서적 태도’, 마약 이름이 상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인 ‘행동적 태도’, 마약 상표등록 제재 필요성에 대한 신념인 ‘인지적 태도’가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 경험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은 2020년 8월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구학적 요인으로, 연령대는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 경험에 차이가 있는데, 20대와 30대의 유의확률이 각각 .006과 .00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마약 이름의 상품명이 주는 느낌인 정서적 태도는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 경험에 유의한 차이를 미치지 않았다. 마약 이름이 부담스러운 느낌을 준다는 응답이 과반을 훨씬 초과하였으나, 이러한 정서적 태도가 상품사용 경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마약 이름이 상품 구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행동적 태도는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 경험에 유의한 차이를 미쳤다(.036). 마약 이름이 상품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이러한 행동적 태도는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 경험에 유의한 정적 차이가 있었다. 넷째, 마약 상표등록 제재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적 태도는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 경험에 유의한 차이를 미치지 않았다. 마약 상표등록 제재 필요성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가 엇비슷하였으나, 이러한 인지적 태도가 상품사용 경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의 태도 및 행동 경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약 이름의 상품명이 주는 느낌인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의 태도 및 행동 경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약 이름의 상품명이 주는 느낌인 ‘정서적 태도’, 마약 이름이 상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인 ‘행동적 태도’, 마약 상표등록 제재 필요성에 대한 신념인 ‘인지적 태도’가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 경험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자료수집은 2020년 8월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구학적 요인으로, 연령대는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 경험에 차이가 있는데, 20대와 30대의 유의확률이 각각 .006과 .00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마약 이름의 상품명이 주는 느낌인 정서적 태도는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 경험에 유의한 차이를 미치지 않았다. 마약 이름이 부담스러운 느낌을 준다는 응답이 과반을 훨씬 초과하였으나, 이러한 정서적 태도가 상품사용 경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마약 이름이 상품 구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행동적 태도는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 경험에 유의한 차이를 미쳤다(.036). 마약 이름이 상품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이러한 행동적 태도는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 경험에 유의한 정적 차이가 있었다. 넷째, 마약 상표등록 제재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적 태도는 마약 이름의 상품사용 경험에 유의한 차이를 미치지 않았다. 마약 상표등록 제재 필요성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가 엇비슷하였으나, 이러한 인지적 태도가 상품사용 경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경제, "하정우, 재벌들과 프로포폴? “묵묵부답”"

      2 이은경, "중독을 유발하는 사회와 교육 그리고 치유 가능성에 대한 탐구 - 클리어 지침과 영성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66) : 441-472, 2019

      3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21" 한빛아카데미 2014

      4 서울이코노미뉴스, "이부진 이어 이재용도 프로포폴 상습 투약 의혹...“삼성가 왜 이러나”"

      5 의학신문, "식품·생활용품 ‘마약 용어’ 사용, 단속근거 없어"

      6 윤혜령, "빅 데이터를 활용한 마약유통 인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7 YTN, "방송인 로버트 할리, ‘마약’ 혐의 긴급 체포"

      8 의학신문, "마퇴본부, ‘마약김밥’ 등 마약용어 확산 막는다"

      9 국가법령정보센터,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10 "마약 퇴치 운동에 함께 참여해요!"

      1 한국경제, "하정우, 재벌들과 프로포폴? “묵묵부답”"

      2 이은경, "중독을 유발하는 사회와 교육 그리고 치유 가능성에 대한 탐구 - 클리어 지침과 영성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실천신학회 (66) : 441-472, 2019

      3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21" 한빛아카데미 2014

      4 서울이코노미뉴스, "이부진 이어 이재용도 프로포폴 상습 투약 의혹...“삼성가 왜 이러나”"

      5 의학신문, "식품·생활용품 ‘마약 용어’ 사용, 단속근거 없어"

      6 윤혜령, "빅 데이터를 활용한 마약유통 인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7 YTN, "방송인 로버트 할리, ‘마약’ 혐의 긴급 체포"

      8 의학신문, "마퇴본부, ‘마약김밥’ 등 마약용어 확산 막는다"

      9 국가법령정보센터,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10 "마약 퇴치 운동에 함께 참여해요!"

      11 Daum, "마약"

      12 심인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성인학습자의 문화예술교육 참여요인 탐색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5 (15): 27-49, 2020

      13 스포츠조선, "[SC이슈] 황하나 마약→자해→4억 외제차 도난 주장→“ NO해명” SNS 비공개 전환"

      14 Ajzen, I.,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Prentice-Hall 1980

      15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50): 179-211, 1991

      16 Dijksterhuis, A., "The perception-behavior expressway : Automatic effects of social perception on social behavior" 33 : 1-40, 2001

      17 Eagly, A. H., "The Psychology of Attitudes"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s 1993

      18 Fabrigar, L. R., "The Handbook of Attitudes"

      19 van Harreveld, F., "The ABC of ambivalence :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consequences of attitudinal conflict" 52 : 285-324, 2015

      20 Katz, D., "Psychology: A Study of a Science: Vol. 3 Formulations of the Person and the Social Context" McGraw-Hill 423-475, 1959

      21 Fishbein, M., "Predicting and changing behavior. The Reasoned Action Approach" Psychology Press 2010

      22 WHO, "Lexicon of Alcohol and Drug Terms Publish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23 Conner, M., "Health behavior : Current issues and challenges" 32 (32): 895-906, 2017

      24 Lawton, R., "Desire or reason : Predicting health behaviors from affective and cognitive attitudes" 28 (28): 56-65, 2009

      25 Conner, M., "Comprehensive Clinical Psychology" Elsevier Science Ltd 1998

      26 서울경제, "CJ그룹 장남 이선호 반입하려던 ‘변종마약’ 다른 재벌 3세 것과 동일"

      27 Fishbein, M.,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Inc 1975

      28 Rosenberg, M. J., "Attitude Organization and Change: An Analysis of Consistency among Attitude Components" Yale University Press 1-14, 1960

      29 Ajzen, I.,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leisure choice" 24 : 207-244, 1992

      30 파이낸셜뉴스, "60년 만에 대마 합법화 열려...UN 마약위원회 ‘마약목록 삭제’"

      31 iEduNote, "3 Components of Attitud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