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종엽, "헬스케어 모바일 앱 활성화 정책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24 (24): 517-532, 2021
2 황현숙, "치매환자의 보호를 위한 스마트 앱 개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6 (16): 1089-1097, 2013
3 김정희, "치매환자 부양가족의 임파워먼트 관련 요인" 5 (5): 37-60, 2013
4 홍정민, "치매와 경도인지 장애에 대한 고찰" 10 (10): 25-30, 2012
5 김석선, "치매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국내문헌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89-98, 2018
6 피수영, "치매예방을 위한 헬스케어 알리미 앱 설계 및 구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59-67, 2018
7 이지희, "치매예방 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비교정부학회 20 (20): 89-117, 2016
8 한정순, "치매에 대한 인식과 태도와의 관계"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5
9 오희, "치매노인 주 부양가족의 건강상태, 부양부담감 및 삶의 질 연구" 정신간호학회 18 (18): 157-166, 2009
10 김소윤, "치매노인 가족 지지프로그램이 치매가족의 임파워먼트와 치매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103-114, 2019
1 김종엽, "헬스케어 모바일 앱 활성화 정책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24 (24): 517-532, 2021
2 황현숙, "치매환자의 보호를 위한 스마트 앱 개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6 (16): 1089-1097, 2013
3 김정희, "치매환자 부양가족의 임파워먼트 관련 요인" 5 (5): 37-60, 2013
4 홍정민, "치매와 경도인지 장애에 대한 고찰" 10 (10): 25-30, 2012
5 김석선, "치매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국내문헌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89-98, 2018
6 피수영, "치매예방을 위한 헬스케어 알리미 앱 설계 및 구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59-67, 2018
7 이지희, "치매예방 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비교정부학회 20 (20): 89-117, 2016
8 한정순, "치매에 대한 인식과 태도와의 관계"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05
9 오희, "치매노인 주 부양가족의 건강상태, 부양부담감 및 삶의 질 연구" 정신간호학회 18 (18): 157-166, 2009
10 김소윤, "치매노인 가족 지지프로그램이 치매가족의 임파워먼트와 치매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103-114, 2019
11 김을순, "치매 위험요인이 중년후기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7
12 정영호, "치매 위험요인 기여도 분석과 치매 관리 방안 모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13 윤여경, "치매 예방을 위한 기능성 모바일 게임 앱 디자인기획"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52) : 47-57, 2018
14 고숙자,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치매의 사회적부담과 예방 및 관리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15 양명환, "직장인들의 운동 참여동기, 참여수준 및 지속의도간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8 (8): 197-215, 2004
16 김미경, "지역사회 중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치매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9
17 선우홍미, "지역사회 노인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4
18 이미라,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383-391, 2019
19 박미정, "중장년층의 치매관련 태도와 치매예방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653-663, 2018
20 김혜정, "중년층의 치매지식, 태도 및 치매예방교육 요구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245-253, 2020
21 송영희, "중년의 치매에 관한 인식과 태도 : 사ㆍ오십대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2003
22 이주영, "중년 성인의 치매관련 지식과 낙관적 편견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대학원 2019
23 하준선, "정신장애인가족의 임파워먼트와 자기옹호 증진을위한 프로그램의 효과" 11 (11): 73-83, 2008
24 박종진, "정신건강 관리용 모바일 헬스케어 앱 개발 -분노 관리를 중심으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4 (14): 13-18, 2014
25 이영휘, "저소득층 중년여성의 치매 지식, 태도, 자기효능과 예방행위와의 관계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1 (21): 617-627, 2009
26 이인자, "일반노인의 치매지식정도 조사연구"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27 오수학, "운동지속수행 검사지의구인타당화" 2 (2): 39-52, 2000
28 유선욱, "신종플루 메시지에 대한 심리적 반발과 공포감이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4 (54): 27-53, 2010
29 이진욱, "스마트폰의 건강 어플리케이션 현황분석" 210-211, 2010
30 왕보람, "스마트폰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수용을 위한 주요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96-404, 2011
31 조인호,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의 성장과 기회" kt 경제경영연구소 2015
32 양희원, "소비자의 스마트폰 사용행태 분석과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및 사용의도에 대한 연구"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33 "보건복지부"
34 김영욱, "미세먼지 어플리케이션 이용 효과 및 수용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PR학회 21 (21): 114-142, 2017
35 정주연, "모바일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근거이론방법을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53 : 351-365, 2015
36 민성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직장내 검진결과, 식단 및 운동량 모니터링이 직원들의 체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일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59-568, 2018
37 박현상, "만성질환자 자가관리를 위한 국제표준 프로토콜 기반 다중 에이전트 모바일 헬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38 정용각, "레저스포츠 참가자의 기본적 심리욕구만족, 참여동기 및 지속의도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4) : 1591-1604, 2008
39 강광순, "대학생을 위한 정신건강 자가관리 어플리케이션 개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 (13): 25-34, 2019
40 남혜원, "대학생들의 다이어트와 식생활관련 모바일 앱 활용과 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31-241, 2018
41 박금옥, "단축형 당뇨병 임파워먼트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기본간호학회 24 (24): 296-303, 2017
42 최용석, "뉴실버 세대의 운동 참여동기와 플로우(Flow)경험, 참여만족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 : ‘어르신검도교실’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3 (23): 16-30, 2018
43 최원희, "노인들의 치매예방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동서간호학연구소 25 (25): 138-146, 2019
44 안순태, "노인들의 건강 관련 모바일 앱 수용에 관한 연구: 임파워먼트의 역할" 한국PR학회 22 (22): 53-74, 2018
4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노인 10명당 1명이 치매, 치매 예방필수입니다"
46 김량영, "골프 동호인의 참여동기와 재미, 스트레스 및 운동지속성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47 조성은, "결핵예방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공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한국PR학회 16 (16): 148-177, 2012
48 송채훈, "건강증진운동이 노인여성의 알츠하이머 치매관련인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7 (27): 1219-1228, 2018
49 서효정, "건강 어플리케이션 이용현황 및 지속적 사용요인 - 서울대학교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10 (10): 19-27, 2015
50 기현수, "건강 관련 어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성별과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51 방현령, "가정봉사원의 치매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52 보건복지부, "“치매, 안심하세요. 이제 국가가 책임집니다!” 1대1 맞춤형 상담·사례관리부터 치료지원까지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계획 발표"
53 문화체육관광부, "[100세 시대, 치매 바로 알기] ⑧ 치매의 예방부터 관리까지…‘치매안심센터’"
54 Chorong Park,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Health Empowerment Scale (K-HES) for Older Adults" 한국간호과학회 7 (7): 142-148, 2013
55 Eyles, H., "Using mobile technology to support lower-salt food choices for people with cardiovascular disease : Protocol for the SaltSwitch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4 (14): 950-, 2014
56 Menon, S. T., "Toward a model of psychological health empowerment : implications for health care in multicultural communities" 22 (22): 28-39, 2002
57 Hingle, M., "There are thousands of apps for that : navigating mobile technology for nutrition education and behavior" 48 (48): 213-218, 2016
58 Anderson, R. M., "The diabetes empowerment scale-short form(DES-SF)" 26 (26): 1641-1642, 2003
59 WHO, "Risk reduction of cognitive decline and dementia"
60 Gregg, E. W., "Relationship of changes in physical activity and mortality among older women" 289 (289): 2379-2386, 2003
61 Sanders, A. E., "Quality improvement in neurology:Dementia management quality measurement set update.The American" 174 (174): 493-498, 2017
62 Zimmerman, M. A., "Psychological empowerment : Issues and illustrations" 23 (23): 581-599, 1995
63 Schulz, P. J., "Patient behavior and the benefi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 The perils of"dangerous"literacy and illusory patient empowerment" 92 (92): 223-228, 2013
64 Litman, L., "Mobile exercise apps and increased leisure time exercise activity : A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of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barriers" 17 (17): e195-, 2015
65 Richard, E., "Methodological challenges in designing dementia prevention trials-The European dementia prevention initiative (EDPI)" 322 (322): 64-70, 2012
66 Koren, P. E., "Measuring empowerment in families whose children have emotional disabilities : A brief questionnaire" 37 : 305-321, 1992
67 Liu, W., "Factors associated with eating performance for long-term care residents with moderate-to-severe cognitive impairment" 72 (72): 348-360, 2016
68 박미정,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Smartphone Healthcare Applications"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143-153, 2017
69 Duffy, M. E.,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in midlife women" 37 (37): 358-362, 1998
70 Conroy, D. E., "Behavior change techniques in top-ranked mobile apps for physical activity" 46 (46): 649-652, 2014
71 Arora, S, Peters, A. L., "A mobile health intervention for inner city patients with poorly controlled diabetes : proof-of-concept of the TExT-MED program" 14 (14): 492-496, 2012
72 이의수, "60대와 70대 고령자의 복합운동처방프로그램 참여가 활동체력, 심폐기능, 신체조성 및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73 최승욱, "24주간 규칙적인 운동이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1 (21): 1087-1098, 2012
74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21
75 통계청, "2018 한국의 사회지표"
76 서울특별시광역치매센터, "2018 서울시민 치매인식도 조사보고서" 2018
77 보건복지부, "2016 전국 치매역학 조사" 2017
78 서울특별시광역치매센터, "2015 서울시민 치매 인식도 조사"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