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PND 생태계 관점의 디지털 웰니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핵심요인 중요도 평가 = Evaluation of Key Elements and Priorities for Activating the Industry of Digital Wellness Service from CPND Ecosystem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17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lobal smart wellness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core industry, which will expect to form a market size of $ 520.2 billion by 2023. Especially, digital wellness service market is continuously expanding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he necessity of un-contact wellness service. Although the numerous digital wellness services have launched, service quality management and standardization systems have still not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prior studies drawn on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verification the effect on social weak. Little research paid attention o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publi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usiness ecosystem. This study aimed to conduct research to determine the key factors, which help to active digital wellness services. The research model developed from CPND (Content-Platform-Network-Device) framework to derive the business success factors of digital wellness service and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were evaluated by AHP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order of importance of Content(0.569)>Platform(0.213)>Network(0.116)>Device(0.100) is obtained from the upper elements and the lower elements has arranged as Scientific content(0.187)>Customized solution(0.097)>security(0.084) etc relying on the descending weight. Depending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 had discussed.
      번역하기

      The global smart wellness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core industry, which will expect to form a market size of $ 520.2 billion by 2023. Especially, digital wellness service market is continuously expanding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he n...

      The global smart wellness industry is a high value-added core industry, which will expect to form a market size of $ 520.2 billion by 2023. Especially, digital wellness service market is continuously expanding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he necessity of un-contact wellness service. Although the numerous digital wellness services have launched, service quality management and standardization systems have still not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prior studies drawn on the qualitative research and verification the effect on social weak. Little research paid attention o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publi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usiness ecosystem. This study aimed to conduct research to determine the key factors, which help to active digital wellness services. The research model developed from CPND (Content-Platform-Network-Device) framework to derive the business success factors of digital wellness service and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were evaluated by AHP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order of importance of Content(0.569)>Platform(0.213)>Network(0.116)>Device(0.100) is obtained from the upper elements and the lower elements has arranged as Scientific content(0.187)>Customized solution(0.097)>security(0.084) etc relying on the descending weight. Depending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 had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 세계 스마트 웰니스 산업은 2023년까지 5202억 달러의 시장규모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고부가가치 핵심산업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언컨택트 웰니스 서비스의 필요성이 언급되면서, 디지털 웰니스 서비스의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디지털 웰니스 서비스의 출범으로 서비스의 질 관리, 표준화 체계 마련 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디지털 웰니스 서비스 관련 선행연구는 사례연구, 사회적 약자 위주의 효과 검증 등의 분야에 머물러 있으며, 비즈니스 생태계적 관점에서 일반인 대상으로 접근하는 종합적인 관점의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범국민적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웰니스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여 디지털 웰니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핵심요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에 CPND(Content-Platform-Network-Device) 프레임워크을 토대로 디지털 웰니스 서비스의 경영학적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AHP 방법론을 활용하여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상위요인에서는 콘텐츠(0.569) > 플랫품(0.213) > 네트워크(0.116) > 디바이스(0.100) 순으로 중요하게 나타나며 하위요인에서는 가중치 내림차순으로 과학적 콘텐츠(0.187) > 맞춤형 솔루션(0.097) > 안전성(0.084) 등으로 나타나 각각의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번역하기

      전 세계 스마트 웰니스 산업은 2023년까지 5202억 달러의 시장규모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고부가가치 핵심산업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언컨택트 웰니스 서비스의 필요성이 언급되면서...

      전 세계 스마트 웰니스 산업은 2023년까지 5202억 달러의 시장규모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고부가가치 핵심산업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언컨택트 웰니스 서비스의 필요성이 언급되면서, 디지털 웰니스 서비스의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디지털 웰니스 서비스의 출범으로 서비스의 질 관리, 표준화 체계 마련 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디지털 웰니스 서비스 관련 선행연구는 사례연구, 사회적 약자 위주의 효과 검증 등의 분야에 머물러 있으며, 비즈니스 생태계적 관점에서 일반인 대상으로 접근하는 종합적인 관점의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범국민적으로 사용하는 디지털 웰니스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여 디지털 웰니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핵심요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이에 CPND(Content-Platform-Network-Device) 프레임워크을 토대로 디지털 웰니스 서비스의 경영학적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AHP 방법론을 활용하여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상위요인에서는 콘텐츠(0.569) > 플랫품(0.213) > 네트워크(0.116) > 디바이스(0.100) 순으로 중요하게 나타나며 하위요인에서는 가중치 내림차순으로 과학적 콘텐츠(0.187) > 맞춤형 솔루션(0.097) > 안전성(0.084) 등으로 나타나 각각의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대호, "창조경제 정책의 이해" CommunicationBooks 2014

      2 최문종, "직장인들의 웰니스, 주관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597-606, 2014

      3 권헌영, "정부조직개편과 ICT규제체계의 개선: CPND와 정부기능배분" 법학연구소 6 (6): 172-187, 2013

      4 나윤빈, "전자책 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업 요구사항과 CPND 가치사슬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163-171, 2016

      5 Heo, J. S,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의 기술 동향, 발전 및 국제 표준화 전망" 42 (42): 23-29, 2015

      6 권혁인, "에코사이언스 = Eco science: 새로운 패러다임의 생존 전략: 신산업을 기획하고 적합한 생존 전략을 만들어서 시장을 지배하게 하는 방법" 한경사 2015

      7 한상미, "성인의 운동 자기효능감, 심리적 욕구만족이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279-286, 2019

      8 류귀진, "디지털 콘텐츠 산업과 블록체인 기술의 융합 활성화를 위한 ICO(Initial Coin Offering) 핵심요인 중요도 평가" 한국콘텐츠학회 19 (19): 194-204, 2019

      9 Blythe, J. M., "What is security worth to consumers? Investigating willingness to pay for secure Internet of Things devices" 9 (9): 1-9, 2020

      10 Shameer, K., "Translational bioinformatics in the era of real-time biomedical, health care and wellness data streams" 18 (18): 105-124, 2017

      1 김대호, "창조경제 정책의 이해" CommunicationBooks 2014

      2 최문종, "직장인들의 웰니스, 주관적 행복감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597-606, 2014

      3 권헌영, "정부조직개편과 ICT규제체계의 개선: CPND와 정부기능배분" 법학연구소 6 (6): 172-187, 2013

      4 나윤빈, "전자책 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업 요구사항과 CPND 가치사슬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163-171, 2016

      5 Heo, J. S,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의 기술 동향, 발전 및 국제 표준화 전망" 42 (42): 23-29, 2015

      6 권혁인, "에코사이언스 = Eco science: 새로운 패러다임의 생존 전략: 신산업을 기획하고 적합한 생존 전략을 만들어서 시장을 지배하게 하는 방법" 한경사 2015

      7 한상미, "성인의 운동 자기효능감, 심리적 욕구만족이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7 (17): 279-286, 2019

      8 류귀진, "디지털 콘텐츠 산업과 블록체인 기술의 융합 활성화를 위한 ICO(Initial Coin Offering) 핵심요인 중요도 평가" 한국콘텐츠학회 19 (19): 194-204, 2019

      9 Blythe, J. M., "What is security worth to consumers? Investigating willingness to pay for secure Internet of Things devices" 9 (9): 1-9, 2020

      10 Shameer, K., "Translational bioinformatics in the era of real-time biomedical, health care and wellness data streams" 18 (18): 105-124, 2017

      11 Farahani, B., "Towards fog-driven IoT eHealth : Promises and challenges of IoT in medicine and healthcare" 78 : 659-676, 2018

      12 Fransman, M., "The new ICT ecosystem: Implications for Europe" Kokoro 2007

      13 Global Wellness Summit, "The future of wellness 2020(global wellness trends report)" 2020

      14 Saaty, R. W.,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what it is and how it is used" 9 (9): 161-176, 1987

      15 Saracci, R., "The World Health Organisation needs to reconsider its definition of health" 314 (314): 1409-, 1997

      16 Hossain, M. S., "Smart healthcare monitoring : a voice pathology detection paradigm for smart cities" 25 (25): 565-575, 2019

      17 Allmér, H., "Servicescape for Digital Wellness Services for Young Elderly" Åbo Akademi University Press 2018

      18 Bilal, H. S. M., "Sedentary Behavior-Based User Life-Log Monitoring for Wellness Services" 283-292, 2016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amble to the Constitut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s adopted by the International Health Conference" World Health Organization 19-22, 1946

      20 Karahanoğlu, A., "Perceived qualities of smart wearables: determinants of user acceptance" 1-8, 2011

      21 Chung, K., "P2P-based open health cloud for medicine management" 13 (13): 610-622, 2020

      22 Traskevich, A., "Mental wellness in resilient destinations" 1 (1): 193-217, 2018

      23 Qiu, J. Y., "Mental Wellness System for COVID-19" 87 : 51-52, 2020

      24 Machado, D., "Managing diabetes: Pattern discovery and counselling supported by user data in a mobile platform" IEEE 296-299, 2017

      25 Ahtinen, A., "Let's all get up and walk to the North Pole: design and evaluation of a mobile wellness application" 3-12, 2010

      26 Arlandis, A., "How firms interact and perform in the ICT ecosystem?" 79 : 121-141, 2010

      27 Dunn, H. L., "High-level wellness for man and society" 49 (49): 786-792, 1959

      28 Munson, S. A., "Happier Together : Integrating a Wellness Application into a Social Network Site" 27 : 2010

      29 Teawchim, S., "HB-UWB transmission wavefrom model for wireless body area network" IEEE 1-4, 2016

      30 Kao, H. L., "Exploring interactions and perceptions of kinetic wearables" 391-396, 2017

      31 Lee, T. G., "Dynamic bio-sensing process design in mobile wellness information system for smart healthcare" 86 (86): 201-215, 2016

      32 Hird, N., "Digital health revolution : perfect storm or perfect opportunity for pharmaceutical R&D?" 21 (21): 900-911, 2016

      33 Van Velthoven, H. M., "Digital health app development standards : a systematic review protocol" 8 (8): 2018

      34 Carlsson, C., "Digital Wellness for Young Elderly: Research Methodology and Technology Adaptation" 1-, 2015

      35 Carlsson, C., "Digital Wellness Services: Key to Better Quality of Life for Young Elderly" 26-, 2018

      36 Carlsson, C., "Digital Wellness Services for Young Elderly : a Missed Opportunity for Mobile Services" 11 (11): 20-34, 2016

      37 Carlsson, C., "Digital Coaching to Build Sustainable Wellness Routines for Young Elderly" 45-, 2017

      38 Ismail, A., "Development of smart healthcare system based on speech recognition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and dynamic time warping" 12 (12): 2403-, 2020

      39 Aryana, B., "Design for mobile mental health: an exploratory review" 1-24, 2018

      40 Saaty, T. L., "Decision making with dependence and feedback: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Vol. 4922)" RWS publications 1996

      41 Dinesh, R., "Comparison of Two ADPLL Structures for IoT Applications" IEEE 1-6, 2019

      42 Vehmas, K., "Collaborative design boosting development of digital wellness services" 2 (2): 36-49, 2017

      43 권혁인, "CPND 생태계 관점의 전자책 시장 활성화 요인 연구 : 출판사 실무자 AHP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51-59, 2015

      44 Muhammad, G.,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ing interlaced derivative pattern for cloud based healthcare system" 18 (18): 795-802, 2015

      45 Saaty, T. L., "Analytic heirarchy process"

      46 김태한, "AHP를 이용한 주파수 공유 비즈니스 모델 평가방법 설계" 한국콘텐츠학회 15 (15): 525-533, 2015

      47 Pais, S., "A framework of evaluation of mobile wellness apps for use in a clinical setting" IEEE 1-5, 2017

      48 Ophelia Yeung, "A New Vision for a Post COVID-19 Future: Resetting the World with Wellness (GLOBAL WELLNESS INSTITUTE WHITE PAPER SERIES)" 2020

      49 Li, W., "A Comprehensive Survey on Machine Learning-Based Big Data Analytics for IoT-Enabled Smart Healthcare System" 1-19, 2021

      50 Murero, M., "21 Wearable internet for wellness and health" 334 :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