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아시간에 따른 잡곡류의 싹 길이, 단백질, 식이섬유, GABA,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검토한 결과 싹 길이는 수수가 가장 빠르게 크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장, 조 순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59275
2011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1128-1135(8쪽)
3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발아시간에 따른 잡곡류의 싹 길이, 단백질, 식이섬유, GABA,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검토한 결과 싹 길이는 수수가 가장 빠르게 크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장, 조 순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발아시간에 따른 잡곡류의 싹 길이, 단백질, 식이섬유, GABA,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검토한 결과 싹 길이는 수수가 가장 빠르게 크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장, 조 순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및 총 식이섬유 함량은 발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단백질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발아 황금조, 청차조, 붉은기장, 노란찰기장, 황금찰수수 및 흰찰수수의 총 식이섬유 함량은 각각 6.3, 7.3, 6.2, 5.2, 7.0 및 9.0 g/100 g으로 나타났으며, 96시간 발아시킨 시료는 각각 16.3, 13.9, 9.4, 6.5, 15.9 및 12.5 g/100 g으로 증가하였다.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GABA 함량은 일정시간 동안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발아시간은 조는 24시간(각각 347.4 및 336.5 ㎍/g), 붉은기장은 84시간(347.4 ㎍/g), 노란찰기장은 36시간(344.9 ㎍/g), 황금찰수수는 48시간(410.4 ㎍/g), 흰찰수수는 72시간(444.0 ㎍/g)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탄닌 등 항산화성분 함량은 전반적으로 조와 기장 각각 두 품종과 흰찰수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황금찰수수는 초반에 급격히 감소하다가 발아가 진행되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황금찰수수는 무발아 시료 및 96시간 발아시킨 시료에서 각각 201.00 및 137.17 ㎎/g을 보였으며, 흰찰수수는 각각 54.23 및 97.90 ㎎/g으로 나타났다. 황금조 및 붉은기장 무발아 시료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40.29 및 19.81 ㎎ TE/g의 활성을 보였으며, 96시간 발아시료에서 각각 51.96 및 26.17 ㎎ TE/g의 활성을 보였다. 황금찰수수 무발아 시료는 176.03 ㎎ TE/g의 활성을 보였으며, 발아시료는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황금찰수수를 이용한 발아잡곡의 제조는 살수를 하는 공정이 없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고 조, 기장 등의 잡곡은 발아기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양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ree cereals,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during germination were determined. The crude protein contents of the three cereal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germination, whereas the contents o...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ree cereals,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during germination were determined. The crude protein contents of the three cereal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germination, whereas the contents of total dietary fiber of the three cereals increased during germination. The contents of γ-aminobutyric acid (GABA) of Whanggeum-cho (347.4 ㎍/g), Chongcha-cho (336.5 ㎍/g), Bulgeun-gijang (347.4 ㎍/g), Noranchal-gijang (344.9 ㎍/g), Whanggeumchal-susu (410.4 ㎍/g), and Whinchal-susu (444.0 ㎍/g) increased after 24, 24, 84, 36, 48, and 72 hr of germination, respectively, and then sharply decreased.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flavonoids, and tannin in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Whinchal-susu tended to increase during germination. However,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by 48 hr of germination and then considerably increased, whereas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during germination. Total tannin content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by 36 hr of germination and then slowly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hanggeumchal-susu greatly decreased by 36 hr of germination and then remained constant, whereas those of other cereals did not greatly change during germin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three cereals during germin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흠숙, "현미의 발아정도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389-394, 2006
2 이하규, "한국산 잡곡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99-1404, 2010
3 김현영, "한국산 발아 벼 추출물의 여러 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325-330, 2010
4 채경연, "차수수가루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363-369, 2006
5 박종대, "유통중인 발아현미밥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101-106, 2005
6 전건욱, "열처리와 한약재 추출물이 발아현미의 GABA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54-158, 2010
7 류혜숙, "수수 물 추출물이 마우스 면역세포와 항체 생성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영양사협회 12 (12): 82-88, 2006
8 우관식, "수수 도정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695-1699, 2010
9 김윤선, "서울·경기와 강원지역의 잡곡밥의 섭취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661-669, 2006
10 최희돈, "발아현미의 섭취에 의한 흰쥐의 비만 억제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8 (38): 674-678, 2006
1 이흠숙, "현미의 발아정도에 의한 항산화활성의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389-394, 2006
2 이하규, "한국산 잡곡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399-1404, 2010
3 김현영, "한국산 발아 벼 추출물의 여러 가지 암세포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325-330, 2010
4 채경연, "차수수가루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363-369, 2006
5 박종대, "유통중인 발아현미밥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101-106, 2005
6 전건욱, "열처리와 한약재 추출물이 발아현미의 GABA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54-158, 2010
7 류혜숙, "수수 물 추출물이 마우스 면역세포와 항체 생성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영양사협회 12 (12): 82-88, 2006
8 우관식, "수수 도정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695-1699, 2010
9 김윤선, "서울·경기와 강원지역의 잡곡밥의 섭취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661-669, 2006
10 최희돈, "발아현미의 섭취에 의한 흰쥐의 비만 억제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8 (38): 674-678, 2006
11 김현영, "발아에 따른 몇 가지 맥류의 화학성분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700-1704, 2010
12 Duval B,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a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25 : 361-377, 2001
13 Zhang G, "The rapid determination of γ- aminobutyric acid" 44 : 1007-1009, 1996
14 Kang YH,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28 : 624-630, 1996
15 Kim SM,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33 : 626-632, 2001
16 Kim IS,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germination" 17 : 371-376, 1985
17 Kim IS, "Study on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s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20 : 188-193, 1988
18 Dewanto V,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50 : 4959-4964, 2002
19 Middleton E,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48 : 115-119, 1994
20 Choi Y,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ELSEVIER SCI LTD 99 : 381-387, 2006
21 Kinnersley AM,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and plant responses to stress" 19 : 479-509, 2000
22 Young-Soo Kim, "Effects of Raw, Cooked, and Germinated Small Black Soybean Powders on Dietary Fiber Content and Gastrointestinal Functions" 한국식품과학회 15 (15): 635-638, 2006
23 Ikeda K, "Effect on buck-wheat protein quality of seed germination and changes in trypsin inhibitor content" 61 : 236-240, 1984
24 Colmenares de Ruiz AS,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amaranth grain" 67 : 519-522, 1990
25 Hsu D, "Effect of germination on nutritive value and baking properties of dry peas, lentils and faba beans" 45 : 87-91, 1980
26 Nieva MM,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71 : 109-114, 2000
27 Ha YD, "Characteristics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sorghum and common millet" 8 : 187-192, 2001
28 Heon Sang Jeong,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한국식품과학회 16 (16): 1006-1010, 2007
29 Bartnick M, "Changes in phytate content and phytase activity during the germination of some cereals" 5 : 23-28, 1987
30 Lee MH,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7 : 267-273, 1994
31 Choi KS,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germination of mungbean" 17 : 271-275, 1985
32 Cho BM, "Changes in amino acid and fatty acids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rapeseed" 17 : 371-376, 1985
33 Rice-Evans CA,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2 : 152-159, 1997
β-Carotene의 섭취가 당뇨 유도 흰쥐의 간조직 항산화효소 활성과 Glutathi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메뉴평가에 대한 인식과 시행 현황
하수오와 백하수오의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B16/F10 Melanoma 세포주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