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건강양극화의 문제, 현실, 접근관점을 고찰하고, 해법찾기로서 스포츠의 역할모델을 삼항순환 구조의 관점에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사회에서 건강양극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62101
김영갑 (동양대학교)
2024
Korean
sports ; physical education ; social trends ; health polarization ; polarization ; 스포츠 ; 체육 ; 사회트렌드 ; 건강양극화 ; 양극화
KCI등재
학술저널
41-51(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건강양극화의 문제, 현실, 접근관점을 고찰하고, 해법찾기로서 스포츠의 역할모델을 삼항순환 구조의 관점에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사회에서 건강양극화...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건강양극화의 문제, 현실, 접근관점을 고찰하고, 해법찾기로서 스포츠의 역할모델을 삼항순환 구조의 관점에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사회에서 건강양극화의 징후들은 다양한 사회통계적 지표들을 분석하면 확인할 수 있으며 심각한 수준으로 평가될 수 있다. 건강양극화의 심각한 현실에 비해 사회적 책임주체들은 무관심한 경향이 있다. 그러나 건강양극화는 건강 결과, 의료 접근성 및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의 불균형에 관한 윤리적, 사회적, 경제적 관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건강양극화의 간격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상생모델 설정은 학교체육, 생활체육, 평생체육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건강양극화의 해법찾기로써 스포츠의 역할모델 설정은 양자택일의 이항대립에서 창의융합적 사고인 삼항 순환구조로 접근해야 한다. 삼항 순환구조는 이항대립의 양자택일을 탈코드화하여 양자병합을 지향하는 창조적 사고이다. 따라서 삼항 순환구조의 주체인 학교체육과 평생체육은 교육의 관점에서 정부주도형으로, 생활체육은 지도와 자발적 선택의 관점에서 정부주도형(정책)과 시장주도형(운영)으로 병행하여 체계적으로 추진될 경우 건강양극화의 해법찾기도 가능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 the reality, and the approach perspective of health polarization in Korean society. Moreover, this article analyses the role models of spor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rnary cycle structure as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 the reality, and the approach perspective of health polarization in Korean society. Moreover, this article analyses the role models of spor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rnary cycle structure as a way to find solutions. Signs of health polarization in Korean society are confirmed by analyzing various social and statistical indicators, and they are evaluated at a serious level. Compared to the serious reality of health polarization, socially responsible entities tend to be indifferent. However, health polarization deserves attention from ethical, social, and economic perspectives regarding disparities in health outcomes, access to health care, and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n establishing a win-win model to minimize the gap between health polarizations, the roles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daily physical education, and lifelong physical education ar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order to find a solution to health polarization, establishing role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must be approached from a binary opposition of either/or to a triadic cycle structure of creative convergence thinking. The ternary circular structure is a creative thought, which aims for both and by decoding the either-or of binary opposition. Consequently,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and lifelong physical education, which are the subjects of the triadic cycle structure, should be systematically promoted. In parallel, a government-led typ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lifestyle sports, government-led policies, and market-led oper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guidance and voluntary choice, should be promoted. This may result in a possible resolution to the polarization of health issues.
메를로-퐁티의 현상학(2): 언어적 몸짓에서 본 댄스스포츠
댄스스포츠 남녀커플의 시선과 상호작용: 사르트르의 무화작용을 중심으로